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학전공 학생들의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문제해결능력, 학습전략,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The relationships of Problem solvingability, Learning strategies,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School achievement in the Learning community of majored engineer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592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major variables of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246 subjects were surveyed be means of paper based questionnaires, in which were participations's personal information and related scales.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the data analyses were correlations, regression, and the structural model by using SPSS 19.0 and AMOS 18.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blem solving ability, learning strategies, instructor-student interaction, school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problem solving ability, learning strategies, instructor-student interaction were significant effect. Thir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 is showed instructor-students interaction meditated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learning strategies and school achievement. As a result, This research was considered that learning community program's one of successful factor was the relationship of instructor. Accordingly, some of recommendation suggested for increasing extra curricular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 in majored engineer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major variables of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246 subjects were surveyed be means of paper based questionnaires, in which were participati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verify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major variables of the learning community program. To investigate this research, 246 subjects were surveyed be means of paper based questionnaires, in which were participations's personal information and related scales. The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for the data analyses were correlations, regression, and the structural model by using SPSS 19.0 and AMOS 18.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blem solving ability, learning strategies, instructor-student interaction, school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problem solving ability, learning strategies, instructor-student interaction were significant effect. Thir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 is showed instructor-students interaction meditated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learning strategies and school achievement. As a result, This research was considered that learning community program's one of successful factor was the relationship of instructor. Accordingly, some of recommendation suggested for increasing extra curricular program of university student in majored engineer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최근 많은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함에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공학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수업과 연계된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요구되는 특성들이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 소재의 S대학에서 종합설계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습공동체 참여 학생 246명이었고, 그들의 학습활동 과정 속에서 문제해결능력, 학습전략,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문제해결능력, 학습전략, 교수-학생상호작용,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문제해결능력, 학습전략,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셋째,문제해결능력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완전매개, 학습전략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부분매개 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학습공동체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교수와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앞으로 공학전공 대학생들을 위해 추진해야할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방안의 교육적 논의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최근 많은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함에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공학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수업과 ...

      본 연구는 최근 많은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학습공동체 프로그램의 주요 변인들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확인해 보고자 함에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공학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수업과 연계된 학습공동체 활동에서 요구되는 특성들이 학업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 소재의 S대학에서 종합설계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습공동체 참여 학생 246명이었고, 그들의 학습활동 과정 속에서 문제해결능력, 학습전략, 교수-학생 상호작용, 학업성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문제해결능력, 학습전략, 교수-학생상호작용, 학업성취도는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문제해결능력, 학습전략, 교수-학생 상호작용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셋째,문제해결능력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완전매개, 학습전략은 교수-학생 상호작용에 부분매개 하여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학습공동체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교수와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고 앞으로 공학전공 대학생들을 위해 추진해야할 비교과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방안의 교육적 논의와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영, "협동학습이 여자대학생의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47 (47): 1-24, 2009

      2 한승순, "협동학습에서 학습계획과 평가 전략이 자기주도 학습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 박형근, "학습성취도 향상을 위한 소그룹 협동학습 방안 연구" 3 (3): 40-44, 2011

      4 강혜진, "학습동아리 활동이 대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1-22, 2012

      5 김인수, "학습공동체 운영사례 연구: K대학교 동료 튜터링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3 (13): 1-32, 2010

      6 윤창국,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박선형,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모델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179-200, 2004

      8 노원경,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169-190, 2009

      9 최민자, "통섭의 기술"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0

      10 박철수,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학습법의 대학수업에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3 (13): 23-37, 2010

      1 김은영, "협동학습이 여자대학생의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학회 47 (47): 1-24, 2009

      2 한승순, "협동학습에서 학습계획과 평가 전략이 자기주도 학습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 박형근, "학습성취도 향상을 위한 소그룹 협동학습 방안 연구" 3 (3): 40-44, 2011

      4 강혜진, "학습동아리 활동이 대학생들의 공동체 의식과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평생교육학회 18 (18): 1-22, 2012

      5 김인수, "학습공동체 운영사례 연구: K대학교 동료 튜터링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3 (13): 1-32, 2010

