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공간 격자데이터 분석에 대한 우위성 비교 연구 - 이상치가 존재하는 경우 - = A Comparative Study on Spatial Lattice Data Analysis - A Case Where Outlier Exist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039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들어 공간적으로 분석을 필요로 하는 여러 분야에서의 연구자들은 공간통계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통계학 분야 역시 공간상에서 얻어진 데이터에 공간자기상관이 존재할 경우 공간적으로 분석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간통계학에서 다루고 있는 데이터 중에서 '공간 격자데이터 분석'은 (1) 공간이웃의 정의, (2) 공간이웃 가중치의 정의, (3) 공간모형의 적용 등의 단계를 거쳐서 행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치가 존재하는 공간 격자데이터를 분석할 경우 절사평균제곱오차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예측적인 측면에서 공간통계학적 방법이 일반통계학적 방법보다 더 우수함을 보인다. 본 연구에 대한 내용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해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공간통계학적인 방법과 일반통계학적인 방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부산진구의 실제 범죄데이터를 이용한 적용사례를 통하여 절사평균제곱오차를 사용한 공간통계학적 방법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번역하기

      최근들어 공간적으로 분석을 필요로 하는 여러 분야에서의 연구자들은 공간통계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통계학 분야 역시 공간상에서 얻어진 데이터에 공간자기상관이 존...

      최근들어 공간적으로 분석을 필요로 하는 여러 분야에서의 연구자들은 공간통계학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리고 통계학 분야 역시 공간상에서 얻어진 데이터에 공간자기상관이 존재할 경우 공간적으로 분석해야 한다는 주장과 함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공간통계학에서 다루고 있는 데이터 중에서 '공간 격자데이터 분석'은 (1) 공간이웃의 정의, (2) 공간이웃 가중치의 정의, (3) 공간모형의 적용 등의 단계를 거쳐서 행해진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치가 존재하는 공간 격자데이터를 분석할 경우 절사평균제곱오차를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예측적인 측면에서 공간통계학적 방법이 일반통계학적 방법보다 더 우수함을 보인다. 본 연구에 대한 내용의 타당성을 보이기 위해서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공간통계학적인 방법과 일반통계학적인 방법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부산진구의 실제 범죄데이터를 이용한 적용사례를 통하여 절사평균제곱오차를 사용한 공간통계학적 방법의 유용성을 알아보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숙, "이웃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공간 소지역 추정량 비교" 한국통계학회 21 (21): 855-866, 2008

      2 전수영, "오차항이 SAR(1)을 따르는 공간선형회귀모형에서 일반화 최대엔트로피 추정량에 관한 연구" 한국통계학회 16 (16): 265-275, 2009

      3 "http://www.krihs.re.kr"

      4 "http://www.kostat.go.kr"

      5 Moran, P., "The interpretation of statistical maps" 10 : 243-251, 1948

      6 Cressie, N. A. C., "Statistics for Spatial Data" John Wiley & Sons 1991

      7 Cressie, N., "Spatial modeling of regional variables" 84 : 393-401, 1989

      8 Besag, J., "Spatial interac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lattice systems" 36 : 192-236, 1974

      9 Stephen P. K., "S+SpatialStats User’s Manual"

      10 Smirnov, O., "Parallel method of computing the Log-Jacobian of the variable transformation for models with spatial interaction on a lattice" 53 : 2980-2988, 2009

      1 김정숙, "이웃정보시스템을 이용한 공간 소지역 추정량 비교" 한국통계학회 21 (21): 855-866, 2008

      2 전수영, "오차항이 SAR(1)을 따르는 공간선형회귀모형에서 일반화 최대엔트로피 추정량에 관한 연구" 한국통계학회 16 (16): 265-275, 2009

      3 "http://www.krihs.re.kr"

      4 "http://www.kostat.go.kr"

      5 Moran, P., "The interpretation of statistical maps" 10 : 243-251, 1948

      6 Cressie, N. A. C., "Statistics for Spatial Data" John Wiley & Sons 1991

      7 Cressie, N., "Spatial modeling of regional variables" 84 : 393-401, 1989

      8 Besag, J., "Spatial interac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of lattice systems" 36 : 192-236, 1974

      9 Stephen P. K., "S+SpatialStats User’s Manual"

      10 Smirnov, O., "Parallel method of computing the Log-Jacobian of the variable transformation for models with spatial interaction on a lattice" 53 : 2980-2988, 2009

      11 황희진, "MSPE를 이용한 임금총액 소지역 추정" 한국통계학회 22 (22): 403-414, 2009

      12 Jhung, Y., "Bayesian contextual classification based on modified M-estimates and Markov random fields" 34 : 67-75, 1996

      13 Griffth, D. A., "A Compilation of Analyses of Different Thematic Data Set. in: Casebook for Spatial Statistical Data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1-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통계학회 논문집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외국어명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2-0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Communications in Statistics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9 0.19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5 0.392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