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 여성들의 일-가족 갈등경험을 통한 자아 정체성 형성 과정 분석: 종단적, 문화비교적 관점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유성경, 홍세희, 박지아, 김수정 (2012). 한국 여성의 일-가족 갈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7. 1-29.
      본 연구는 Cinamon과 Rich(2002a)가 수정․개발한 일-가족 갈등 척도(WFC)를 한국의 기혼 직장 여성들을 대상으로 타당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일-가족 갈등 척도는 일과 가족 영역에서의 다중역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일에서 가족(work to family)으로 그리고 가족에서 일(family to work)로의 두 방향을 모두 고려한 검사이다. 한국 여성으로서 만 16세 이하의 자녀를 적어도 한 명 이상 둔 전국에 거주하는 기혼 직장인 305명을 대상으로 타당화 분석이 이루어졌다.
      먼저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일→가족 갈등(WIF)과 가족→일 갈등(FIW)의 두 가지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1요인 경쟁모형과의 확인적 요인분석에서의 적합도 지수 비교와 1요인 경쟁모형과의 카이자승 차이검증 비교 결과 일→가족 갈등(WIF)과 가족→일 갈등(FIW)의 2요인 모형이 경쟁모형인 1요인보다 더 적합하게 나왔다. 그리고 두 하위요인의 상관이 높게 나타난 두 하위요인과 제 3변인인 우호성과의 관련성 검토를 실시하여 제 3변인과의 상관패턴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2요인의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두 하위요인은 제 3변인인 우호성과 다른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설정에서의 이론적 배경의 검토, 1요인 경쟁모형과의 확인적 요인분석에서의 적합도 지수 비교, 1요인 경쟁모형과의 카이자승 차이검증 비교뿐만 아니라 제 3변인과 두 하위요인의 상관패턴 차이 비교를 검토해보았을 때 종합적으로 일-가족 갈등은 일→가족 갈등(WIF)과 가족→일 갈등(WIF) 두 요인이 서로 관련성이 있지만 구분되는 2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일-가족 갈등 척도 14문항은 문항-전체 간 상관이 높고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신뢰도가 높게 나왔다. 또한 척도의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변인 간 낮은 상관을 보여 일-가족 향상과 변별되는 개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준타당도를 위한 일-가족 갈등과 일 만족도의 상관분석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 공준타당도가 확인되었고, 일-가족 갈등이 우울을 예측하는지를 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하게 상관이 나타나 일-가족 갈등 척도의 예측타당도를 입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한국 여성들의 일-가족 갈등 경험에 관한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한영주 박지아 손난희 (2013). 기
      번역하기

      유성경, 홍세희, 박지아, 김수정 (2012). 한국 여성의 일-가족 갈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7. 1-29. 본 연구는 Cinamon과 Rich(2002a)가 수정․개발한 일-가족 갈등 척도(WFC)를 한국...

      유성경, 홍세희, 박지아, 김수정 (2012). 한국 여성의 일-가족 갈등 척도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여성, 17. 1-29.
      본 연구는 Cinamon과 Rich(2002a)가 수정․개발한 일-가족 갈등 척도(WFC)를 한국의 기혼 직장 여성들을 대상으로 타당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일-가족 갈등 척도는 일과 가족 영역에서의 다중역할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 일에서 가족(work to family)으로 그리고 가족에서 일(family to work)로의 두 방향을 모두 고려한 검사이다. 한국 여성으로서 만 16세 이하의 자녀를 적어도 한 명 이상 둔 전국에 거주하는 기혼 직장인 305명을 대상으로 타당화 분석이 이루어졌다.
      먼저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일→가족 갈등(WIF)과 가족→일 갈등(FIW)의 두 가지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1요인 경쟁모형과의 확인적 요인분석에서의 적합도 지수 비교와 1요인 경쟁모형과의 카이자승 차이검증 비교 결과 일→가족 갈등(WIF)과 가족→일 갈등(FIW)의 2요인 모형이 경쟁모형인 1요인보다 더 적합하게 나왔다. 그리고 두 하위요인의 상관이 높게 나타난 두 하위요인과 제 3변인인 우호성과의 관련성 검토를 실시하여 제 3변인과의 상관패턴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2요인의 타당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두 하위요인은 제 3변인인 우호성과 다른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 설정에서의 이론적 배경의 검토, 1요인 경쟁모형과의 확인적 요인분석에서의 적합도 지수 비교, 1요인 경쟁모형과의 카이자승 차이검증 비교뿐만 아니라 제 3변인과 두 하위요인의 상관패턴 차이 비교를 검토해보았을 때 종합적으로 일-가족 갈등은 일→가족 갈등(WIF)과 가족→일 갈등(WIF) 두 요인이 서로 관련성이 있지만 구분되는 2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일-가족 갈등 척도 14문항은 문항-전체 간 상관이 높고 신뢰도 분석을 한 결과 신뢰도가 높게 나왔다. 또한 척도의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일-가족 갈등과 일-가족 향상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변인 간 낮은 상관을 보여 일-가족 향상과 변별되는 개념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공준타당도를 위한 일-가족 갈등과 일 만족도의 상관분석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 공준타당도가 확인되었고, 일-가족 갈등이 우울을 예측하는지를 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하게 상관이 나타나 일-가족 갈등 척도의 예측타당도를 입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한국 여성들의 일-가족 갈등 경험에 관한 추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한영주 박지아 손난희 (2013). 기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rs’ work-family conflict(WFC) and enhancement(WFE) experience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WFC and WFE, and examined the influences of moderators such as reflective coping strategy and spousal support. Results showed that WFC and WFE was negatively related, and the relationship of WFC and WFE was moderated by reflective coping strategy and spousal support.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of WIFC(work interfering with family-conflict) and WTFE(work to family enhancement) was moderated by reflective coping strategy and spousal support. And the relationship of FIWC(family interfering with work-conflict) and FTWE(family to work enhancement) was moderated by reflective coping strategy. We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nd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orking mothers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work, process of career seeking and career decis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 substantial career seeking and decision process as a task for entering adulthood. To identify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6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7 male and female students currently attend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Common contents were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by classifying the primary categor
      번역하기

      thers’ work-family conflict(WFC) and enhancement(WFE) experience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WFC and WFE, and examined the influences of moderators such as reflective coping strategy and spousal support. Results showed that WFC and WFE was neg...

      thers’ work-family conflict(WFC) and enhancement(WFE) experiences.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WFC and WFE, and examined the influences of moderators such as reflective coping strategy and spousal support. Results showed that WFC and WFE was negatively related, and the relationship of WFC and WFE was moderated by reflective coping strategy and spousal support. Specifically, the relationship of WIFC(work interfering with family-conflict) and WTFE(work to family enhancement) was moderated by reflective coping strategy and spousal support. And the relationship of FIWC(family interfering with work-conflict) and FTWE(family to work enhancement) was moderated by reflective coping strategy. We suggeste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and counseling intervention for working mothers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work, process of career seeking and career decision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 substantial career seeking and decision process as a task for entering adulthood. To identify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university students, 6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7 male and female students currently attend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Common contents were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by classifying the primary categor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