      6 윤창국, "학습공동체 논의의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박선형, "학습공동체 구축을 위한 이론적 모델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179-200, 2004

      8 노원경, "학생이 지각한 교수전략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169-190, 2009

      9 최민자, "통섭의 기술" 도서출판 모시는사람들 2010

      10 박철수, "창의적 문제해결 교수학습법의 대학수업에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3 (13): 23-37, 2010

      11 신현숙, "중학생이 지각한 수업환경, 학업촉진자, 학업기술, 학업성취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6 (6): 291-311, 2009

      12 나승일, "전문대학의 학습공동체 구축 방안" 한국직업교육학회 21 (21): 19-44, 2002

      13 김진실, "전문대학 학습공동체에서 Cohort 활동이 학습자의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10): 99-125, 2007

      14 정애경, "전문대학 전기전공 신입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문제해결력이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전기학회 60 (60): 1-5, 2011

      15 김진실, "전문대학 전공수업의 학습공동체 운영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205-226, 2007

      16 강민석,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감 모형 및 측정 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0

      17 선복근,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 활동" 한국공학교육학회 12 (12): 126-134, 2009

      18 이경화, "아동의 학업성취 관련변인의 인과적 구조분석" 한국아동학회 27 (27): 271-284, 2006

      19 최윤미, "대학에서의 팀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한국교육방법학회 22 (22): 143-163, 2010

      20 정미경,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도구 개발"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159-184, 2005

      21 변애경, "대학생 학습커뮤니티의 주요성공요인 분석을 위한 델파이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2 송윤희, "대학 학습동아리 활동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집단효능감, 지식공유 및 만족도와의 관계" 교육과학연구소 42 (42): 179-209, 2011

      23 도승이, "교실토론상황에서 학생의 감정, 인지, 행동의 상호작용: 근거이론 분석법을 통한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17-40, 2005

      24 한국공학교육인증원, "공학인증기준 2005(KEC 2005)"

      25 한지영, "공학설계교육을 통한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4 (14): 67-76, 2011

      26 이태희, "공학문제 해결 교과목을 통한 창의력 향상" 16 (16): 53-56, 2010

      27 조미헌, "e-Learning 컨텐츠 설계" 교육과학사 2010

      28 McCarver, P. M., "What a learning community learns: A cooperative inquiry" California Institute of Integral Studies 2003

      29 Curran, P. J.,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 : 16-29, 1996

      30 Lenning, O. T., "The powerful potential of learning communities: Improving education for the future" 26 (26): 1151-1168, 1999

      31 Hattie, J., "The power of feedback" 77 (77): 81-112, 2007

      32 Lan, W. Y.,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students' course learning self-judgment ablity, and knowledge representation" 64 (64): 101-115, 1996

      33 Heppner, P. P.,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 of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30 (30): 537-540, 1982

      34 Branford, J. D., "The Ideal Problem Solver" Freeman 1984

      35 Clark, M. C., "Team-based learning in an undergraduate nursing course" 47 (47): 111-117, 2008

      36 Valenti, M., "Teaching tomorrow’s engineers" 118 (118): 64-94, 1996

      37 Grewal, R., "Multicollinearity and measurement error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 Implications for theory testing" 23 (23): 519-529, 2004

      38 Stipek, D., "Motivation to learn: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Stanford university 2002

      39 Rogers, D. L., "From isolation to conversation: Supporting new teachers' developmen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02

      40 Ryan, S., "Emergence of learning communities, In Community building: renewing spirit & learning in business" New Leader Press, Sterling & Stone, Inc 85-93, 1995

      41 Shapiro, N. S., "Creating learning communities; A practical guide to winning support, organizing for change and implementing programs" Jossey-Bass 1999

      42 Johnson, D. W., "Cooperative learning returns to college: What evidence is there that is work?" 30 : 27-35, 1998

      43 Brandon, D. P., "Collaborated learning and computer supported groups" 48 : 109-126, 1999

      44 Manning, G., "Building community: The human side of work" Thomson Executive Press 1996

      45 Elliot, A., "Achievement goals, study strategies, and exam performance : A mediations analysis" 91 : 549-563,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7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방법연구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4 1.94 2.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3 2.35 2.393 0.9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