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민간영역 국제문화교류의 양상에 대한 고찰 : 한국 민간문화단체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의 문화교류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30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선행연구검토
      • 1. 민간영역 국제문화교류로의 패러다임 변화
      • 2. 민간영역 국제문화교류에서 나타나는 교류양상
      • 국문초록
      • I. 들어가는 말
      • II. 선행연구검토
      • 1. 민간영역 국제문화교류로의 패러다임 변화
      • 2. 민간영역 국제문화교류에서 나타나는 교류양상
      • III. 우타고에운동을 매개로 한 한일문화교류의 흐름
      • 1. 한국민족음악인협회와 일본 우타고에운동의 문화교류
      • 2. 인천 문화바람과 일덜 우타고에운동의 문화교류
      • IV. 한일문화교류에서 나타난 쌍방향의 문화교환
      • 1. 주체의 동등한 위치에 의한 문화교환
      • 2. 문화적 행위와 의미의 문화교환
      • V. 한일문화교류에서 나타난 다자간의 문화횡단
      • 1. 다층적·다자간의 문화횡단
      • 2. 문화횡단에 의한 상호문화적인 소통
      • VI.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철희, "한일갈등의 반응적 촉발과 원론적 대응의 구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9 (29): 323-348, 2008

      2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류에서 교류로"

      3 이종수, "한국문화 해외홍보의 새로운 실험- 주프랑스 한국 문화원의<낭트시 ‘한국의 봄’ 축제> 사례 연구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62 : 307-332, 2017

      4 변철희, "지역의 국제문화교류 현황과 과제 - 경상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255-273, 2021

      5 네모토 마사쓰구, "지방정부 수준의 국제교류에 있어서 비영리민간단단체의 역할" 충북대학교 2009

      6 이동수, "지구시민의 정체성과 횡단성" 21세기정치학회 20 (20): 181-199, 2010

      7 최보연, "전문성 중심 문화예술분야전문인력 양성과정 개선 방안: ‘권역별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양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37) : 151-184, 2016

      8 이정석, "자매도시 간 문화교류의 활성화 및 지역활성화와의 연계 방안: 부산광역시와 일본 자매도시 간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53-79, 2016

      9 한영혜, "일본의 지역사회와 시민운동" 한울아카데미 2004

      10 이지선, "일본의 우타고에운동과 사회주의권 동아시아 - 1950년대 중반 이전을 중심으로 -" 민족음악학회 (41) : 251-288, 2011

      1 박철희, "한일갈등의 반응적 촉발과 원론적 대응의 구조" 한국정치외교사학회 29 (29): 323-348, 2008

      2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류에서 교류로"

      3 이종수, "한국문화 해외홍보의 새로운 실험- 주프랑스 한국 문화원의<낭트시 ‘한국의 봄’ 축제> 사례 연구 -" 프랑스문화예술학회 62 : 307-332, 2017

      4 변철희, "지역의 국제문화교류 현황과 과제 - 경상남도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10 (10): 255-273, 2021

      5 네모토 마사쓰구, "지방정부 수준의 국제교류에 있어서 비영리민간단단체의 역할" 충북대학교 2009

      6 이동수, "지구시민의 정체성과 횡단성" 21세기정치학회 20 (20): 181-199, 2010

      7 최보연, "전문성 중심 문화예술분야전문인력 양성과정 개선 방안: ‘권역별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양성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37) : 151-184, 2016

      8 이정석, "자매도시 간 문화교류의 활성화 및 지역활성화와의 연계 방안: 부산광역시와 일본 자매도시 간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20 (20): 53-79, 2016

      9 한영혜, "일본의 지역사회와 시민운동" 한울아카데미 2004

      10 이지선, "일본의 우타고에운동과 사회주의권 동아시아 - 1950년대 중반 이전을 중심으로 -" 민족음악학회 (41) : 251-288, 2011

      11 야마다 히로끼, "일본의 시민문화 활동의 역사와 사례" 67-90, 2019

      12 이지선, "일본 프롤레타리아음악운동과 우타고에운동 1 - 방침ㆍ인물ㆍ활동양상을 중심으로" 일본학연구소 (20) : 29-60, 2012

      13 이성환, "일본 대중문화의 유입과 한일관계" 동아시아일본학회 (53) : 273-294, 2015

      14 조규철, "일본 대중문화 개방과 한일관계" 15 : 117-136, 2000

      15 김새미, "유럽 문화도시 환경조성에서 나타난 국제문화교류 거버넌스 연구: 2008 리버풀 유럽문화수도(European Capital of Culture: ECoC) 사례" 아시아여성연구원 9 (9): 127-164, 2016

