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민영, "환황해권 문물교류의 교점, 고군산군도‧어청도의 역사적 의의" 한국도서(섬)학회 27 (27): 1-13, 2015
2 김영원, "호남학 정립을 위한 시도" 조선대학교 10 : 230-237, 1976
3 김민영, "진포대첩의 역사적 의의와 재현행사 활성화방안" 한국도서(섬)학회 28 (28): 1-14, 2016
4 유철인, "지역연구와 제주학" 제주학회 13 : 33-52, 1996
5 정정숙,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지역학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0-150, 2014
6 계기석,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확립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148, 2001
7 이호철, "인천학의 현단계와 발전과제 : 정치경제학분야" 인천학연구소 2 : 135-238, 2005
8 이성임, "인천학문헌서지 2" 새얼문화재단 11 : 371-422, 1996
9 강재호, "인천학문헌서지 1" 새얼문화재단 8 : 312-350, 1995
10 문용식, "인천학, 무엇을 담고 있는가?" 제주특별자치도 1-20, 2011
1 김민영, "환황해권 문물교류의 교점, 고군산군도‧어청도의 역사적 의의" 한국도서(섬)학회 27 (27): 1-13, 2015
2 김영원, "호남학 정립을 위한 시도" 조선대학교 10 : 230-237, 1976
3 김민영, "진포대첩의 역사적 의의와 재현행사 활성화방안" 한국도서(섬)학회 28 (28): 1-14, 2016
4 유철인, "지역연구와 제주학" 제주학회 13 : 33-52, 1996
5 정정숙, "지역문화 진흥을 위한 지역학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0-150, 2014
6 계기석,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 확립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1-148, 2001
7 이호철, "인천학의 현단계와 발전과제 : 정치경제학분야" 인천학연구소 2 : 135-238, 2005
8 이성임, "인천학문헌서지 2" 새얼문화재단 11 : 371-422, 1996
9 강재호, "인천학문헌서지 1" 새얼문화재단 8 : 312-350, 1995
10 문용식, "인천학, 무엇을 담고 있는가?" 제주특별자치도 1-20, 2011
11 오양호, "인천학(仁川學)의 ‘문학지리학’적 접근 - 『황해』,「중국인 거리」,『협궤열차』를 중심으로" 인천학연구원 1 (1): 225-254, 2012
12 이성용, "인천학 정립을 위한 사회조사의 평가 및 방향제시" 인천학연구소 2 : 239-405, 2005
13 김창수, "인천학 연구 방법론 서설" 인천학연구소 (창간) : 33-48, 2002
14 전상운, "서울학 연구와 발전방향" 서울시립대 서울학연구소 1 : 15-20, 1994
15 김석준, "부산학의 현황과 과제"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6 : 387-409, 2000
16 강대민, "부산학 연구현황과 과제" 신라대학교 부산학연구센터 41-66, 2003
17 오재환, "부산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제주학회 37 : 55-86, 2012
18 오재환, "부산학 연구성과 자료집 : 2003-2010" 부산발전연구원 8-104, 2011
19 김동철, "부산학 어떻게 할것인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16 : 411-434, 2000
20 김성국, "부산학 시론" 부산발전연구원 부산학연구센터 7-39, 2005
21 김의환, "부산 근대 개항의 역사적 고찰 : 부산학, 그 정립을 위한 시도" 부산교육대학교 11 : 46-53, 1974
22 황태묵, "군산학 정립의 필요성과 의미" 29-37, 2015
23 김민영, "군산지역논저자료목록" 군산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5-102, 2004
24 김종수, "군산의 역사와 삶" 선인 17-296, 2012
25 공종구, "군산의 근대풍경 : 역사와 문화" 선인 17-246, 2015
26 김민영, "군산의 근대역사경관 활용과 원도심재생" 한국지역발전학회 13 : 1-15, 2013
27 이종수, "공동체 – 유토피아에서 마을 만들기까지" 박영사 209-216, 2016
28 김종수, "개항 110년 해륙의 도시 군산의 과거와 미래" 선인 15-26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