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역 통계를 보면 같은 산업 내에서의 국가 간 무역이 상당 부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무역 현상을 산업내무역(intra-industry trade, IIT)이라고 하는데 전통적 무역 이론으로는 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04977
2012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 무역 통계를 보면 같은 산업 내에서의 국가 간 무역이 상당 부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무역 현상을 산업내무역(intra-industry trade, IIT)이라고 하는데 전통적 무역 이론으로는 이 ...
- 무역 통계를 보면 같은 산업 내에서의 국가 간 무역이 상당 부분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무역 현상을 산업내무역(intra-industry trade, IIT)이라고 하는데 전통적 무역 이론으로는 이 현상을 설명할 수 없어서 등장한 것이 그루벨-로이드의 산업내무역 지수를 사용한 분석법이다. 이 산업내무역 이론은 처음에는 선진국들간의 무역을 설명하는데 사용되었지만 점차 선진국과 후진국 그리고 후진국들 간의 무역에도 적용을 하게 된다. 그런데 산업내무역(IIT)는 주로 제조업분야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제조업에서 생산되는 공산품을 주로 분석대상 산업으로 하고 있으며 따라서 이 연구에서도 제조업(SITC 5-8)에 국한하여 분석을 하고자 한다.
- 동남아국가들과 우리나라 간의 무역규모는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두 지역 간의 무역현상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 많지 않음으로 이 연구에서는 전체무역에서 작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내무역의 분석을 통하여 이 지역들 간의 무역에 대한 세밀한 파악을 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산업간무역 (전통적 무역이론으로 설명 가능) 과 산업내무역 (전통적 무역이론으로 설명 불가능)의 비중을 비교분석함으로 좀 더 현실적으로 무역현황에 대한 설명과 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그 비중의 변화 추이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를 알아냄으로써 앞으로 이 두 지역 간의 무역이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해 나갈 것인가를 예측해 볼 수 있으며 또한 그를 통하여 동남아국가들과의 무역증진을 위한 정책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또한 수평적산업내무역(horizontal intra-industry trade, HIIT) 과 수직적산업내무역 (vertical intra-industry trade, VIIT)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즉, 소비측면에서의 제품다양성 확보냐 생산 측면에서의 수직적 분업이냐의 현상파악을 좀 더 정확히 파악하게 된다. 그리고 VIIT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품목들과 부가가치가 낮은 품목들의 비중을 비교하여 생산의 수직적 분업형태를 좀 더 정확히 규명할 수 있다.
- 즉, 확대된 무역규모에 맞춰 세밀한 쌍 방의 무역구조 분석과 그 변화추이를 파악하기 위해서 이미 학문적으로 검증된 IIT 분석법(Grubel-Lloyd 지수)을 사용한다. 그리고 수평적산업내무역(Horizontal IIT, HIIT)와 수직적산업내무역(Vertical IIT, VIIT)를 비교하는 검증된 분석법 (Abs-El-Rahman과 Greenaway & Milner)을 사용한다. 또한 VIIT에서 고품질 VIIT(Superior VIIT, SVIIT)와 저품질 VIIT(Inferior VIIT, IVIIT)의 비중을 비교하여 생산의 수직적 분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파악하는 분석도 행해진다.
- 자료수집은 여러 출처에서 발표된 무역 통계자료를 사용할 수 있겠지만 UN에서 매년 집계하여 발표하고 있는 “UN Comtrade"에 나와 있는 통계를 사용하고자 한다. 이 통계를 사용하고자하는 이유는 먼저 UN이라고 하는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발표된 통게이기 때문이다. 또한 중요한 이유는 이 UN통계는 전 세계의 무역통계를 오랜 기간 동안 일관성 있는 방식으로 집계하여 발표를 하고 있기에 한 나라의 무역추이를 일관성 있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과 여러 나라들의 무역통계를 국가 별로 비교하기 용의하게 정리를 해 놓았기 때문이다. 또한 IIT의 결정요인을 분석하는데 필요한 여러 독립변수들의 통계 데이터는 IMF에서 발표되는 자료를 사용하도록 한다.
- 이 UN Comtrade 통계와 IMF 통계는 인터넷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입수에는 큰 문제가 없다. 그러나 이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방대한 양이며, 또한 IIT 분석에 직접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로 전환하는 과정은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