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농림축산물 비교우위 분석을 통한 남북농업협력 가능성 모색 =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Inter-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by Analyzing Comparative Advantages of Agricultural Products in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658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re lifted and the peace era on the Korean peninsula becomes visible, cooper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is expected to be pursued first, given North Korea's food crisis, economic conditions, and policy direc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North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by using North Korea's trade statistics and market price data, and reviews the factors that could lead to potential comparative advantages of North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future, such as warming of the Korean peninsula, aging agricultural workers in South Korea, livestock structure and nutrient balances between the two Korea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we classified the agricultural products that can be cooperated into ① private trade items based on the present comparative advantage, ② investment cooperation items that can expect the long-term comparative advantage, and ③ government-led leading agricultural cooperation items.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inter-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projects were explored along with the three item groups.
      번역하기

      I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re lifted and the peace era on the Korean peninsula becomes visible, cooper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is expected to be pursued first, given North Korea's food crisis, economic conditions, and policy directions....

      If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re lifted and the peace era on the Korean peninsula becomes visible, cooperation in the agricultural sector is expected to be pursued first, given North Korea's food crisis, economic conditions, and policy direc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North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by using North Korea's trade statistics and market price data, and reviews the factors that could lead to potential comparative advantages of North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future, such as warming of the Korean peninsula, aging agricultural workers in South Korea, livestock structure and nutrient balances between the two Koreas.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we classified the agricultural products that can be cooperated into ① private trade items based on the present comparative advantage, ② investment cooperation items that can expect the long-term comparative advantage, and ③ government-led leading agricultural cooperation items.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ies and challenges of inter-Korean agricultural cooperation projects were explored along with the three item group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북제재가 해제되고, 한반도의 평화체제 전환과 함께 남북한 간 교류협력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경우, 북한의 식량문제와 경제여건, 정책방향 등을 감안할 때, 농업분야 협력이 우선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무역통계, 시장가격 자료 등을 활용하여 북한 농림축산물의 비교우위를 분석하였으며, 한반도 온난화, 남한의 농업인력 고령화, 남북한 축산기반 및 양분수지 불균형 등 향후 북한 농림축산물의 잠재적 비교우위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① 현재 비교우위를 기반으로 한 민간교역 대상품목, ② 중장기 비교우위를 기대할 수 있는 투자협력 대상품목, ③ 정부 주도의 선도적 농업협력 대상품목으로 구분하여 유형별 남북 농업협력사업의 가능성과 도전과제를 모색하였다.
      번역하기

      대북제재가 해제되고, 한반도의 평화체제 전환과 함께 남북한 간 교류협력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경우, 북한의 식량문제와 경제여건, 정책방향 등을 감안할 때, 농업분야 협력이 우선 추진될...

      대북제재가 해제되고, 한반도의 평화체제 전환과 함께 남북한 간 교류협력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경우, 북한의 식량문제와 경제여건, 정책방향 등을 감안할 때, 농업분야 협력이 우선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무역통계, 시장가격 자료 등을 활용하여 북한 농림축산물의 비교우위를 분석하였으며, 한반도 온난화, 남한의 농업인력 고령화, 남북한 축산기반 및 양분수지 불균형 등 향후 북한 농림축산물의 잠재적 비교우위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들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① 현재 비교우위를 기반으로 한 민간교역 대상품목, ② 중장기 비교우위를 기대할 수 있는 투자협력 대상품목, ③ 정부 주도의 선도적 농업협력 대상품목으로 구분하여 유형별 남북 농업협력사업의 가능성과 도전과제를 모색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길, "한반도의 자원순환형 친환경농업 발전 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1 (31): 1-30, 2008

      2 이성봉, "한국과 중국의 대 북한 경제적 영향력 비교:북한의 수출 상품 구조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5 (15): 217-237, 2011

      3 김영훈, "패키지형 남북농업협력 프로그램 개발과 추진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임업 관측정보-밤" 한국농촌경제 2018

