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말산업 육성법」고찰을 통한 레저승마 활성화 방안 = A Study on the Method to Activate Leisure Horse Riding by Considering 「Horse Industry Promotion Ac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Horse Industry Promotion Act」was established in 2011, 5-day work-week system was settled and the interest in and desire about health increased, gradually more and more people are participating in the leisure horse riding activity as a leisure activity.
      In order to activate the horse industry that has a ripple effect as a national economic industry,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safety and order of leisure horse riding industry such as production, breeding, training, distribution and usage of horse on the legal basis, has searched for the development of horse industry and has established systematic, effective system and policy for popular leisure horse riding.
      With this viewpoint,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y have promoted various nurturing methods by appointing the special area for horse industry, promoting 5-year plan for horse industry nurturing and constructing infrastructure in order to promote the industry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horse industry as a long- and mid-term plan. Although the regulation to activate the industry based on the value of safety in the process to nurture horse industry and appoint special area for horse industry, there is a voice that unnecessary regulation should be improved and the policy to activate the need of horse riding is required.
      As the revision is required as the reasonable method to adopt the current request more actively for popular, activated leisure horse riding, the study analyzed the main issues of the law proposed in the field and considered the improvement metho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leisure horse riding and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y.
      번역하기

      As 「Horse Industry Promotion Act」was established in 2011, 5-day work-week system was settled and the interest in and desire about health increased, gradually more and more people are participating in the leisure horse riding activity as a leisure ...

      As 「Horse Industry Promotion Act」was established in 2011, 5-day work-week system was settled and the interest in and desire about health increased, gradually more and more people are participating in the leisure horse riding activity as a leisure activity.
      In order to activate the horse industry that has a ripple effect as a national economic industry,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e safety and order of leisure horse riding industry such as production, breeding, training, distribution and usage of horse on the legal basis, has searched for the development of horse industry and has established systematic, effective system and policy for popular leisure horse riding.
      With this viewpoint, the government and local autonomy have promoted various nurturing methods by appointing the special area for horse industry, promoting 5-year plan for horse industry nurturing and constructing infrastructure in order to promote the industry related to the activation of horse industry as a long- and mid-term plan. Although the regulation to activate the industry based on the value of safety in the process to nurture horse industry and appoint special area for horse industry, there is a voice that unnecessary regulation should be improved and the policy to activate the need of horse riding is required.
      As the revision is required as the reasonable method to adopt the current request more actively for popular, activated leisure horse riding, the study analyzed the main issues of the law proposed in the field and considered the improvement method to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leisure horse riding and the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1년 「말산업 육성법」 제정과 함께 주 5일제 정착 및 건강에 대한 관심과 욕구 증대로 인해 여가활동으로서 레저승마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증가추세에 있다.
      이를 대변해 주듯이 국가경제산업으로서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는 말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법률적 근거를 토대로 말의 생산, 사육, 조련, 유통, 이용 등, 레저승마 활동의 안전과 질서를 확보하고 말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며, 레저승마 대중화를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제도와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부와 지자체는 말산업 활성화와 관련 산업 진흥을 위하여 중ㆍ장기 적으로 ‘말산업 특구’ 지정과 “말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 등, 인프라 구축 사업과 함께 다양한 육성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말산업 육성법」과 “말산업 특구”를 지정하는 과정에서 안전에 대한 가치를 기반으로 활성화시키는 규정은 유지되어 왔으나 말산업 육성 정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규제개선과 승마 수요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말산업 육성법」에 의해 만들어진 대부분의 농어촌형 승마시설은 열악한 경영실태로 인하여 미신고 승마장, 전문인력 미배치, 보험 미가입 등, 운영에 있어서 불법ㆍ탈법영업 및 타 법령과 마찰되는 여러 사례가 있었으며, 안전사고에 의한 제도장치 보완의 필요성과 보험체계가 미흡함에 따라 개선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다수의 승마시설이 분뇨처리 및 위생관리에 대한 인력부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기에 효율적인 경영활성화를 위해서 한국마사회 등의 전문인력 양성기관을 통한 순환식 전문 인력을 배출하는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저승마의 대중화 및 활성화를 위해 시대적 요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으로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기에, 주요 동법 고찰을 통하여 현장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레저승마 활성화와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한다.
      번역하기

      2011년 「말산업 육성법」 제정과 함께 주 5일제 정착 및 건강에 대한 관심과 욕구 증대로 인해 여가활동으로서 레저승마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증가추세에 있다. 이를 대변해 주듯이 국...

