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전의 상대높임법 정보 제시 양상 분석 = An Analysis on Description of information about Addressee Honorifics in Korean Dictiona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14166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주요 국어사전 3종을 분석하여 사전의 상대높임법 정보제시 양상을 상대높임법과 관련된 개념이 적절히 정의되었는지, 상대높임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제시되었는지, ...

      본고에서는 주요 국어사전 3종을 분석하여 사전의 상대높임법 정보제시 양상을 상대높임법과 관련된 개념이 적절히 정의되었는지, 상대높임법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제시되었는지,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상대높임법 기술에 필요한 정보는 어떠해야 하는지의 세 가지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상대높임법과 관련된 개념 정의에서는 ‘상대높임법’의 정의가 상대높임법이 세분화되는 언어 현실을 설명할 수 없고, 상대를 ‘높이는’ 표현이라는 정의 또한 각 화계의 개념 정의와 모순을 보인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 화계를 높임의 정도와 격식성으로 구분하여 정의하는 기존의 기술은 현대 국어의 언어 현실을 적절히 반영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두 번째로, 개별 종결어미의 기술을 검토함으로써 체계성과 적절성을 살펴본 결과, 해당 종결어미가 속한 화계의 특징이 충분히 기술되어 있지않아 사전 이용자가 사전적 정보를 통해 언어 현상을 이해하고 종결어미를 사용해 맥락에 적절한 발화를 생산하는 데 어려움이 예상되었다. 마지막으로 상대높임법을 체계적이고 실용적으로 기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는 무엇이며 어떻게 제시되는 것이 바람직한지 적절한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ree kinds of Korean Dictionaries to investigate 1) whether those concepts related with addressee honorifics are descripted properly, 2) whether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understand addressee honorifics are provided, 3) how pra...

      This study analyzed three kinds of Korean Dictionaries to investigate 1) whether those concepts related with addressee honorifics are descripted properly, 2) whether the information necessary to understand addressee honorifics are provided, 3) how practical information could be descripted systemically and effectively. Firstly, as to the definition of addressee honorifics, it cannot explain real language adequately in which addressee honorifics are subdivided by prefinal ending. Furthermore, the definition is contradictory to the definition of individual speech level. The result showed that present description of dictionaries does not provide actual use of modern Korean in that each honorific level is classified according to formality and the degree of honorification. Secondly, the analysis on contents of final ending headwords led to predict that dictionary users may have difficulties in proper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addressee honorifics since final ending headwords do not offer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characteristics of speech levels. Lastly, this study suggested alternative definitions and practical information necessary to present systematic addressee honorif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석재, "현대국어 대우법의 화계 구분에 대한 고찰: 드라마 대본에 나타난 서울 지역 구어(口語) 환경을 대상으로" 한국어학회 37 : 397-432, 2007

      2 임동훈,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국어학회 (47) : 287-320, 2006

      3 박지순,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일상적 준구어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연세대학교 2015

      4 이창덕, "현대 국어 비인칭 존대 현상과 그 교육적 대응 방안에 대하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3) : 275-299, 2013

      5 박지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상대높임법 인식 양상 - 20, 30대 화자를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73) : 119-154, 2016

      6 이은희, "한국어 높임법 교육 내용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3 : 280-315, 2010

      7 박지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오체, 하게체 교육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59) : 54-81, 2015

      8 박지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상대높임법 체계의 제 문제" 한국문법교육학회 20 : 77-108, 2014

      9 임지룡, "학교문법 상대 높임법의 새로운 이해" 한민족어문학회 (69) : 360-398, 2015

      10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1 최석재, "현대국어 대우법의 화계 구분에 대한 고찰: 드라마 대본에 나타난 서울 지역 구어(口語) 환경을 대상으로" 한국어학회 37 : 397-432, 2007

      2 임동훈, "현대국어 경어법의 체계" 국어학회 (47) : 287-320, 2006

      3 박지순, "현대 국어 상대높임법의 맥락 분석적 연구-일상적 준구어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연세대학교 2015

      4 이창덕, "현대 국어 비인칭 존대 현상과 그 교육적 대응 방안에 대하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3) : 275-299, 2013

      5 박지순, "한국어 모어 화자의 상대높임법 인식 양상 - 20, 30대 화자를 중심으로 -" 한민족어문학회 (73) : 119-154, 2016

      6 이은희, "한국어 높임법 교육 내용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13 : 280-315, 2010

      7 박지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하오체, 하게체 교육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회 (59) : 54-81, 2015

      8 박지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상대높임법 체계의 제 문제" 한국문법교육학회 20 : 77-108, 2014

      9 임지룡, "학교문법 상대 높임법의 새로운 이해" 한민족어문학회 (69) : 360-398, 2015

      10 남기심,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85

      1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웹사전)"

      12 임지룡, "청자대우법의 화계와 해석" 언어과학회 (72) : 347-376, 2015

      13 서정수, "존대법의 연구" 한신문화사 1984

      14 최현배, "우리말본" 정음사 1937

      15 이정택, "우리말 높임법의 본질과 상대 높임법 체계" 한국문법교육학회 24 : 145-160, 2015

      16 국립국어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2"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7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1998

      18 이희자, "어미․조사사전" 한국문화사 2001

      19 김서형, "사용자 문법으로 본 구어 중심의 한국어의 상대 높임 표현과 그 교육" 한국문법교육학회 25 : 1-25, 2015

      20 이정복, "문법 연구와 자료" 태학사 1998

      21 이정택, "문법 교과서의 높임법 기술과 그 문제 - 국정 문법 교과서와 현행 ‘독서와 문법’ 교과서를 대상으로 -" 한국문법교육학회 25 : 133-146, 2015

      22 이익섭, "국어문법론 강의" 학연사 1999

      23 김태엽, "국어 청자높임법에서 낮춤법 설정의 허실" 우리말글학회 25 : 155-176, 2002

      24 유송영, "국어 청자 대우법에서의 힘(power)과 유대(solidarity) (Ⅰ) - 불특정청자 대우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24 : 291-317, 1994

      25 劉松永, "국어 청자 대우 어미의 교체사용(switching)과 청자 대우법 체계 : 힘(power)과 유대(solidarity)의 정도성에의한 담화 분석적 접근"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7

      26 이익섭, "국어 경어법의 체계화 문제" 국어학회 2 : 39-64, 1974

      27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학교 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출판부 2009

      28 Tono, Y, "Research on Dictionary in the Context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Focus on Reading Comprehension" Max Niemeyer Verlag 2001

      29 손호민, "Power and Solidarity in Korean Language" 3 : 1983

      30 성기철, "20세기 청자 대우법의 변천-화계의 사회언어학적 변천과 관련하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0 (10): 17-45, 1999

      31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형태론" 샘 문화사 1995

      32 허웅, "20세기 우리말의 통어론" 샘 문화사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2-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 The Association for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0-02-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Culture Journal -> The Review of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A study of Han Min Jok's culture -> THE Korean Culture Journal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Learned Society Of Han-Min-Jok'S Culture -> The Learned Society of the Korean Culture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 0.6 0.5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9 1.0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