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유형과 관여수준이 공중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6811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최근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공중의 평가를 측정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기업 중에서도 특히 건강에 해로운 제품을 생산해서 사회적으로 논란이 있는 담배회사의 사회공헌활동이 해당 회사의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서 구체적으로 사회공헌활동의 수준(높음 대 낮음)과 사회공헌활동의 유형(기부 대 대의연계 마케팅) 그리고 사회공헌활동의 대외적 수행역할을 담당하는 보증인(endorser)의 효과와 이들의 상호작용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두 쌍의 2×2 요인분석 실험연구를 실행하였고 총 188명의 대학생이 참가하였다. 종속변인은 회사에 대한 신뢰, 회사 선호도 그리고 구매의도였다. 연구결과로는 사회공헌활동의 수준의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의가 있음이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공헌활동의 유형은 일부만이 발견되었다. 보증인 효과에서 유명인과 일반인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보증인과 사회공헌활동의 수준차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구결과에서 의미하는 것은 담배회사의 경우 사회공헌활동의 수행에 있어서 얼마만큼 오랫동안 많은 양의 사회공헌을 수행했는가의 여부가 공중의 평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다. 사회공헌활동의 유형에 있어서는 인류애적 기부를 하는 경우가 대의연계 마케팅을 수행하는 것 보다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결과는 다른 종속변인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번 연구에서 포함하지 못한 좋은 명성을 가진 기업과의 비교를 통해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또한 대학생 이외의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가진 참여자를 모집함으로써 연구결과에 일반화에 더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최근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공중의 평가를 측정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기업 중에서도 특히 건강에 해로운 제품을 생산해서 사회적으로 논란이 ...

      이 논문은 최근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공중의 평가를 측정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기업 중에서도 특히 건강에 해로운 제품을 생산해서 사회적으로 논란이 있는 담배회사의 사회공헌활동이 해당 회사의 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해서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서 구체적으로 사회공헌활동의 수준(높음 대 낮음)과 사회공헌활동의 유형(기부 대 대의연계 마케팅) 그리고 사회공헌활동의 대외적 수행역할을 담당하는 보증인(endorser)의 효과와 이들의 상호작용효과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두 쌍의 2×2 요인분석 실험연구를 실행하였고 총 188명의 대학생이 참가하였다. 종속변인은 회사에 대한 신뢰, 회사 선호도 그리고 구매의도였다. 연구결과로는 사회공헌활동의 수준의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의가 있음이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공헌활동의 유형은 일부만이 발견되었다. 보증인 효과에서 유명인과 일반인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보증인과 사회공헌활동의 수준차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 역시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구결과에서 의미하는 것은 담배회사의 경우 사회공헌활동의 수행에 있어서 얼마만큼 오랫동안 많은 양의 사회공헌을 수행했는가의 여부가 공중의 평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다. 사회공헌활동의 유형에 있어서는 인류애적 기부를 하는 경우가 대의연계 마케팅을 수행하는 것 보다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러한 결과는 다른 종속변인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번 연구에서 포함하지 못한 좋은 명성을 가진 기업과의 비교를 통해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또한 대학생 이외의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가진 참여자를 모집함으로써 연구결과에 일반화에 더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effects of CSR level (high vs. low), CSR types (philanthropic donations vs. cause-related marketing), and endorser (celebrity vs. ordinary people) and interaction effects on publics’ attitudes toward companies and purchase intention. The experimental method is adopted for inferring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variables. A two sets of experiments are adopted and two hundred and eighty eight participants are recruite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company trust, company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Results show that CSR level’s main effect is detected; however, the effect of CSR types produces mixed results. Neither celebrity effect nor any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re found. Only the amount and intensity of CSR receives strong positive evaluations from the publ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acticing CSR constantly and large amount of CSR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anticipating successful CSR activities. It is possible that philanthropic donations work better than cause-related marketing(CRM) in terms of purchase intention;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fix because this study did not show this suggestion with all the dependent variables.
      Future studies are guided to incorporate both good and bad reputation companies which practiced either philanthropic donations and CRM. Also is advised recruiting more diverse sampl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effects of CSR level (high vs. low), CSR types (philanthropic donations vs. cause-related marketing), and endorser (celebrity vs. ordinary people) and interaction effects on publics’ attitudes toward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ain effects of CSR level (high vs. low), CSR types (philanthropic donations vs. cause-related marketing), and endorser (celebrity vs. ordinary people) and interaction effects on publics’ attitudes toward companies and purchase intention. The experimental method is adopted for inferring the causal relations between variables. A two sets of experiments are adopted and two hundred and eighty eight participants are recruited. The dependent variables are company trust, company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Results show that CSR level’s main effect is detected; however, the effect of CSR types produces mixed results. Neither celebrity effect nor any interaction effect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are found. Only the amount and intensity of CSR receives strong positive evaluations from the public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acticing CSR constantly and large amount of CSR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anticipating successful CSR activities. It is possible that philanthropic donations work better than cause-related marketing(CRM) in terms of purchase intention;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fix because this study did not show this suggestion with all the dependent variables.
      Future studies are guided to incorporate both good and bad reputation companies which practiced either philanthropic donations and CRM. Also is advised recruiting more diverse sampl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사회공헌활동 경향과 효과
      • Ⅲ. 사회공헌활동 효과의 이론적 근거
      • Ⅳ.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요약]
      • Ⅰ. 서론
      • Ⅱ. 사회공헌활동 경향과 효과
      • Ⅲ. 사회공헌활동 효과의 이론적 근거
      • Ⅳ.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 Ⅴ. 연구결과
      • Ⅵ. 토의 및 연구한계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현, "유명 옹호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52 : 7-24, 2001

