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아공 ‘진실과 화해 위원회(TRC)’를 통해 본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 담론 = Christian Discourse of Justice and Reconciliation through the Lens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TRC) of South Afric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29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헌정사상 초유의 국정농단사태를 경험하면서 어느 때보다 정의를 갈망하는 한국사회에 한국교회는 어떤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인가? 본 논문의 목적은 남아공의...

      헌정사상 초유의 국정농단사태를 경험하면서 어느 때보다 정의를 갈망하는 한국사회에 한국교회는 어떤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의 비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인가? 본 논문의 목적은 남아공의 기적을 이룬 ‘진실과 화해 위원회’(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의 전략과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우리 시대와 사회를 위한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 담론의 포석을 모색하는 것이다. TRC는 아파르트헤이트의 차별과 억압의 시대를 종식하고 국가 일치와 화해 증진을 위해 설립되었다. 과거사의 진실을 밝히고 화해의 공동체를 수립하기 위해 TRC가 선택한 방식은 ‘회복적 정의’, ‘우분투(Ubuntu)의 화해’, 그리고 ‘공적 스토리텔링을 통한 국가적 기억으로의 통합’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이것들은 각각 기독교적 가치와 비전을 반영하고 있다.
      첫째, TRC는 ‘응보적 정의’ 대신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를 통해 희생자와 가해자와 공동체가 다 같이 참여하여 책임과 치유와 관계회복을 이루고자 하였다. 이는 사회적 약자들과 고통 받고 억압받는 자들을 돌아보시고 해방하시고 위로하시며, 죄인을 용서하시고 의롭다 하시고 거룩하게 만드시는 하나님의 ‘공감적 정의’(compassionate justice)와 상응한다.
      둘째, TRC의 화해 개념은 어떤 사람이나 집단의 정체성과 존엄성이 공동체적 관계와 상호성 속에서 형성된다는 아프리카의 형제애와 인간성 개념인 ‘우분투’(Ubuntu)에 기반을 둔다. 아프리카의 토착사상인 우분투는 깨어진 세상을 바라보는 방식에서 성경적인 ‘샬롬’과 닮았지만, 샬롬은 이 세상의 화해와 번영의 가능성이 오직 세계 너머에서 오는 초월성으로 통해서만 가능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기독교 세계관을 더 분명하게 반영한다. 또한 샬롬의 비전은 인간 삶의 모든 관계들이 완전하고 조화롭고 정의로운 질서 속에서 기쁨을 누리는 참여와 교제의 풍요와 번영의 종결을 제시해준다.
      셋째, TRC는 아파르트헤이트의 피해자와 가해자의 이야기를 공적으로 나눔으로써 그 기억을 국가적 기억(national memory)에 통합시키려 하였다. 이는 과거의 아픈 역사를 용서하되 미래를 위해서 잊지 않기 위함이다. 그리스도인 공동체의 삶의 중심에도 하나님의 구속이야기에 대한 기억과 기념과 고백과 송축이 자리 잡고 있다. ‘기억하기’는 그리스도인들이 예수의 이야기와 하나님의 구원역사에 자신들의 이야기를 통합시키는 방식이다. 더 나아가 그리스도인들은 최종적으로 기억의 구속이 일어날 종말을 믿고 고대한다.
      TRC의 프로세스의 세 가지 핵심개념에 상응하는 사상들은 우리 시대를 위한 기독교적 정의와 화해 담론에 긴요한 영감과 통찰을 제공해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at kind of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vision can be presented to the Korean society that is more desperate for justice than ever before by experiencing former president Park and her friend Choi’s manipulation of government affairs, which...

