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도시 및 지역개발에서의 주민참여확대방안 = Method to Encourage Local Residents to Participate in Urban and Local Community Development Proc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121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도시 및 지역개발의 궁극적이고도 최종적인 목표인 삶의 질 향상과 재산가치의 문제 로 이에 대한 주민의 관심이 상당히 높으며, 그 과정에서 주민참여가 중요해지고 있다. 도시 및 지역개발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갈등을 줄이면서 주민의 협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삶의 질을 높이고 재산가치의 상승을 위해서는 주민참여에 의해 그 내용과 수준이 결정되어 져야 하므로 주민참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주민참여가 배제된 것은 지방행정은 될 수 있겠지만 지방자치는 이미 아니다. 지방자치에서 주민참여가 갖는 순기능이나 역기능은 모두 주민과 행정기관의 양 측면에서 나타난다. 주민참 여의 방법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나 주민 권력적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이 강조되 어야 한다. 주민참여의 확대를 위해 주민을 고객으로 보는 기업가형정부에서 쇄신노력정도와 주민의식 과 참여태도의 높낮이를 변수로 하여 주민참여모형을 설정할 수 있다. 두 변수의 높낮이에 따라 비참여 · 정부불신 · 주민흡수 · 주민참여라는 네 가지 양식이 나타나고 비참여 · 정부불신 · 주민흡수 · 주민참여의 단계적 순서를 밟아가면서 주민참여의 활성화가 진행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민참여의 확대방법은 행정기관의 측면에서는 기업가형정부의 요건을 충족시켜나가는 노력 이 있어야 하고, 주민의식에 의한 욕구 및 태도의 측면에서는 현재 지방자치법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민투표제와 주민소환제의 활성화와 함께 주민제안 · 주민옴부즈만 등의 제도를 도입하고 광의의 행정정보체계와 공동생산체제를 구축 · 강화하여야 한다. 도시 및 지역개발을 위한 주민참여의 확대를 위해서는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실천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지난번 광역시와 도 단위의 도시 및 지역개발의 경우 주민참여가 제약될 우려가 있으므로 공청회나 보고회, 여론의 공청 등을 통해 지역주민의 의견을 실질적으로 반영시키기 위한 장치 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바 있다. 본고는 이를 구체적으로 도시 및 지역개발에서의 주민참여확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도시 및 지역개발의 궁극적이고도 최종적인 목표인 삶의 질 향상과 재산가치의 문제 로 이에 대한 주민의 관심이 상당히 높으며, 그 과정에서 주민참여가 중요해지고 있다. 도시 및 ...

      오늘날 도시 및 지역개발의 궁극적이고도 최종적인 목표인 삶의 질 향상과 재산가치의 문제 로 이에 대한 주민의 관심이 상당히 높으며, 그 과정에서 주민참여가 중요해지고 있다. 도시 및 지역개발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회적 갈등을 줄이면서 주민의 협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삶의 질을 높이고 재산가치의 상승을 위해서는 주민참여에 의해 그 내용과 수준이 결정되어 져야 하므로 주민참여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주민참여가 배제된 것은 지방행정은 될 수 있겠지만 지방자치는 이미 아니다. 지방자치에서 주민참여가 갖는 순기능이나 역기능은 모두 주민과 행정기관의 양 측면에서 나타난다. 주민참 여의 방법은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으나 주민 권력적 단계에서 활용될 수 있는 방법이 강조되 어야 한다. 주민참여의 확대를 위해 주민을 고객으로 보는 기업가형정부에서 쇄신노력정도와 주민의식 과 참여태도의 높낮이를 변수로 하여 주민참여모형을 설정할 수 있다. 두 변수의 높낮이에 따라 비참여 · 정부불신 · 주민흡수 · 주민참여라는 네 가지 양식이 나타나고 비참여 · 정부불신 · 주민흡수 · 주민참여의 단계적 순서를 밟아가면서 주민참여의 활성화가 진행되 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민참여의 확대방법은 행정기관의 측면에서는 기업가형정부의 요건을 충족시켜나가는 노력 이 있어야 하고, 주민의식에 의한 욕구 및 태도의 측면에서는 현재 지방자치법에서 시행하고 있는 주민투표제와 주민소환제의 활성화와 함께 주민제안 · 주민옴부즈만 등의 제도를 도입하고 광의의 행정정보체계와 공동생산체제를 구축 · 강화하여야 한다. 도시 및 지역개발을 위한 주민참여의 확대를 위해서는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과 실천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지난번 광역시와 도 단위의 도시 및 지역개발의 경우 주민참여가 제약될 우려가 있으므로 공청회나 보고회, 여론의 공청 등을 통해 지역주민의 의견을 실질적으로 반영시키기 위한 장치 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제시한 바 있다. 본고는 이를 구체적으로 도시 및 지역개발에서의 주민참여확대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주민참여의 이론적 고찰
      • 1. 주민참여의 순기능과 역기능
      • 2. 주민참여의 방법
      • 요약
      • Ⅰ. 서론
      • Ⅱ. 주민참여의 이론적 고찰
      • 1. 주민참여의 순기능과 역기능
      • 2. 주민참여의 방법
      • 3. 주민참여의 단계
      • Ⅲ. 모형의 설정
      • Ⅳ. 도시 및 지역개발에서의 주민참여확대방안
      • 1. 기업가형정부의 수립
      • 2. 주민의식에 의한 참여욕구 · 태도의 확립
      • Ⅴ. 결어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번웅, "환경행정과 주민참여" 대한국토계획학회 15 (15): 1980