      2 "아시아 투데이, 2009. 2. 5: 17"

      3 한은경, "기업의 사회책임활동이 구매 의도에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0 (60): 155-177, 2003

      4 권근혜, "기업의 사회책임 활동 태도가 기업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5 송은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태도가 기업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6 이한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동기추론이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6 (6): 285-310, 2007

      7 윤각, "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기업광고가 기업이미지와브랜드태도형성에 미치는영향력에관한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1 (61): 47-72, 2003

      8 유지수,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보도 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9 (19): 43-78, 2008

      9 이한준, "기업사회공헌에 관한 소비자 인식" 2 : 101-154, 2005

      10 차희원, "기업 이미지와 기업명성이 조직-공중 관계성과 기업 슈퍼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68) : 171-199, 2005

      1 김정현, "유명 옹호인의 광고효과에 관한 연구" 52 : 7-24, 2001

      2 "아시아 투데이, 2009. 2. 5: 17"

      3 한은경, "기업의 사회책임활동이 구매 의도에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0 (60): 155-177, 2003

      4 권근혜, "기업의 사회책임 활동 태도가 기업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5 송은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태도가 기업 이미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6 이한준,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동기추론이 기업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6 (6): 285-310, 2007

      7 윤각, "기업의 사회공헌활동과 기업광고가 기업이미지와브랜드태도형성에 미치는영향력에관한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1 (61): 47-72, 2003

      8 유지수,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뉴스보도 유형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학회 19 (19): 43-78, 2008

      9 이한준, "기업사회공헌에 관한 소비자 인식" 2 : 101-154, 2005

      10 차희원, "기업 이미지와 기업명성이 조직-공중 관계성과 기업 슈퍼브랜드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광고공사 (68) : 171-199, 2005

      11 차희원, "기업 명성의 개념 정립과 한국형 명성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광고공사 (64) : 259-289, 2004

      12 문철수, "기업 PR 캠페인으로서의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에 관한 연구: 국내외 담배회사의 사회공헌활동 사례를 중심으로" 15 (15): 343-350, 2004

      13 진달영, "광고모델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8 (8): 71-80, 1996

      14 Varadarajan, R., "The Rol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Strengthening Multiple Stakeholder Relationships" 32 (32): 58-74, 1998

      15 Heider, Fritz,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Wiley 1958

      16 Kelley, Harold H., "The Process of Causal Attribution" 28 : 107-128, 1973

      17 Lantos, Geoffrey P., "The Ethicality of Altruistic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19 (19): 509-531, 2002

      18 Folkes, Valerie S., "Recent Attribution Research in Consumer Behavior: A Review and New Directions" 14 : 548-565, 1988

      19 Bandura, Albert, "Human Agency in Social Cognitive Theory" 11 (11): 1176-1177, 1989

      20 Sen, Sankarand, "Does Doing Good Always Lead to Doing Better" 38 (38): 158-176, 2001

      21 Menon, Satya, "Corporate Sponsorships of Philanthropic Activities: When Do They Impact Perceptions of Sponsor Brand" 13 (13): 316-327, 2003

      22 Carroll, Archie B.,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38 (38): 268-281, 1999

      23 Wagner, T., "Corporate Hypocrisy: Overcoming the Threat of Inconsisten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Perceptions" 73 : 77-91, 2009

      24 Webb, Ellen P., "Building Corporate Associations: Consumer Attributes for Corporate Socially Responsible Programs" 34 (34): 147-157,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5 0.87 0.865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