      What kind of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vision can be presented to the Korean society that is more desperate for justice than ever before by experiencing former president Park and her friend Choi’s manipulation of government affairs, which is unprecedented in constitutional hist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and activities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South Africa,’ which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miracle of South Africa, and by so doing to find a basis for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discourse for our time and society. The TRC was established in order to end the period of apartheid discrimination and repression and to promote national unity and reconciliation. The TRC’s approach to clarifying the truth of past history and establishing a community of reconciliation can be summarized as ‘restorative justice’, ‘Ubuntu reconciliation’, and ‘integration into national memory through public storytelling’, Each of which, I believe, reflects Christian values and visions.
      First, the TRC tried to make victim, perpetrator, and community participate in achieving responsibility, healing and restoration of relationship by employing not the concept of ‘retributive justice’ but ‘restorative justice’. It corresponds to the ‘compassionate justice’ of God, who did not only look after the weak, the suffering and oppressed, but also free, comfort, forgive, justify, and sanctify sinners.
      Second, the TRC concept of reconciliation is based on the African concept of brotherhood and humanity, ‘Ubuntu’, which claims that the identity and dignity of any person or group can be formed only within a communal relationship and reciprocity. An indigenous idea of Ubuntu bears a close parallel to a biblical ‘Shalom’ in the way it views a broken world. But Shalom shows the Christian worldview clearly by declaring that any reconciliation and prosperity in this world is possible only through transcendence beyond this world. The vision of Shalom also would envision the abundant and prosperous eschatos of participation and fellowship, in which all the relationships of human life will be enjoying joy in perfect, harmonious and just order.
      Third, by publicly sharing the story of both the victims and the perpetrators of the apartheid, the TRC attempted to integrate their memories into the national memory. This is to forgive the sad history of the past but not forget it for the future. At the heart of the Christian community is the memory, commemoration, confession, and praise of God’s story of redemption. ‘Remembering’ is a way for Christians to integrate their stories into Jesus’ story and God’s redemptive history. Furthermore, Christians look forward to the redemption of memory in the final stage.
      These Christian ideas, which can be said to correspond to the three core concepts of the TRC process, would provide critical inspiration and insight into a Christian justice and reconciliation discourse for our tim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Zehr, Howard, "회복적 정의란 무엇인가? : 범죄와 정의에 대한 새로운 접근" Korea Anabaptist Press 2010

      2 Katongole, Emmanuel, "화해의 제자도" IVP 2013

      3 김현수, "조건적 용서와 무조건적 용서의 화해를 향하여 -블라디미르 얀켈레비치, 자끄 데리다, 폴 리꾀르의 용서이론에 대한 고찰" 한국기독교학회 (76) : 275-299, 2011

      4 Wolterstorff, Nicholas, "정의와 평화가 입맞출 때까지" IVP 2007

      5 이태호, "예수와 사회정의: 마가복음 11:15-17" 한국복음주의신학회 61 : 241-273, 2012

      6 Aristoteles, "수사학/시학" 숲 2017

      7 장동진, "서양 정의이론의 동아시아 수용: 롤즈 정의이론의 한국적 이해" 한국정치사상학회 12 (12): 80-100, 2006

      8 Volf, Miroslav, "배제와 포용" IVP 2012

      9 김비환.,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 비판: 민주적 형이상학과 사회의 기본구조를 중심으로" 30 : 5-23, 1996

      10 김광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가건설: 진실과 화해 위원회가 역사청산, 국민화합, 그리고 민주화 과정에 기여한 역할을 중심으로" 15 : 29-80, 2002

      1 Zehr, Howard, "회복적 정의란 무엇인가? : 범죄와 정의에 대한 새로운 접근" Korea Anabaptist Press 2010

      2 Katongole, Emmanuel, "화해의 제자도" IVP 2013

      3 김현수, "조건적 용서와 무조건적 용서의 화해를 향하여 -블라디미르 얀켈레비치, 자끄 데리다, 폴 리꾀르의 용서이론에 대한 고찰" 한국기독교학회 (76) : 275-299, 2011

      4 Wolterstorff, Nicholas, "정의와 평화가 입맞출 때까지" IVP 2007

      5 이태호, "예수와 사회정의: 마가복음 11:15-17" 한국복음주의신학회 61 : 241-273, 2012

      6 Aristoteles, "수사학/시학" 숲 2017

      7 장동진, "서양 정의이론의 동아시아 수용: 롤즈 정의이론의 한국적 이해" 한국정치사상학회 12 (12): 80-100, 2006

      8 Volf, Miroslav, "배제와 포용" IVP 2012

      9 김비환., "롤즈의 정치적 자유주의 비판: 민주적 형이상학과 사회의 기본구조를 중심으로" 30 : 5-23, 1996

      10 김광수,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국가건설: 진실과 화해 위원회가 역사청산, 국민화합, 그리고 민주화 과정에 기여한 역할을 중심으로" 15 : 29-80, 2002

