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사회적 관계수준, 스트레스 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level and stress factors on subjective happiness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365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level and stress factors on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reveal the differences by school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65 middle school students and 1,996 high school students out of the 2021 Korean Children and Youth Happiness Index survey by the Korea Bang Jeong-hwan Found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subjective happiness, father relationship, and mother relationship than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friendship, teacher relationship, parental stress, and academic stres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both groups, the explanatory power of subjective happiness is higher in the social relationship level than in the stress factor.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in the order of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mother relationship, father relationship, academic stress, friend stress, and appearance stress.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as in the order of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mother relationship, father relationship, appearance stress, friend stress, and academic stre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s more affected by the social relationship level, so various supports are needed to form positive human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level and stress factors on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reveal the differences by school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65 middle 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 level and stress factors on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o reveal the differences by school lev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65 middle school students and 1,996 high school students out of the 2021 Korean Children and Youth Happiness Index survey by the Korea Bang Jeong-hwan Found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had higher subjective happiness, father relationship, and mother relationship than high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had higher friendship, teacher relationship, parental stress, and academic stres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both groups, the explanatory power of subjective happiness is higher in the social relationship level than in the stress factor.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in the order of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mother relationship, father relationship, academic stress, friend stress, and appearance stress. The relative influence on the subjective happiness of high school students was in the order of friend relationship, teacher relationship, mother relationship, father relationship, appearance stress, friend stress, and academic stre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subjective happines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s more affected by the social relationship level, so various supports are needed to form positive human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사회적 관계수준과 스트레스 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교급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방정환재단의 2021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 자료 중 중학생 2,765명, 고등학생 1,996명이다. 연구결과, 중학생은 고등학생보다 주관적 행복감, 부관계, 모관계의 수준이 높았고, 고등학생은 중학생보다 친구관계, 교사관계, 부모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 두 집단 모두에서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설명력은 스트레스 요인보다 사회적 관계수준이 높았다.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친구관계, 교사관계, 모관계, 부관계, 학업스트레스, 친구스트레스, 외모스트레스 순이었다. 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친구관계, 교사관계, 모관계, 부관계, 외모스트레스, 친구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순이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중학생, 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은 사회적 관계수준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청소년기에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사회적 관계수준과 스트레스 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교급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방정...

      본 연구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사회적 관계수준과 스트레스 요인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교급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한국방정환재단의 2021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 자료 중 중학생 2,765명, 고등학생 1,996명이다. 연구결과, 중학생은 고등학생보다 주관적 행복감, 부관계, 모관계의 수준이 높았고, 고등학생은 중학생보다 친구관계, 교사관계, 부모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수준이 높았다. 두 집단 모두에서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설명력은 스트레스 요인보다 사회적 관계수준이 높았다. 중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친구관계, 교사관계, 모관계, 부관계, 학업스트레스, 친구스트레스, 외모스트레스 순이었다. 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친구관계, 교사관계, 모관계, 부관계, 외모스트레스, 친구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 순이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중학생, 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은 사회적 관계수준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청소년기에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승배, "한국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7 (17): 135-184, 2016

      2 신승배, "한국 청소년 삶의 질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95-217, 2018

      3 오푸름, "코로나19로 청소년 불안ᆞ걱정 높아져... 교육ᆞ상담 필요"

      4 이지혜, "코로나19가 바꾼 청소년 일상... 가족관계 좋아지고 학교생활 나빠졌다"

      5 교육부, "코로나19 학생정신건강 변화에 따른 지원 방안 보도자료"

      6 황혜원, "초기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개인내적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445-455, 2017

      7 최유선 ; 손은령, "청소년이 지각한 대인관계 양상, 학업성취, 삶의 만족도의 관계 -성별, 학교급별 비교-" 한국상담학회 16 (16): 233-247, 2015

      8 이상록 ; 김은경 ; 윤희선, "청소년의 행복감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26 (26): 413-438, 2015

