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자 프로 배구 경기 중 듀스 후 세트포인트에서의 공격 형태 분석 = The Analysis of Attack Types at Set Points during Deuce Situation of Female Professional Volleybal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030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of winning and losing by analyzing the attack patterns of the winning and losing teams when they become set points after a deuce in a women's professional volleyball game. To this end, women's professional volleyball V-League was analyzed for 236 matches and 271 sets of Deuce made out of a total of 1,314 games from 2013 to 2019 seasons. As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loss team's receive attempt, receive accuracy, attack attempt, attack form, winning team's scoring type, attack attempt player and attack type a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for chi-square test and relationship strength. For this, Cramér's V coefficient was obtained. As a result, the defeated team showed various attack types such as open attack, back attack, and quick open attack when the receive is correct, but when the receive was incorrect, the losing team focused on open attack and gave foreign players a chance of 50%. Foreign players mainly focused on back attack and open attack, and domestic players mainly on open attack. Therefore, in order to win, if the opponent's receive is inaccurate and the back attack and open attack commonly used by foreign players are defended with effective blocking or digging, then the player with the highest probability of scoring can wi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of winning and losing by analyzing the attack patterns of the winning and losing teams when they become set points after a deuce in a women's professional volleyball game. To this end, women's pro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of winning and losing by analyzing the attack patterns of the winning and losing teams when they become set points after a deuce in a women's professional volleyball game. To this end, women's professional volleyball V-League was analyzed for 236 matches and 271 sets of Deuce made out of a total of 1,314 games from 2013 to 2019 seasons. As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loss team's receive attempt, receive accuracy, attack attempt, attack form, winning team's scoring type, attack attempt player and attack type are analyzed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for chi-square test and relationship strength. For this, Cramér's V coefficient was obtained. As a result, the defeated team showed various attack types such as open attack, back attack, and quick open attack when the receive is correct, but when the receive was incorrect, the losing team focused on open attack and gave foreign players a chance of 50%. Foreign players mainly focused on back attack and open attack, and domestic players mainly on open attack. Therefore, in order to win, if the opponent's receive is inaccurate and the back attack and open attack commonly used by foreign players are defended with effective blocking or digging, then the player with the highest probability of scoring can wi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여자 프로 배구 경기에서 듀스 후 세트포인트가 되었을 때 승리팀과 패배팀의 공격 형태를 분석하여 승패 요인을 찾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여자 프로 배구 V-리그 2013시즌부터 7시즌동안 총 1,314경기 중 듀스가 만들어진 236경기, 271세트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으로는 패배팀의 리시브 시도 선수, 리시브 정확도, 공격 시도 선수, 공격 형태와 승리팀의 득점 형태, 공격 시도 선수 및 공격 형태 등의 결과를 빈도분석을 통한 카이제곱 검정과 관계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amér’s V 계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패배팀은 리시브가 정확할 때 오픈공격, 후위공격, 퀵오픈공격 등 다양한 공격형태를 보였으나, 리시브가 부정확할 때는 오픈공격을 위주로 하였다. 외국인 선수에게 기회를 50% 가까이 주었으며, 후위공격과 오픈공격을 위주로 하였고 국내 선수는 오픈공격을 위주로 하였다. 승리팀 또한 외국인 선수에게 50%가 넘는 기회를 주었으며, 오픈공격과 후위공격을 주로 구사하였다. 따라서 승리를 하기 위해서는 상대의 리시브를 부정확하게 하여 외국인 선수가 주로 구사하는 후위공격과 오픈공격을 유효블로킹이나 디그로 방어를 한 후, 득점 확률이 가장 높은 선수에게 공격 기회를 준다면 승리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여자 프로 배구 경기에서 듀스 후 세트포인트가 되었을 때 승리팀과 패배팀의 공격 형태를 분석하여 승패 요인을 찾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여자 프로 배구 V-리그 2013시...

      본 연구는 여자 프로 배구 경기에서 듀스 후 세트포인트가 되었을 때 승리팀과 패배팀의 공격 형태를 분석하여 승패 요인을 찾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여자 프로 배구 V-리그 2013시즌부터 7시즌동안 총 1,314경기 중 듀스가 만들어진 236경기, 271세트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으로는 패배팀의 리시브 시도 선수, 리시브 정확도, 공격 시도 선수, 공격 형태와 승리팀의 득점 형태, 공격 시도 선수 및 공격 형태 등의 결과를 빈도분석을 통한 카이제곱 검정과 관계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amér’s V 계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패배팀은 리시브가 정확할 때 오픈공격, 후위공격, 퀵오픈공격 등 다양한 공격형태를 보였으나, 리시브가 부정확할 때는 오픈공격을 위주로 하였다. 외국인 선수에게 기회를 50% 가까이 주었으며, 후위공격과 오픈공격을 위주로 하였고 국내 선수는 오픈공격을 위주로 하였다. 승리팀 또한 외국인 선수에게 50%가 넘는 기회를 주었으며, 오픈공격과 후위공격을 주로 구사하였다. 따라서 승리를 하기 위해서는 상대의 리시브를 부정확하게 하여 외국인 선수가 주로 구사하는 후위공격과 오픈공격을 유효블로킹이나 디그로 방어를 한 후, 득점 확률이 가장 높은 선수에게 공격 기회를 준다면 승리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상근, "한국프로야구팀의 승패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삼성라이온즈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2071-2083, 2007

      2 조성식, "프로배구와 프로농구 외국인선수제도 평가지표 항목개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5 (25): 261-273, 2016