      16 박재창, "시민권과 지구시민사회: 지구 거버넌스의 유형별 한계" 국제지역연구센터 12 (12): 249-284, 2009

      17 최경숙, "생활예술단체의 지속가능성과 문화매개자의 활동: 인천시민문화예술센터 상근활동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2020

      18 김보성, "생활문화로서의 음악운동의 가능성: 일본 음악운동집단과의 국제교류 경험을 바탕으로" 세계음악학회 (11) : 93-114, 2004

      19 전미경, "부산국제교류재단의 현황 및 과제 - 학교·민간단체의 국제교류 컨설팅 및 중개 사업을 중심으로"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7-76, 2015

      20 손지현, "민간차원 국제교류의 실천양상"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1 김경애, "문화운동단체로서 시민합창단의 가능성 : 한국 평화의나무 합창단과 일본 우타고에 합창단 사례를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문화대학원 2014

      22 정종은, "문화예술교육 국제교류 정책의 현황 분석 및방향 모색: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정책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예술경영학회 (39) : 131-161, 2016

      23 오장근, "문화다양성에 대한 소고"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5 (5): 63-80, 2016

      24 문화체육관광부, "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법률 제정에 관한 연구" 2011

      25 이선, "문화 간의 철학적 대화를 위한 문화적 패러다임" 대한철학회 108 : 161-182, 2008

      26 임경화, "목소리로 쇄신되는 ‘조선’: 1945~1955년의 일본 좌파운동과 조선 이미지" 일본학연구소 (22) : 91-123, 2013

      27 이동연, "동아시아 문화교류를 위한 이론적 모색"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30) : 1-30, 2004

      28 박해남, "동북아시아의 사회적 연대와 인식공동체" 비판사회학회 (125) : 85-122, 2020

      29 심수경, "노랫소리운동에 관한 일고찰 - ‘국민개창운동’과 ‘노랫소리운동’, 그리고 대중의 수용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소 (36) : 311-328, 2014

      30 전영국, "낭트-순천 한불 국제문화교류 사례 탐구: 순천만 콘텐츠 중심으로"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9 (9): 329-350, 2020

      31 성기중, "글로벌시대 지역협력을 위한 한일관계의 재정립" 한국동북아학회 13 (13): 33-56, 2008

      32 임경화, "그곳에서는 모두가 노래를 불렀다: 일본 민중가요 운동의 루트로서의 소련 체험" 한국학연구소 (30) : 125-162, 2013

      33 정정숙, "국제문화예술교류 정책방안과 구현 사례" 3 : 14-15, 2017

      34 平野 健⼀郎(히라노 겐이치로), "국제문화론" 풀빛 2004

      35 문화관광부, "국제문화교류진흥을 위한 제도수립 방안 연구" 2007

      36 문화체육관광부, "국제문화교류진흥 시행계획" 2020

      37 문화체육관광부, "국제문화교류정책 중장기계획 연구" 2015

      38 문화관광부, "국제문화교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2005

      39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국제문화교류 진흥방안" 2012

      40 문화체육관광부, "국제문화교류 지표개발 기초연구" 2017

      41 문화체육관광부, "국제문화교류 분야 민간협업 사업 추진방향 및 사례연구" 2016

      42 임동현, "국제문화교류 매개기관으로서의 비정부기구 역할 및 활용에 관한연구" 추계예술대학교대학원 2021

      43 박태규, "국제 문화교류의 새로운 방향모색 NGO의 문화교류 활동을 중심으로" 13 : 77-96, 2001

      44 신주백, "국민에서 시민으로 새로운 동아시아사 인식의 가능성과 의미를 찾아서" 역사문제연구소 21 (21): 93-131, 2017

      45 渡辺裕(와타나베 히로시), "歌う国民" 中央公論新社 2010

      46 河西秀哉(하서 히로), "うたごえ運動の出発-中央合唱団‘うたごえ’" の分析を通じて- 2013

      47 박애경, "『애창가집(愛唱歌集)』을 통해 본 오키나와의 노래문화와 노래운동" 열상고전연구회 (59) : 281-310, 2017

      48 ⼤坪正⼀(오츠 쇼이치), "⽂化運動の普及に関する実証的研究, 科学研究費研究成果報告書" 弘前⼤学教育学部 1998

      49 林 慶 花, "‘우타고에’ 운동의 전후사 -민족과 민요의 발견-" 한국일본문화학회 (32) : 297-316, 2007

      50 Lee, Jun Hee, "Rather a Hundred Singing Laborers than a Single Professional: Imagining the Japanese Masses in the Utagoe Movement, 1948Present" The University of Chicago 2020

      51 Ramsaran, Dave, "Globalization: A Cri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ontemporary Social Processes"

      52 김소남, "1980년대 한일 민간 협동조합운동 교류 연구 - 원주그룹을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186) : 87-123,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류연구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외국어명 : The Jounal of Cultural Exchange ->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