      11 김영수, "남아공 시민사회와 진실화해위원회" 역사문제연구소 (109) : 94-118, 2014

      12 Volf, Miroslav, "기억의 종말" IVP 2016

      13 고재길, "공정사회와 기독교정의론에 대한 연구" 세계선교연구원 (35) : 161-199, 2015

      14 송용섭, "공감적 정의를 향하여 —일베 현상을 통한 롤즈의 정의론의 비판적 성찰과 대안으로서의 공감적 정의" 한국기독교학회 (99) : 91-119, 2016

      15 김재성, "거룩한 교회와 정의, 평화, 자유의 나라: ‘복음과 사회적 책임: 유형적 연구를 중심으로’에 대한 논평" 33 : 26-37, 2003

      16 중앙일보, "[취임식 현장에서] 트럼프 나오자 ‘USA’ 연호...90만 인파90%이상이 백인"

      17 Marx, Christoph, "Ubu and Ubuntu: On the Dialectics of Apartheid and Nation Building" 29 (29): 49-69, 2002

      18 Verwoerd, Wilhelm J., "Toward the Truth about the TRC: A Response to Key Moral Criticisms of the South African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6 (6): 303-324, 1999

      19 Smit, Dirk J.,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Tentative Religious and Theological Perspective" 90 : 3-15, 1995

      20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of South Africa Report, 5 vols"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1998

      21 Republic of South Africa, "The Promotion of National Unity and reconciliation Act"

      22 Torrance, Alan J., "The Politics of Past Evil:Religion, Reconciliation, and the Dilemma of Transitional Justice"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45-86, 2006

      23 Marshall, Chris, "The Little Book of Biblical Justice: A Fresh Approach to the Bible’s Teachings on Justice" Good books 2005

      24 Wolterstorff, Nicholas, "Spirituality, Justice, and Remembering" 70 : 10-20, 2012

      25 Clark, Nancy L., "South Africa : The Rise and Fall of Apartheid" Longman 2004

      26 Mouton, Elna, "Shared Stories for the Future?: Theological Reflections on Truth and Reconciliation in South Africa" 2 : 40-62, 2008

      27 Yoder, Perry, "Shalom: The Bible’s Word for Salvation, Justice and Peace" Evangelical Publishing 1987

      28 Consedine, Jim, "Restorative Justice : Healing the Effects of Crime" Plough shares 1995

      29 Battle, Michael J., "Reconciliation: The Ubuntu Theology of Desmond Tutu" Pilgrim 1997

      30 Tsedu, Mathatha, "Questioning If Guilt Without Punishment Will Lead to Reconciliation: The Black Press Relieves its Own Horrors and Seeks Justice. Nieman Reports 52"

      31 Gibson, James L., "Overcoming Apartheid: Can Truth Reconcile a Divided Nation?" Russell Sage Foundation 2006

      32 Plantinga Jr. Cornelius, "Not the Way It’s Supposed to Be: A Breviary of Sin" Wm. B. Eerdmans 1995

      33 Tutu, Desmond N., "No Future without Forgiveness" Random house 1999

      34 Terreblanche, Sampie J., "Looking Back Reaching Forward" UCT Press 265-276, 2000

      35 Bruggerman, Walter, "Living Toward a Vision: Biblical Reflections on Shalom" United Church Press 1982

      36 Boesak, Allan A., "Living Theology: Essays presented to Dirk J. Smit on his Sixtieth Birthday" Bible Media 569-584, 2011

      37 "Lausanne Covenant"

      38 Bianchi, Herman, "Justice as Sanctuary : Toward a System of Crime Control"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39 Van Ness Daniel W., "Handbook of Restorative Justice" Willan Publishing 2007

      40 Boesak, Allan A., "Farewell to Innocence : A Socio-Ethical Study of Black Theology and Black Power" Orbis 1984

      41 Smit, Dirk J., "Essays on Being Reformed" SUN MeDIA 377-380, 2009

      42 Shore, Megan, "Christianity and Justice in the South African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A Case Study in Religious Conflict Resolution" 9 : 161-178, 2008

      43 "Belhar Confession"

      44 Ramose, Mogobe B., "African Philosophy Reader" Routledge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9 0.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