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항구도시의 지역학 발전과 `군산학(群山學)`의 활성화 방향 = The Area Studies of the Leading Seaports in Korea and the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Gunsan Ha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50970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ast, area studies including Korea, America, and Japan were quite popular in international topography, and recently, domestic area studies including Seoul, Busan, Incheon and Gunsan have been described and actively preval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natural ecology in the neighborhood & history and culture, society and industry and discover its own charm & possibility. This study accumulated considerable results in terms of its unique purpose and method, and also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ctivities focused on the area`s identity. From this study, one may pave the way to pride & affection for one`s local area and play a role in `local area-making. Going back to the recent past, such movements greatly attributed to the comprehensive localization trend progressed in the latter 1980s. Also, the Local Autonomy System from 1995 is known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t is time that we make an effort to secure the actual autonomy in the course of re-investigating its trace of the last 20 years. The concern for local development process and the future exploration means covering the concrete alteration and decision-making in its local society, as well as changing the local residents`recognition & life style. In the context of it, it is thought that we need more autonomous reviews and analysis in the reality of local areas, and thus, the promotion of local studies is essential. This essay searches the trend of local studies such as Busan, Incheon, the leading seaports that opened in the latter nineteenth century, and aims to promote the study of domestic areas and its future improvement.
      번역하기

      In the past, area studies including Korea, America, and Japan were quite popular in international topography, and recently, domestic area studies including Seoul, Busan, Incheon and Gunsan have been described and actively prevalent. The purpose of thi...

      In the past, area studies including Korea, America, and Japan were quite popular in international topography, and recently, domestic area studies including Seoul, Busan, Incheon and Gunsan have been described and actively preval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natural ecology in the neighborhood & history and culture, society and industry and discover its own charm & possibility. This study accumulated considerable results in terms of its unique purpose and method, and also suggests the development of activities focused on the area`s identity. From this study, one may pave the way to pride & affection for one`s local area and play a role in `local area-making. Going back to the recent past, such movements greatly attributed to the comprehensive localization trend progressed in the latter 1980s. Also, the Local Autonomy System from 1995 is known to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t is time that we make an effort to secure the actual autonomy in the course of re-investigating its trace of the last 20 years. The concern for local development process and the future exploration means covering the concrete alteration and decision-making in its local society, as well as changing the local residents`recognition & life style. In the context of it, it is thought that we need more autonomous reviews and analysis in the reality of local areas, and thus, the promotion of local studies is essential. This essay searches the trend of local studies such as Busan, Incheon, the leading seaports that opened in the latter nineteenth century, and aims to promote the study of domestic areas and its future improv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영, "환황해권 문물교류의 교점, 고군산군도‧어청도의 역사적 의의" 한국도서(섬)학회 27 (27): 1-13, 2015

      2 김영원, "호남학 정립을 위한 시도" 조선대학교 10 : 230-237, 1976

      3 김민영, "진포대첩의 역사적 의의와 재현행사 활성화방안" 한국도서(섬)학회 28 (28): 1-14, 2016

      4 유철인, "지역연구와 제주학" 제주학회 13 : 33-52, 1996

      5 정정숙,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지역학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0-150, 2014

      6 계기석,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확립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148, 2001

      7 이호철, "인천학의 현단계와 발전과제 : 정치경제학분야" 인천학연구소 2 : 135-238, 2005

      8 이성임, "인천학문헌서지 2" 새얼문화재단 11 : 371-422, 1996

      9 강재호, "인천학문헌서지 1" 새얼문화재단 8 : 312-350, 1995

      10 문용식, "인천학, 무엇을 담고 있는가?" 제주특별자치도 1-20, 2011

      1 김민영, "환황해권 문물교류의 교점, 고군산군도‧어청도의 역사적 의의" 한국도서(섬)학회 27 (27): 1-13, 2015

      2 김영원, "호남학 정립을 위한 시도" 조선대학교 10 : 230-237, 1976

      3 김민영, "진포대첩의 역사적 의의와 재현행사 활성화방안" 한국도서(섬)학회 28 (28): 1-14, 2016

      4 유철인, "지역연구와 제주학" 제주학회 13 : 33-52, 1996

      5 정정숙,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지역학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0-150, 2014

      6 계기석,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확립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148, 2001

      7 이호철, "인천학의 현단계와 발전과제 : 정치경제학분야" 인천학연구소 2 : 135-238, 2005

      8 이성임, "인천학문헌서지 2" 새얼문화재단 11 : 371-422, 1996

      9 강재호, "인천학문헌서지 1" 새얼문화재단 8 : 312-350, 1995

      10 문용식, "인천학, 무엇을 담고 있는가?" 제주특별자치도 1-20, 2011

      11 오양호, "인천학(仁川學)의 ‘문학지리학’적 접근 - 『황해』,「중국인 거리」,『협궤열차』를 중심으로" 인천학연구원 1 (1): 225-254, 2012

      12 이성용, "인천학 정립을 위한 사회조사의 평가 및 방향제시" 인천학연구소 2 : 239-405, 2005

      13 김창수, "인천학 연구 방법론 서설" 인천학연구소 (창간) : 33-48, 2002

      14 전상운, "서울학 연구와 발전방향"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1 : 15-20, 1994

      15 김석준, "부산학의 현황과 과제"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6 : 387-409, 2000

      16 강대민, "부산학 연구현황과 과제"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41-66, 2003

      17 오재환, "부산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제주학회 37 : 55-86, 2012

      18 오재환, "부산학 연구성과 자료집 : 2003-2010" 부산발전연구원 8-104, 2011

      19 김동철, "부산학 어떻게 할것인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6 : 411-434, 2000

      20 김성국, "부산학 시론" 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 7-39, 2005

      21 김의환, "부산 근대 개항의 역사적 고찰 : 부산학, 그 정립을 위한 시도" 부산교육대학교 11 : 46-53, 1974

      22 황태묵, "군산학 정립의 필요성과 의미" 29-37, 2015

      23 김민영, "군산지역논저자료목록" 군산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5-102, 2004

      24 김종수, "군산의 역사와 삶" 선인 17-296, 2012

      25 공종구, "군산의 근대풍경 : 역사와 문화" 선인 17-246, 2015

      26 김민영, "군산의 근대역사경관 활용과 원도심재생" 한국지역발전학회 13 : 1-15, 2013

      27 이종수, "공동체 – 유토피아에서 마을 만들기까지" 박영사 209-216, 2016

      28 김종수, "개항 110년 해륙의 도시 군산의 과거와 미래" 선인 15-26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2 0.42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3 0.573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