      3 이기청, "여자배구 경기에서 팀 공격 성공을 위한 선수들의 수행 특성 평가" 한국운동역학회 15 (15): 1-18, 2005

      4 강상학, "여자 프로배구선수들의 스파이크 동작 분석" 한국체육학회 48 (48): 607-613, 2009

      5 박종철, "여자 프로 배구 선수들의 스파이크 서브 동작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1 (21): 1133-1141, 2010

      6 천영진, "여자 프로 배구 경기의 팀별 연속 득점 유형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3 (23): 1481-1488, 2014

      7 천영진, "여자 프로 배구 V-리그의 시즌 승률 모형 구축"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1255-1264, 2020

      8 민대기, "실시간 배구 정보시스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727-735, 2004

      9 김종원, "배구 서브리시브에 따른 팀 간 공격 차이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2 (22): 2119-2131, 2011

      10 천영진, "랠리포인트제에서 여자 프로배구 득점 내용 및 추이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0 (20): 729-737, 2011

      1 신상근, "한국프로야구팀의 승패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삼성라이온즈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9 (9): 2071-2083, 2007

      2 조성식, "프로배구와 프로농구 외국인선수제도 평가지표 항목개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 25 (25): 261-273, 2016

      3 이기청, "여자배구 경기에서 팀 공격 성공을 위한 선수들의 수행 특성 평가" 한국운동역학회 15 (15): 1-18, 2005

      4 강상학, "여자 프로배구선수들의 스파이크 동작 분석" 한국체육학회 48 (48): 607-613, 2009

      5 박종철, "여자 프로 배구 선수들의 스파이크 서브 동작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1 (21): 1133-1141, 2010

      6 천영진, "여자 프로 배구 경기의 팀별 연속 득점 유형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3 (23): 1481-1488, 2014

      7 천영진, "여자 프로 배구 V-리그의 시즌 승률 모형 구축" 한국자료분석학회 22 (22): 1255-1264, 2020

      8 민대기, "실시간 배구 정보시스템" 한국자료분석학회 6 (6): 727-735, 2004

      9 김종원, "배구 서브리시브에 따른 팀 간 공격 차이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2 (22): 2119-2131, 2011

      10 천영진, "랠리포인트제에서 여자 프로배구 득점 내용 및 추이 분석" 한국체육과학회 20 (20): 729-737, 2011

      11 이종경, "남자 프로배구 경기력 변인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학회 17 (17): 1061-1069, 2019

      12 천영진, "남자 프로 배구 경기 기록이 V-리그 시즌 승률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료분석학회 21 (21): 375-383, 2019

      13 황규영, "남녀 프로 배구선수의 경기 수행력 비교 분석" 한국스포츠학회 9 (9): 235-244, 2011

      14 Park, S. H., "What is the visual cues for predicting the offensive strategies in volleyball?" 8 : 7-15, 2004

      15 Parisi, F., "Video analysis in youth volleyball team" 9 (9): 584-587, 2014

      16 Afonso, J., "The relationship between spike tempo and zone on the number of blockers in a variety of men’s national team game phases" 8 (8): 19-23, 2005

      17 Papadimitriou, K., "The effect of the opponents serve on the offensive action of greek setters in volleyball games" 4 (4): 23-33, 2004

      18 Apriyanto, 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pponent’s error with the team victory of the volleyball national team on 2019 Peace Cup participants, Advances in Social Science" 407 : 158-160, 2020

      19 Moreno, M. P., "Study of the directions of service in men’s volleyball high level" 18 : 111-133, 2007

      20 Hsu, C. C., "Spiking and blocking events detection and analysis in volleyball videos" 19-24, 2012

      21 Lee, K. C., "Relationship of team standing to service success rate and spike success rate in men’s volleyball competition" 21 (21): 43-51, 2000

      22 Quiroga, M., "Relation between in-game role and service characteristics in elite women’s volleyball" 24 (24): 2316-2321, 2010

      23 Silva, M., "Match analysis in volleyball : a systematic review" 5 (5): 35-46, 2016

      24 "Korean Volleyball Federation"

      25 Palao, J. M., "Incidence of rotations on attack and block performance in volleyball" University of Granada 2001

      26 Palao, J. M., "Effect of the manner of spike execution on spike performance in volleyball" 7 (7): 126-138, 2007

      27 Palao, J. M., "Effect of team level on skill performance in volleyball" 4 (4): 50-60, 2004

      28 Valadés, D., "Effect of an upper body workout, based on the stretch-shortening cycle, on the speed of the ball at the volleyball spike" University of Alcalá 2005

      29 Costa, G., "Differences in game patterns between male and female youth volleyball" 44 (44): 60-66, 2012

      30 Häyrinen, M., "Differences between winning and losing teams in men’s European top-levvel volleyball" 168-177, 2004

      31 Mesquita, I., "Defensive participation and efficacy of the libero in volleyball" 52 (52): 95-108, 2007

      32 Drikos, S., "Correlate of team performance in volleyball" 9 (9): 149-156, 2009

      33 Mergheş, P. E., "Comparative analysis of the"Libero"in great performance volleyball" 6 (6): 23-28, 2014

      34 Lin, K., "Applying game theory to volleyball strategy" 14 (14): 761-774, 2014

      35 Palao, J. M., "Anthropometric, physical and age differences by the player position and the performance level in volleyball" 44 : 223-236, 2014

      36 Fernandez-Echeverria, C., "Analysis of the variables that predict serve efficacy in young volleyball players" 15 (15): 172-186, 2015

      37 Ferguson, C. J., "An effect size primer : a guide for clinicians and researchers" 40 (40): 532-538, 2009

      38 Lobietti, R., "A review of blocking in volleyball : from the notational analysis to biomechanics" 4 (4): 93-99,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