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럽의 '한류'를 통해 본 문화혼종화  :  K-pop 열풍을 중심으로 = Hallyu in Europe as a Phenomenon of Cultural Hybridization - with the analysis on K-pop Craz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0494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전면적인 문화적 지구화가 진행되면서 서구와 비서구라는 지역적이고도 문화적인 범주가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문화혼종화는 끊임없이 교차하고 혼합하고 착종하는 유동적 양식을 통해 구체적인 사회적 범주들 간의 명확한 경계를 허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상황 속에서 문화적 지구화를 가속화하는데 있어서 핵심적 개념인 문화혼종성에 주목하면서 최근에 유럽을 휩쓸고 있는 K-pop 열풍을 문화혼종화 현상의 한 사례로 분석해보았다. 문화혼종성 이론 중에서 특히 포스트콜로니얼 문화이론가들이 이론화해온 혼종성 개념에 대해 천착하고 그 결과로서의 혼종문화의 구체적인 형태로서'유럽의 K-pop'을 상정한다. 특히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역동적 문화실천의 사례로서 K-pop을 볼때 이는 로컬과 글로벌의 차원을 고려하여 문화가 어떠한 공통점을 통하여 서로 교감하고 혼합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서구의 팝음악에 뿌리를 둔 K-pop이 수입음악의 수용과 문화접변의 단계를 거치면서 어떻게 정체성을 획득하는지, 그리고 다시 K-pop의 형태로 팝의 본고장인 유럽의 문화와 정서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각종 매체의 컨텐츠와 언론기사에 나타난 팬덤 현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서구와 비서구 문화가 팝이라는 공통된 형식을 통해 만날 때에도 서로 이질적인 특성이 혼종화의 요인이 된다는 점과 매체적 융합이 지역적 문화혼종을 가속화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되는 결과로 도출되었다.
      번역하기

      전면적인 문화적 지구화가 진행되면서 서구와 비서구라는 지역적이고도 문화적인 범주가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문화혼종화는 끊임없이 교차하고 혼합하고 착종하...

      전면적인 문화적 지구화가 진행되면서 서구와 비서구라는 지역적이고도 문화적인 범주가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문화혼종화는 끊임없이 교차하고 혼합하고 착종하는 유동적 양식을 통해 구체적인 사회적 범주들 간의 명확한 경계를 허물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상황 속에서 문화적 지구화를 가속화하는데 있어서 핵심적 개념인 문화혼종성에 주목하면서 최근에 유럽을 휩쓸고 있는 K-pop 열풍을 문화혼종화 현상의 한 사례로 분석해보았다. 문화혼종성 이론 중에서 특히 포스트콜로니얼 문화이론가들이 이론화해온 혼종성 개념에 대해 천착하고 그 결과로서의 혼종문화의 구체적인 형태로서'유럽의 K-pop'을 상정한다. 특히 문화사회학적 관점에서 역동적 문화실천의 사례로서 K-pop을 볼때 이는 로컬과 글로벌의 차원을 고려하여 문화가 어떠한 공통점을 통하여 서로 교감하고 혼합되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서구의 팝음악에 뿌리를 둔 K-pop이 수입음악의 수용과 문화접변의 단계를 거치면서 어떻게 정체성을 획득하는지, 그리고 다시 K-pop의 형태로 팝의 본고장인 유럽의 문화와 정서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각종 매체의 컨텐츠와 언론기사에 나타난 팬덤 현상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서구와 비서구 문화가 팝이라는 공통된 형식을 통해 만날 때에도 서로 이질적인 특성이 혼종화의 요인이 된다는 점과 매체적 융합이 지역적 문화혼종을 가속화하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되는 결과로 도출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I. 들어가며
      • II. 문화혼종성과 혼종문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
      • III. K-pop 이라 명명되는 혼종문화
      • VI. 나가면서
      • 국문초록
      • I. 들어가며
      • II. 문화혼종성과 혼종문화에 대한 이론적 논의
      • III. K-pop 이라 명명되는 혼종문화
      • VI. 나가면서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우영, "한국사회의 ‘근대’ 해석과 대중문화 지형의 변화- 한류를 계기로 -"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75-103, 2007

      2 김미주, "한국 대중가요 선호이유에 따른 한류문화관광상품이 한국 국가이미지와 한국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연구: 홍콩, 대만, 태국 잠재한류관광객 대상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2 (22): 441-461, 2010

      3 "폴란드 WPROST, ‘K-pop이 점점 유럽으로 넘어오고 있다"

      4 황동연, "포스트모더니티의 역사들" 창비 2005

      5 이나영, "탈/식민성의 공간, 이태원과 한국의 대중음악: 이태원 ‘클럽’들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1950-1991)" 한국사회사학회 (87) : 191-229, 2010

      6 이동연, "케이팝(K-pop): 신자유시대 초국적 국민문화 아이콘, In 내일을 여는역사" 234-252, 2011

      7 한겨레, "케이팝 유명세, 최선과 최악 사이"

      8 이은숙, "중국에서의 ‘한류’ 열풍 고찰" 문학과영상학회 3 (3): 2-60, 2002

      9 이수안, "재현으로서의 남성성에 대한 젠더문화론적 분석: 비보이 현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16 (16): 136-169, 2008

