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동세어(大東世語)』를 통하여 본 일본에서의 세설체 문학 수용 = Reception of Shishuo-style novel in Japan based on an analysis into Daitoseig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229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지인소설의 창작과 수용 과정에 대해 살펴보던 중, 한국과 일본의 세설체 문학 창작양상의 차이를 발견했다. 두 나라 모두 독서물로 『세설신어』와 세설체 문학을 선호하였으나 한국과 달...

      지인소설의 창작과 수용 과정에 대해 살펴보던 중, 한국과 일본의 세설체 문학 창작양상의 차이를 발견했다. 두 나라 모두 독서물로 『세설신어』와 세설체 문학을 선호하였으나 한국과 달리 일본에서는 세설체 문학의 창작이 활발했다. 그 이유를 겐로쿠시대의 학문 부흥으로 인한 유학 붐, 오규 소라이 학파의 『세설신어』에 대한 애호, 명나라 때 세설체 문학의 유행의 영향 등에서 찾아보았다. 그 중 효시격인 작품인 『대동세어』는 형식과 내용 측면에서 모두 『세설신어』를 주체적으로 수용한 흔적이 보인다. 체제면에서 『세설신어』의 편목을 거의 그대로 사용하였으나 다섯 편목이 생략되었다. 편목에 맞게 내용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작가의 편찬 기준을 볼 때 작가가 의도적으로 몇 편목을 생략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측했다. 내용 면에서는 헤이안 시대의 문학풍토를 바탕으로 하였으나 편찬 기준에서 에도 시대 유학자인 저자의 시각이 반영되어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explaining the creation and acceptance process of Zhiren Xiaoshuo, I found a difference in acceptance aspect of Korean and Japanese "ShiShouXinYu". Both countries preferred Shishuo-style novel as a reading text, but unlike Korea, the creation of...

      While explaining the creation and acceptance process of Zhiren Xiaoshuo, I found a difference in acceptance aspect of Korean and Japanese "ShiShouXinYu". Both countries preferred Shishuo-style novel as a reading text, but unlike Korea, the creation of Shishuo-style novel was active in Japan. The reason was investigated by the boom of studying abroad by the revival of the Genroku era, the love of the Ogyu Sorai school's "ShiShouXinYu", the influence of the epidemic of Ming Dynasty literature. Hattori Nankaku's work "Daitoseigo" has traces of subjecting the Shishuo-style novel on its own in terms of both form and content. On the system side, the table of contents of the "ShiShouXinYu" was used almost as it was, but five editions were omitted. In the process of organizing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table of contents, when I look at the compilation criteria of the author, I speculated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the author intentionally omitted some editions. In terms of content, although it was based on the literary climate of the Heian period, it is based on compilation criteria, reflecting the viewpoint of the author, which is a Confucianist in the Edo perio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경희, "현종실록자본 『世說新語補』 간행과 流傳의 문화사적 의미" 한국한문학회 (52) : 498-532, 2013

      2 이노구치 아츠시, "일본한문학사" 소명출판 2000

      3 김장환, "유의경과 『세설신어』" 신서원 2007

      4 유의경, "세설신어 상․중․하" 살림 1997

      5 孫虎堂, "簡論服部南郭及其漢文小說《大東世語》" 24 : 2008

      6 孫虎堂, "日本漢文小說研究" 上海古籍出版社 2010

      7 王三慶, "日本漢文小說叢刊第一輯" 台灣學生書局 2003

      8 加藤 周一, "日本文学史序o 下" 筑摩書房 1980

      9 橘健二, "大鏡" 小學館 2008

      10 堀誠, "大東世語「雅量」篇注釈稿" 18 : 2008

      1 노경희, "현종실록자본 『世說新語補』 간행과 流傳의 문화사적 의미" 한국한문학회 (52) : 498-532, 2013

      2 이노구치 아츠시, "일본한문학사" 소명출판 2000

      3 김장환, "유의경과 『세설신어』" 신서원 2007

      4 유의경, "세설신어 상․중․하" 살림 1997

      5 孫虎堂, "簡論服部南郭及其漢文小說《大東世語》" 24 : 2008

      6 孫虎堂, "日本漢文小說研究" 上海古籍出版社 2010

      7 王三慶, "日本漢文小說叢刊第一輯" 台灣學生書局 2003

      8 加藤 周一, "日本文学史序o 下" 筑摩書房 1980

      9 橘健二, "大鏡" 小學館 2008

      10 堀誠, "大東世語「雅量」篇注釈稿" 18 : 2008

      11 堀誠, "大東世語「賢媛」篇 注釈稿" 23 : 2013

      12 堀誠, "大東世語「賞譽」篇注釈稿" 19 : 2009

      13 堀誠, "大東世語「豪爽」篇注釈稿" 22 : 2012

      14 堀誠, "大東世語「豪爽」篇 注釈稿" (22) : 2011

      15 堀誠, "大東世語「識鑒」篇注釈稿" 56 : 2008

      16 堀誠, "大東世語「術解」篇注釈稿" 24 : 2014

      17 堀誠, "大東世語「簡傲」篇注釈稿" 26 : 2016

      18 堀誠, "大東世語「棲逸」篇注釈稿" 61 : 2013

      19 堀誠, "大東世語「政事篇」注釈稿" 54 : 2006

      20 堀誠, "大東世語「排調」篇注釈稿" (64) : 2016

      21 堀誠, "大東世語「捷悟」篇注釈稿" 21 : 2011

      22 堀誠, "大東世語「巧藝」篇注釈稿" 62 : 2013

      23 堀誠, "大東世語「寵禮」篇注釈稿" 25 : 2015

      24 堀誠, "大東世語「容止」篇注釈稿" 59 : 2011

      25 堀誠, "大東世語「夙慧」篇注釈稿" 58 : 2010

      26 堀誠, "大東世語「品藻」篇注釈稿" 20 : 2010

      27 堀誠, "大東世語「企羨」篇・「傷逝」篇注釈稿" 60 : 2011

      28 堀誠, "大東世語「任誕」篇注釈稿" 63 : 2015

      29 민관동, "中國古典小說의 出版文化 硏究 ― 조선시대 출판본과 출판문화를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학회 (30) : 213-238, 2012

      30 한영규, "『송천필담』의 明代 淸言 수용 양상" 한국학중앙연구원 33 (33): 65-91, 2010

      31 노경희, "『세설신어보』의 조선과 에도 문단의 출판과 향유층 비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2) : 71-97, 2015

      32 김장환, "『세설신어』의 한국 전래 시기에 대하여" 9 : 1997

      33 김장환, "『세설신어』 창작의 소설사적 배경과 지인소설적 특성" 2 : 1991

      34 김정숙, "『세설신어』 독자 형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고찰 - 명대 중엽 홍치년간(弘治年間) 강남 오중문인(吳中文人)의 인물지 -" 국학연구원 (171) : 131-164, 2015

      35 김장환, "『世說新語』 續書 硏究 : 『世說新語補』" 16 : 2001

      36 유희준, "《皇明世說新語》의 국내 출판과 수용 연구" 한국중국소설학회 (40) : 1-29,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4 0.23 0.62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