      2 방석현, "행정정보체계론" 법문사 1991

      3 윤재풍, "한국의 행정과 정책과정에 있어서의 시민" 고시계 1996

      4 박종화, "지역개발론" 박영사 2009

      5 정세욱, "지방행정학" 법문사 1993

      6 김종수, "지방행정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개발전략방안" 경인행정학회 8 (8): 121-139, 2008

      7 김종수b, "지방행정서비스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주민만족도의 측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1999

      8 최창호, "지방자치학" 삼영사 1996

      9 조창현, "지방자치론" 박영사 1993

      10 한원택, "도시・지방행정론" 법문사 1992

      1 김번웅, "환경행정과 주민참여" 대한국토계획학회 15 (15): 1980

      2 방석현, "행정정보체계론" 법문사 1991

      3 윤재풍, "한국의 행정과 정책과정에 있어서의 시민" 고시계 1996

      4 박종화, "지역개발론" 박영사 2009

      5 정세욱, "지방행정학" 법문사 1993

      6 김종수, "지방행정의 활성화를 위한 지역개발전략방안" 경인행정학회 8 (8): 121-139, 2008

      7 김종수b, "지방행정서비스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주민만족도의 측정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1999

      8 최창호, "지방자치학" 삼영사 1996

      9 조창현, "지방자치론" 박영사 1993

      10 한원택, "도시・지방행정론" 법문사 1992

      11 박병식, "도시행정론" 대영문화사 2000

      12 이성복, "도시행정론" 법문사 1994

      13 條原一, "市民參與" 岩波書店 1977

      14 C. Arterton, "Teledemocracy" 거름 1994

      15 D. Osborne, "Reinventoring Government: How the Entrepreneurial Spirit is Transforming the Public Sector, Reading Mass. Addison Wesley"

      16 R. R. Afford, "Rand McNally and Co" Rand McNally and Co. 1969

      17 W. L. Morrow, "Public Administration: Politics and Political System" Random House 1975

      18 C. Pateman, "Participation and Democratic Theory" Cambridge Univ, Press 1970

      19 S. Verba, "Democratic Participation" 1967

      20 G, Whitaker, "Coproduction: Citizen Participation In Service Delivery" 40 : 1980

      21 M. B. Mogulof, "Citizen Participation: The Local Perspective" Urban Institute 1970

      22 J. A. Riedel, "Citizen Participation: Myths and Realities" 32 : 1972

      23 J. V. Cunningham, "Citizen Participation in Public Affairs" 32 : 1972

      24 S. L. Percy, "Citizen Coproduction:· Prospects for Improving Service Delivery" 5 : 1983

      25 S. R. Arnstein,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196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