      2011년 「말산업 육성법」 제정과 함께 주 5일제 정착 및 건강에 대한 관심과 욕구 증대로 인해 여가활동으로서 레저승마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증가추세에 있다.
      이를 대변해 주듯이 국가경제산업으로서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는 말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법률적 근거를 토대로 말의 생산, 사육, 조련, 유통, 이용 등, 레저승마 활동의 안전과 질서를 확보하고 말산업의 발전을 도모하며, 레저승마 대중화를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제도와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정부와 지자체는 말산업 활성화와 관련 산업 진흥을 위하여 중ㆍ장기 적으로 ‘말산업 특구’ 지정과 “말산업 육성 5개년 종합계획” 등, 인프라 구축 사업과 함께 다양한 육성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말산업 육성법」과 “말산업 특구”를 지정하는 과정에서 안전에 대한 가치를 기반으로 활성화시키는 규정은 유지되어 왔으나 말산업 육성 정책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불필요한 규제개선과 승마 수요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말산업 육성법」에 의해 만들어진 대부분의 농어촌형 승마시설은 열악한 경영실태로 인하여 미신고 승마장, 전문인력 미배치, 보험 미가입 등, 운영에 있어서 불법ㆍ탈법영업 및 타 법령과 마찰되는 여러 사례가 있었으며, 안전사고에 의한 제도장치 보완의 필요성과 보험체계가 미흡함에 따라 개선방안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다수의 승마시설이 분뇨처리 및 위생관리에 대한 인력부족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기에 효율적인 경영활성화를 위해서 한국마사회 등의 전문인력 양성기관을 통한 순환식 전문 인력을 배출하는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레저승마의 대중화 및 활성화를 위해 시대적 요구를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합리적 방안으로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기에, 주요 동법 고찰을 통하여 현장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레저승마 활성화와 관련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자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호스피아 홈페이지"

      2 "한국마사회 홈페이지"

      3 "체육지도자연수원"

      4 한국마사회, "지역주민친화 승마시설 설치ㆍ운영(장애요인 발굴 및 극복방안 최종보고), 2014, 11, 7"

      5 말산업저널, "지속적 수요창출과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 필요 「특별연재-승마 수요연구」 16, 2015년 8월 24일자"

      6 "위키백과"

      7 이병욱, "승마지도사에 관한 직무분석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45-167, 2014

      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승마시설 사고발생 예방 개선방안 및 보험활성화 연구" 2013

      9 "스포츠안전재단"

      10 김동건, "스포츠관광 참가요인 조사도구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 "호스피아 홈페이지"

      2 "한국마사회 홈페이지"

      3 "체육지도자연수원"

      4 한국마사회, "지역주민친화 승마시설 설치ㆍ운영(장애요인 발굴 및 극복방안 최종보고), 2014, 11, 7"

      5 말산업저널, "지속적 수요창출과 안정적 공급체계 구축 필요 「특별연재-승마 수요연구」 16, 2015년 8월 24일자"

      6 "위키백과"

      7 이병욱, "승마지도사에 관한 직무분석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45-167, 2014

      8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승마시설 사고발생 예방 개선방안 및 보험활성화 연구" 2013

      9 "스포츠안전재단"

      10 김동건, "스포츠관광 참가요인 조사도구 개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1 전윤수, "생활체육으로서 승마운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 대안"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61-73, 2011

      12 "법제처"

      13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말산업 육성 현황과 발전 방안" 농촌경제연구원 2015

      1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말산업 육성 현황과 발전 방안" 2015

      15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말산업 육성 위해 농지전용 등 인허가의 규제를 완화하고 승용마 공급체계 구축해 안전성 확보해야, 2016년 4월 11일 보도자료"

      16 제주매일, "말 산업 육성 불필요한 규제 개선이 관건, 2016년 4월 14일 기사"

      17 남기연, "동물 점유자의 민사책임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19 (19): 139-157, 2016

      18 한국마사회 말산업연구소, "국내외 말산업 환경변화에 따른 승마관련 수요추정 연구2014년 최종 보고서" 2014

      19 김학준, "국내 승마관광 활성화 방안 : 개념적 접근"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4 (24): 379-398, 2012

      20 서울신문, "경상북도 “사설 승마장 사고도 상해보험 혜택” - 낙상 등 사고 최고 1억보상 - 승마장 경영 안정화에 도움, 2016년 1월 11일 기사"

      21 농림축산식품부, "2016년 말산업 육성 종합대책 시행계획, 2016년 2월 26일 축산정책과 보도자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6-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스포츠와 법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9-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스포츠법학회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Law -> The Korean Association of Sports &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7-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orts and Law -> The Journal of Sports and Entertainment Law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3 0.78 0.741 0.2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