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특허문서에 주로 쓰이는 고정된 표현틀에 대하여 독일어, 한국어, 영어 특허문서를 기반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이러한 표현틀이 특허문서에서 수행하는 궁극적인 텍스트 구성...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117688
2016
-
800
KCI등재
학술저널
231-249(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특허문서에 주로 쓰이는 고정된 표현틀에 대하여 독일어, 한국어, 영어 특허문서를 기반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이러한 표현틀이 특허문서에서 수행하는 궁극적인 텍스트 구성...
본고에서는 특허문서에 주로 쓰이는 고정된 표현틀에 대하여 독일어, 한국어, 영어 특허문서를 기반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이러한 표현틀이 특허문서에서 수행하는 궁극적인 텍스트 구성적 기능과 역할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특허문서는 법률언어와 기술언어가 융합된 특수한 텍스트 유형이다. 이 텍스트 유형은 기술적 내용을 법률적 요건에 접합시킨 전문적 문서이다. 따라서 특허문서는 기술 발전 및 발명을 설명하는 내용에 있어서는 과학기술 영역의 언어 특징을 반영하고 있고, 이러한 발명의 법적 보호를 위한 청구항의 내용 영역은 철저히 법률언어의 특성을 담고 있다. 특허문서의 언어는 규범적이고 관습적이며 표준화되어 있다. 이러한 표준화와 규범화는 독일어, 영어, 한국어 특허문서의 거시구조 뿐만 아니라 미시구조에도 반영되어 있다. 특허문서의 거시구조는 특허문서를 이루는 총체적 구조로서 크게는 발명품에 대한 기술 영역과 그 발명품에 대한 법적인 보호 청구항으로 구성된다. 미시구조는 세부 텍스트 단락의 구성 및 그 세부 구조 도입을 알리는 언어적 실현 양상을 의미한다. 미시구조적 차원에서 텍스트 내적 구조화에 기여하는 언어 실현체로서 표현틀은 독일어, 영어, 한국어 특허문서에서 텍스트 언어학적으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텍스트 단락의 도입이나 텍스트 단락을 알리거나 텍스트의 특정 구성요소를 통합하는 등과 같은 의사소통적 혹은 메타언어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논쟁의 연극적 공간과 개방적 리얼리즘-페터 바이스 총체극의 리얼리즘 고찰
열광, 찬사, 숭배-나치 프로파간다영화의 감정 내러티브-레니 리펜슈탈의 < 의지의 승리 >를 중심으로
독일어와 한국어 진행상 표현의 용법과 문법화에 대한 비교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