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career)라는 개념이 특정 시점에서의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인생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지속적이며 발달적인 개념이라고 할 때 진로교육 혹은 진로지도는 개인의 소질이나 적성을 개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진로(career)라는 개념이 특정 시점에서의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인생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지속적이며 발달적인 개념이라고 할 때 진로교육 혹은 진로지도는 개인의 소질이나 적성을 개발...
진로(career)라는 개념이 특정 시점에서의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인생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지속적이며 발달적인 개념이라고 할 때 진로교육 혹은 진로지도는 개인의 소질이나 적성을 개발하고 활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청소년기의 자기주도적 진로관리기술(career self-management skills)이 개인의 진로 전반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측면에서 진로교육이 가지고 있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여러 사회 및 경제적인 변화로 인해 이제 진로교육이나 진로지도는 단순한 개인 역량개발의 범위를 넘어서 교육의 세계와 일의 세계, 즉 교육시장과 노동시장을 연결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기술의 발달에 따른 직업의 생성과 소멸, 이직·전직의 보편화 등 직업세계 및 노동구조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진로결정과 진로준비는 개인에게 있어 한두 번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일생 동안 계속적으로 일어나는 것이 되었으며(김봉환, 김병석, 정철영,2005), 합리적인 진로결정 및 진로준비는 자아 실현이라는 개인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인 능력과 소질을 발휘하는 인재 양성과 적절한 인력 배치라는 국가적인 측면(OECD, 2004; 이지연, 2002)에서도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이 가운데 청소년 시기는 학교에서 직업세계로의 전환을 준비하는 시기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의 시점에서 만족스런 진로전환(진학 혹은 취업 등)을 위해서는 견실한 개인적 준비와 함께 진로지도를 제공받아야 하며(Petersson, 1998; 이지연 외, 2005; 이건남, 2008), 효과적인 진로전환은 장기적으로 이들의 진로계획 실행 및 직업생활 적응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진로교육이나 진로지도를 제공하기 위한 출발점은 진로발달 단
계에 따른 학생들의 진로 인식, 진로계획 수립 여부, 진로 준비도 등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진로계획 실행에서의 필요한 사항을 지원해 주거나 장애요소를 제거하는데 있다. 즉 청소년들에게 효과적인 진로교육 및 진로지도 제공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느끼는 진로에 대한 인식과 진로계획 수립 및 진로 준비도, 진로계획 실행에서의 장애요소 및 진로지도에 필요한 지원사항 등에 대한 실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청소년들의 진로지도 실태조사와 관련하여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청년패널조사(2005, 2008)나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진로교육지표조사(2007)가 있기는 하지만 이들은 조사대상이 모든 학령기를 포괄하지 못하거나 학교현장의 진로교육 인프라 조사에 중점을 두고 있어 학생들 스스로가 인식하거나 요구하고 있는 진로지도에 대한 현황 파악은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각 학령기 청소년들의 진로와 관련된 인식 및 요구사항에 대한 실태조사가 필요하며, 이론적 개념에 대한 접근이 아닌 실제 수요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조사가 이루어질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초·중·고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진로교육 및 진로지도와 관련된 인식 및 실태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진로교육 및 진로지도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3149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