      5 김창길, "양분총량제 도입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6 통계청, "북한통계포털"

      7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8 정 영, "북한의 잣 수출과 해외 시세"

      9 FAO, "북한의 작황 및 식량안보평가 특별보고서" FAO 2013

      10 FAO, "북한의 작황 및 식량안보평가 특별보고서" FAO 2012

      1 김창길, "한반도의 자원순환형 친환경농업 발전 방향과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31 (31): 1-30, 2008

      2 이성봉, "한국과 중국의 대 북한 경제적 영향력 비교:북한의 수출 상품 구조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 15 (15): 217-237, 2011

      3 김영훈, "패키지형 남북농업협력 프로그램 개발과 추진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2

      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임업 관측정보-밤" 한국농촌경제 2018

      5 김창길, "양분총량제 도입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

      6 통계청, "북한통계포털"

      7 통일부, "북한정보포털"

      8 정 영, "북한의 잣 수출과 해외 시세"

      9 FAO, "북한의 작황 및 식량안보평가 특별보고서" FAO 2013

      10 FAO, "북한의 작황 및 식량안보평가 특별보고서" FAO 2012

      11 FAO, "북한의 작황 및 식량안보평가 특별보고서" FAO 2011

      12 김영훈, "북한의 식량수급 실태와 대북 식량지원의 과제"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9

      13 김영훈, "북한의 농업법제 고찰"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14 임정빈, "북한의 농림수산물 대외무역 분석과 남북한 반출입 유망품목" 한국농식품정책학회 36 (36): 757-794, 2009

      15 박영자,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2차 회의 분석 및 향후 대외정책 전망" 통일연구원 2019

      16 통계청, "농축산물생산비조사"

      1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 관측통계시 스템(OASIS)-농축산물도매시장가격정보"

      18 전남도청, "내부자료"

      19 제주특별자치도청, "내부자료"

      20 데일리NK, "내부자료"

      21 오형완, "남북한 민간교역의 활성화 방안: 농산물 중심으로" 11 (11): 29-49, 2007

      22 권태진, "남북한 농업개발협력 추진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7

      23 권태진, "남북한 농림산물 계약재배 추진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9

      24 한국무역협회, "남북교역통계"

      25 장경호, "남북 농업의 상호보완성 증대를 위한 농업협력의 발전단계와 협력과제" 3 (3): 345-384, 2011

      26 이진희, "남 대북 식량 지원 끊기면 최대 200만 톤 부족"

      27 농촌진흥청,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농작물 주산지 이동현황"

      28 농촌진흥청, "기후 변화에 민감한 과수, 100년 뒤 재배지 모습은?"

      29 국가지표체계, "가축분뇨 발생량 및 처리현황"

      30 "批发松子批发市场"

      31 中国统计出版社, "全国农产品成本收益资料汇编" 中国统计出版社 2017

      32 中国统计出版社, "全国农产品成本收益资料汇编" 中国统计出版社 2018

      33 中国统计出版社, "全国农产品成本收益资料汇编" 中国统计出版社 2015

      34 中国统计出版社, "全国农产品成本收益资料汇編" 中国统计出版社 2016

      35 "中华粮网"

      36 "WFP INTERFAIS"

      37 "UNCOMTRADE"

      38 "OECD 홈페이지"

      39 한국농촌경제연구원, "KREI-북한농업동향" 한국농촌경제 2018

      40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KAMIS 농산물 유통정보"

      41 "Global Trade Atlas"

      42 "FAOSTAT"

      43 "Alibaba"

      44 이 석, "5·24 조치 이후 북중무역과 남북교역의 변화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13

      45 통계청, "2017 북한의 주요통계" 통계청 2017

      46 농촌진흥청, "2017 농축산물소득자료집" 농촌진흥청 2018

      47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5년 1분기부터 2018년 2분기까지 각 월별. 농업관측월보-건고추, 양파, 마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8

      48 통계청, "2015 농림어업총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북한연구원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3 0.19 1.246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