      10 채오병, "이행과 번역 - 한국사회의 근대성 이해를 위한 방법론적 소고" 비판사회학회 (89) : 46-70, 2011

      1 최우영, "한국사회의 ‘근대’ 해석과 대중문화 지형의 변화- 한류를 계기로 -" 한국사회역사학회 9 (9): 75-103, 2007

      2 김미주, "한국 대중가요 선호이유에 따른 한류문화관광상품이 한국 국가이미지와 한국방문의향에 미치는 영향연구: 홍콩, 대만, 태국 잠재한류관광객 대상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2 (22): 441-461, 2010

      3 "폴란드 WPROST, ‘K-pop이 점점 유럽으로 넘어오고 있다"

      4 황동연, "포스트모더니티의 역사들" 창비 2005

      5 이나영, "탈/식민성의 공간, 이태원과 한국의 대중음악: 이태원 ‘클럽’들의 형성과 변화 과정을 중심으로(1950-1991)" 한국사회사학회 (87) : 191-229, 2010

      6 이동연, "케이팝(K-pop): 신자유시대 초국적 국민문화 아이콘, In 내일을 여는역사" 234-252, 2011

      7 한겨레, "케이팝 유명세, 최선과 최악 사이"

      8 이은숙, "중국에서의 ‘한류’ 열풍 고찰" 문학과영상학회 3 (3): 2-60, 2002

      9 이수안, "재현으로서의 남성성에 대한 젠더문화론적 분석: 비보이 현상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16 (16): 136-169, 2008

      10 채오병, "이행과 번역 - 한국사회의 근대성 이해를 위한 방법론적 소고" 비판사회학회 (89) : 46-70, 2011

      11 "유튜브, K-POP 카테고리 신설…한류열풍 가속화에 엔진 달았다"

      12 "유럽 한류(韓流)열풍, 대한민국 콘텐츠 수출 견인"

      13 "영화 스튜디오 짓고 멀티플랙스 열고... 한류가 진화하고 있다"

      14 "독일에도 한류가 싹트다[독일 K-pop 팬 문화]"

      15 "독일서도 K-pop 열풍 조짐"

      16 조한혜정, "글로벌 지각 변동의 징후로 읽는 ‘한류 열풍’, In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 연세대학교 출판부 1-42, 2003

      17 박현주, "글로벌 대중문화물의 한국적 변용과 탈식민주의적 문화정체성에 대한 연구: 한국 대중음악에 관한 사례분석" 성곡언론문화재단 14 (14): 35-72, 2006

      18 "공연은‘新한류’메시지다"

      19 "경제효과 5조원... 전 세계 ‘한류’ 홀릭"

      20 "獨 언론 한류 집중 조명 ‘세계 팝음악 중심은 한국"

      21 "Transculturality-the Puzzling Form of Cultures Today"

      22 Welsch, Wolfgang, "Transculturality - the Puzzling Form of Cultures Today, In Spaces of Culture:City, Nation, World, Featherstone, Mike and Scott Lash" Sage 194-213, 1999

      23 "The dark side of South Korean pop music"

      24 BBC-News, "The dark side of South Korean pop music"

      25 Bhabha, Homi, K, "The Location of Culture" Routledge 1994

      26 Manuel, Peter, "Popular Musics of the Non-Western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90

      27 Chen, Kuan-Hsing, "Not Yet the postcolonial era: The (Super)Nation-state and transnationalism of cultural studies" 10 (10): 1996

      28 Appadurai, Arjun, "Modernity at Larg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6

      29 Anderson, Michael, "Madison Avenue in Asia"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 1984

      30 Lee, Jamie, "Linguistic hybridization in K-pop: Discourse of self-assertion and resistance" 23 (23): 429-450, 2004

      31 Le Monde, "La vague pop Coréenne gagne l'Europe"

      32 Sun Jung, "Korean Masculinities and Transnational Consumption"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11

      33 신현준, "K-pop의 문화정치(학):월경(越境)하는 대중음악에 관한 하나의 사례연구" 성곡언론문화재단 13 (13): 7-36, 2005

      34 "K-pop 로드쇼: 커버댄스 패스티벌"

      35 "K-Pop in Germany"

      36 "JYJ, 베를린 공연...팬 3천 명 K-POP에 열광"

      37 Kraidy, Marwan M, "Hybridity, or the Cultural Logic of Globalization" Temple University Press 2005

      38 Canclini, Nestor Garcia, "Hybrid Cultures" University of MinnesotaPress 1995

      39 이영남, "Hallyu und der koreanische Film in Deutschland" 세계문학비교학회 (30) : 385-409, 2010

      40 "German Hallyu Project: Let's bring the wave to Germany"

      41 Howard, Keith, "Exploding ballads: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Pop music, In Global goes local"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80-95, 2002

      42 "Das is die perfekte Welle"

      43 Young, Robert, "Colonial Desire-Hybridity in Culture, Theory and Race" Routledge 1995

      44 "'뮤직뱅크' 2월 프랑스 시작으로 월드투어…한류확산 기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2 0.7 0.855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