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정보화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것은 사람(人)이라 할 수 있다. 지방정부가 ‘사람(人)의 관리’를 통하여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효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9476
2009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것은 사람(人)이라 할 수 있다. 지방정부가 ‘사람(人)의 관리’를 통하여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효과...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것은 사람(人)이라 할 수 있다. 지방정부가 ‘사람(人)의 관리’를 통하여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인적자원의 관리가 필요하다. 지방정부의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조직 내 인적자본의 형성과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의 여부는 인사실무자나 행정학자의 주요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향후 효과적인 인적자원의 관리와 지방정부의 경쟁력 제고에 매우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된 HRM Practices의 집합체(bundles)를 인적자원관리시스템(HRMS)으로 파악하고, 이러한 지방정부 인적자원관리시스템(HRMS)이 인적자본의 형성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지방정부를 대상으로 인적자원관리시스템(HRMS)과 인적자본(HC: Human Capital)의 형성 및 조직성과(OP: Organizational Performance)의 관계를 분석한다. 즉, ① 지방정부의 인적자원관리시스템(HRMS)이 인적자본의 형성과 조직성과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② 인적자본은 조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③ 인적자원관리시스템과 조직성과간의 관계에서 인적자본의 매개효과는 무엇인지에 연구의 초점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HRMS의 하부시스템으로 HRM Practices를 ① 투입(input)중심형, ② 행동(behavior)중심형, ③ 결과(output)중심형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HRMS의 특성이 인적자본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선행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인적자원관리시스템(HRMS), 인적자본, 조직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첫째, 지방정부에 있어서 HRMS의 하부시스템인 HRM Practices의 유형이 인적자본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가설 1). 둘째, 지방정부 HRM Practices의 복합체인 인적자원관리시스템(HRMS)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 2). 셋째, 인적자본은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가설 3). 넷째, 인적자원관리시스템(HRMS)은 인적자본을 매개로 조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할 수 있다(가설 4).
연구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문헌조사를 통하여 본 연구의 주제와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종합․분석하여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방정부 공무원 약 1,000여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설문결과의 분석은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과 확정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할 것이며, 가설검증을 위하여 AMOS(Analysis of MOment Structure) program으로 공분산 구조를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