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FGFR2 유전자의 8번째 엑손부위의 P253R 돌연변이로 진단된 Apert 증후군 1례 = A Case of Apert Syndrome with a P253R Mutation on FGFR2 Exon Ⅷ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7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Apert 증후군은 두부와 손발의 골 및 연부조직의 성장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선천적 질환으로 두개골의 기형과 사지의 대칭적 합지증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질환이다. Apert 증후군은 변이된 FGFR2 유전자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 S252W 돌연변이가 가장 흔하고, P253R 돌연변이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엑손 IIIa에서 S252W 돌연변이가 보고된 경우가 있다. 본 증례에서는 두개 봉합선의 조기융합으로 인한 두부의 특징적인 기형, 손과 발의 심한 합지증을 동반하는 전형적인 Apert 증후군 영아에서 FGFR2 유전자의 8번째 엑손부위에서의 P253R 돌연변이가 확인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향후 유전자-표현자형의 대한 연구, 발생 기전 및 치료와 관련한 분자 생물학적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Apert 증후군은 두부와 손발의 골 및 연부조직의 성장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선천적 질환으로 두개골의 기형과 사지의 대칭적 합지증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질환이다. Apert 증후군은 변이된 FGF...

      Apert 증후군은 두부와 손발의 골 및 연부조직의 성장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선천적 질환으로 두개골의 기형과 사지의 대칭적 합지증을 특징으로 하는 드문 질환이다. Apert 증후군은 변이된 FGFR2 유전자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세계적으로 S252W 돌연변이가 가장 흔하고, P253R 돌연변이는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엑손 IIIa에서 S252W 돌연변이가 보고된 경우가 있다. 본 증례에서는 두개 봉합선의 조기융합으로 인한 두부의 특징적인 기형, 손과 발의 심한 합지증을 동반하는 전형적인 Apert 증후군 영아에서 FGFR2 유전자의 8번째 엑손부위에서의 P253R 돌연변이가 확인되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향후 유전자-표현자형의 대한 연구, 발생 기전 및 치료와 관련한 분자 생물학적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pert syndrome is a rare congenital anomaly characterized by craniofacial malformations and severe symmetrical syndactyly of fingers and toes. This syndrome is caused by a genetic mutation; the S253 mutation is common, though the P253R mutation is not as frequent. Common symptoms include skeletal malformations, poor joint mobility, eye and ear problems, cleft palate, and orthodontic and other dental problems. We report a case of an infant with the common morphological features of Apert syndrome. Interestingly, she was found to have the P253R mutation in FGFR2 exon Ⅷ, which has been less commonly observed in Korea.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is included.
      번역하기

      Apert syndrome is a rare congenital anomaly characterized by craniofacial malformations and severe symmetrical syndactyly of fingers and toes. This syndrome is caused by a genetic mutation; the S253 mutation is common, though the P253R mutation is not...

      Apert syndrome is a rare congenital anomaly characterized by craniofacial malformations and severe symmetrical syndactyly of fingers and toes. This syndrome is caused by a genetic mutation; the S253 mutation is common, though the P253R mutation is not as frequent. Common symptoms include skeletal malformations, poor joint mobility, eye and ear problems, cleft palate, and orthodontic and other dental problems. We report a case of an infant with the common morphological features of Apert syndrome. Interestingly, she was found to have the P253R mutation in FGFR2 exon Ⅷ, which has been less commonly observed in Korea.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is includ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서론
      • 증례
      • 고찰
      • 국문초록
      • References
      • 서론
      • 증례
      • 고찰
      • 국문초록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민경, "뇌류와 뇌량 발육부전을 동반한 Apert 증후군 1례" 대한소아과학회 44 (44): 832-836, 2001

      2 Degiovanni CV, "What syndrome is this? Apert syndrome" 24 : 186-188, 2007

      3 Ibrahimi OA, "Understanding the molecular basis of Apert syndrome" 115 : 264-270, 2005

      4 Ahn YS, "Three Cases of Apert Syndrome (Acrocephalosyndactyly)" 37 : 1149-1155, 1994

      5 Girisha KM, "S252W mutation in Indian patients of Apert syndrome" 43 : 733-735, 2006

      6 Smith DW, "Recognizable patterns of human malformation. 6th ed" WB Saunders. Co 474-474, 2006

      7 Bochukova EG, "Rare Mutations of FGFR2 Causing Apert Syndrome: Identification of the First Partial Gene Deletion, and an Alu Element Insertion From a New Subfamily" 30 : 204-211, 2009

      8 Soancă A, "Oral manifestations in Apert syndrome: case presentation and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51 : 581-584, 2010

      9 Jadico SK, "Ocular abnormalities in Apert syndrome: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with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type 2 mutations" 10 : 521-527, 2006

      10 Shen K, "Medical treatment of craniosynostosis: recombinant Noggin inhibits coronal suture closure in the rat craniosynostosis model" 12 : 254-262, 2009

      1 권민경, "뇌류와 뇌량 발육부전을 동반한 Apert 증후군 1례" 대한소아과학회 44 (44): 832-836, 2001

      2 Degiovanni CV, "What syndrome is this? Apert syndrome" 24 : 186-188, 2007

      3 Ibrahimi OA, "Understanding the molecular basis of Apert syndrome" 115 : 264-270, 2005

      4 Ahn YS, "Three Cases of Apert Syndrome (Acrocephalosyndactyly)" 37 : 1149-1155, 1994

      5 Girisha KM, "S252W mutation in Indian patients of Apert syndrome" 43 : 733-735, 2006

      6 Smith DW, "Recognizable patterns of human malformation. 6th ed" WB Saunders. Co 474-474, 2006

      7 Bochukova EG, "Rare Mutations of FGFR2 Causing Apert Syndrome: Identification of the First Partial Gene Deletion, and an Alu Element Insertion From a New Subfamily" 30 : 204-211, 2009

      8 Soancă A, "Oral manifestations in Apert syndrome: case presentation and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 51 : 581-584, 2010

      9 Jadico SK, "Ocular abnormalities in Apert syndrome: genotype/phenotype correlations with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type 2 mutations" 10 : 521-527, 2006

      10 Shen K, "Medical treatment of craniosynostosis: recombinant Noggin inhibits coronal suture closure in the rat craniosynostosis model" 12 : 254-262, 2009

      11 Jong T, "Long-term functional outcome in 167 patients with syndromic craniosynostosis; defining a syndrome-specific risk profile" 63 : 1635-1641, 2010

      12 Bannink 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yndromic craniosynostosis" 63 : 1972-1981, 2010

      13 Yu JE, "Genotypic and phenotypic analyses of Korean patients with syndromic craniosynostosis" 76 : 287-291, 2009

      14 Gernet S, "Genotype-phenotype analysis in Apert syndrome suggests opposite effects of the two recurrent mutations on syndactyly and outcome of craniofacial surgery" 57 : 137-139, 2000

      15 김형수, "Apert 증후군에서 Fibroblast Growth Factor Receptor 2 EXON Ⅲa 돌연변이 1례" 대한소아과학회 43 (43): 1012-1015, 2000

      16 Carneiro GV, "Apert syndrome: review and report a case" 74 : 640-640, 2008

      17 Yacubian-Fernandes A, "Apert syndrome: factors involved in the cognitive development" 63 : 963-968, 2005

      18 Carinci F, "Apert and Crouzon syndromes: clinical findings, genes and extracellular matrix" 16 : 361-368,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6-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의학유전학회지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3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and Genomic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7-3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 The Korean Society of Medical Genetic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3 0.05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