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Ⅰ. 머리말
- Ⅱ. 매축지마을의 성쇠와 이발소
- Ⅲ. 이발소의 민속지: 도시민속지적 자료로서 생애사와 물건들
- Ⅳ. 도시장소를 통한 민속지 작성의 의의
- Ⅴ. 맺음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47329
2020
-
도시민속지 ; 생활사 ; 매축지마을 ; 이발소 ; 이발사. 사진 ; 축의금장부 ; 조의금장부 ; Urban Ethnography ; Urban Life History ; Maechukji Village ; Barbershop ; Barbers ; Life Photographs ; Marriage Gift Book ; Funeral Condolence Book
900
KCI등재
학술저널
231-260(3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철수, "한국민속학의 체계적 접근" 민속원 2000
2 인천시립박물관, "이발소 풍경, 기획특별전도록"
3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 "어제와 오늘: 한국민중80인의 사진첩" 눈빛 2005
4 국립민속박물관, "아현동 사람들 이야기" 국립민속박물관 2008
5 정승모, "시장의 사회사" 탐구당 1999
6 김시덕, "서울민속학 연구의 지평확장을 위한 연구대상과 분야" 서울민속학회 (1) : 2014
7 조성실, "사진사(寫眞師)의 삶과 사진관의 사회문화적 의미" 역사문화학회 10 (10): 199-229, 2007
8 박경용, "사라져가는 직업과 생업공간의 민속지(1): 한약업사와 한약방"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38 (38): 2008
9 송봉근,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기록으로서의 사진 연구 : 마지막 이발사 포토스토리"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13
10 함한희, "부엌의 문화사" 살림 2005
1 장철수, "한국민속학의 체계적 접근" 민속원 2000
2 인천시립박물관, "이발소 풍경, 기획특별전도록"
3 20세기민중생활사연구단, "어제와 오늘: 한국민중80인의 사진첩" 눈빛 2005
4 국립민속박물관, "아현동 사람들 이야기" 국립민속박물관 2008
5 정승모, "시장의 사회사" 탐구당 1999
6 김시덕, "서울민속학 연구의 지평확장을 위한 연구대상과 분야" 서울민속학회 (1) : 2014
7 조성실, "사진사(寫眞師)의 삶과 사진관의 사회문화적 의미" 역사문화학회 10 (10): 199-229, 2007
8 박경용, "사라져가는 직업과 생업공간의 민속지(1): 한약업사와 한약방" 한양대학교 수행인문학연구소 38 (38): 2008
9 송봉근, "사라져 가는 것들에 대한 기록으로서의 사진 연구 : 마지막 이발사 포토스토리" 경성대학교 멀티미디어대학원 2013
10 함한희, "부엌의 문화사" 살림 2005
11 이창언, "부산 매축지마을의 도시생활사적 의의" 한국민속학회 72 : 85-112, 2020
12 유승훈, "도시민속학에서 바라본 달동네의 특징과 의의 -부산의 달동네를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25) : 31-54, 2009
13 박환영, "도시민속학" 도서출판 역락 2006
14 최원오, "도시민속지 만들기와 도시민속학의 가능성|최원오 -국립민속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의 도시민속지 검토를 통해서-" 국립민속박물관 (25) : 5-30, 2009
15 이건욱, "도시민속조사에 대한 경험의 공유" 국립민속박물관 (23) : 253-273, 2008
16 이은정, "대구시 중구 생애사열전의 도시생활사적 의미"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0 (10): 509-522, 2019
17 남근우, "공공민속학의 가능성과 한계 -두 민속지 실천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회 71 : 77-118, 202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7 | 0.972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