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윤식,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4
2 이미란, "한국 현대 소설과 패러디" 국학자료원 1999
3 한용환, "소설학사전" 문예출판사 1999
4 권택영,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문예출판사 1995
5 김 현, "세계 인식의 변모와 의미 in 강" 문학과지성사 321-, 2004
6 최혜실, "서정인론" 한국비평문학회 9 : 390-,
7 이경혜, "서정인 소설의 현실인식 연구" 고려대 2006
8 백지은, "서정인 소설의 다성성 연구" 고대 1999
9 윤혜경, "서정인 소설 연구" 연대 1998
10 황도경, "서술의 공백과 열려진 독서 체험; 서정인의 「밤이야기」읽기" 문학사상사 223 : 1991
1 김윤식, "한국소설사" 문학동네 2004
2 이미란, "한국 현대 소설과 패러디" 국학자료원 1999
3 한용환, "소설학사전" 문예출판사 1999
4 권택영, "소설을 어떻게 볼 것인가" 문예출판사 1995
5 김 현, "세계 인식의 변모와 의미 in 강" 문학과지성사 321-, 2004
6 최혜실, "서정인론" 한국비평문학회 9 : 390-,
7 이경혜, "서정인 소설의 현실인식 연구" 고려대 2006
8 백지은, "서정인 소설의 다성성 연구" 고대 1999
9 윤혜경, "서정인 소설 연구" 연대 1998
10 황도경, "서술의 공백과 열려진 독서 체험; 서정인의 「밤이야기」읽기" 문학사상사 223 : 1991
11 J.주네뜨,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12 서정인, "붕어" 세계사 1994
13 김태환, "부서진 액자 in 용병대장" 문학과지성사 302-303, 2000
14 김주연, "보편성의 위기와 소설 in 벌판" 나남출판사 1984
15 서정인, "벌판" 나남 1984
16 임명진, "반리얼리즘에서 신리얼리즘으로…; 서정인,윤후명의 경우" 열음사 68 : 55-, 1992
17 E.아우얼바하, "미메시스" 민음사 1979
18 김태희, "문학과 영화에서의 자유간접화법" 프랑스학회 39 (39): 313-334, 2007
19 강상희, "말과 삶의 현상학" 동아출판사 46 : 1995
20 서정인, "리얼리즘고 in 벌판" 나남출판사 1984
21 M.바흐찐, "도스토예프스키 시학" 정음사 1989
22 선주원, "대화적 관점에서의 소설교육―자유간접화법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학회 19 : 105-130, 2002
23 W.J.옹,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1995
24 서정인, "강" 문학과 지성사 1976
25 최인자, "「달궁」에 나타난 서사담론 생산방법으로서의 대화화" 한국국어교육연구회 98 : 1998
26 M.바흐찐, "Le marxisme et la philosophie du langage, Ed. de Minuit"
27 M.Holquist, "Dialogism" London and New York 48-,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