      9 전기숙, "청소년의 행복 요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23 (23): 411-429, 2016

      10 김진 ; 홍정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 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6 (26): 163-187, 2018

      1 신승배, "한국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7 (17): 135-184, 2016

      2 신승배, "한국 청소년 삶의 질 결정요인" 사회과학연구소 29 (29): 195-217, 2018

      3 오푸름, "코로나19로 청소년 불안ᆞ걱정 높아져... 교육ᆞ상담 필요"

      4 이지혜, "코로나19가 바꾼 청소년 일상... 가족관계 좋아지고 학교생활 나빠졌다"

      5 교육부, "코로나19 학생정신건강 변화에 따른 지원 방안 보도자료"

      6 황혜원, "초기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개인내적특성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445-455, 2017

      7 최유선 ; 손은령, "청소년이 지각한 대인관계 양상, 학업성취, 삶의 만족도의 관계 -성별, 학교급별 비교-" 한국상담학회 16 (16): 233-247, 2015

      8 이상록 ; 김은경 ; 윤희선, "청소년의 행복감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26 (26): 413-438, 2015

      9 전기숙, "청소년의 행복 요인 탐색" 한국청소년학회 23 (23): 411-429, 2016

      10 김진 ; 홍정순,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충족의 매개 효과"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6 (26): 163-187, 2018

      11 박소연 ; 이홍직,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특성 요인, 건강 요인, 일탈행동 요인을 중심으로" 대한스트레스학회 21 (21): 73-84, 2013

      12 모상현 ; 이중섭,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탐색: 학업스트레스에 대한 가족관계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16 (16): 23-40, 2012

      13 한혜림 ; 이지민,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관한 잠재성장모형 연구: Alderfer의 ERG 이론을 중심으로" 가정과삶의질학회 36 (36): 103-117, 2018

      14 유혜경, "청소년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경로모형 분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4

      15 김경호 ; 이기홍, "청소년의 사회관계, 스트레스 및 일탈이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복합적 요인들에 의한 설명을 제안하며" 한국인구학회 39 (39): 83-105, 2016

      16 차민지, "청소년 절반 “코로나19로 학교생활 힘들어졌다" 답변"

      17 김소라, "조심스럽게… 학교도 위드코로나, 4학기 만에… 일상도 등교할까요"

      18 김민성, "우리나라 아동들은 왜 행복하지 않은가? - ‘정서로서의 행복’의 관점에서 바라본 우리나라 아동의 행복감 -" 한국아동교육학회 25 (25): 5-24, 2016

      19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아동종합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9

      20 장수한, "아동·청소년의 정신건강(자살·우울·스트레스)실태분석 및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교육학회 23 (23): 95-110, 2014

      21 조소연, "부모의 지도감독 및 방임과 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59-84, 2014

      22 김일표 ; 손미아 ; 김영주, "부모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른 청소년의 행복감에 대한 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757-767, 2013

      23 김두환 ; 김지혜, "부모⋅친구⋅교사와의 사회적 관계와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 한국사회학회 45 (45): 128-168, 2011

      24 정옥분, "발달심리학-전생애 인간발달" 학지사 2014

      25 박병선 ; 배성우, "대인관계와 학교성적이 학교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학교급별 비교"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215-238, 2012

      26 송정화 ; 박병기 ; 임신일, "다층모형을 적용한 주관적 안녕의 설명요인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139-175, 2012

      27 김선아, "남녀청소년의 다양한 스트레스(부모, 학업, 친구, 외모, 경제), 학교생활적응과 행복감의 관계성 연구: 매개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21 (21): 161-169, 2020

      28 김선아, "남녀중학생의 사회적 관계(부모, 또래, 교사관계)와 행복감의 관계 -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0 (10): 15-26, 2012

      29 이상직 ; 전영우 ; 정우연 ; 한신갑, "남녀 중학생의 학업성적과 사회적 관계, 그리고 행복감" 한국교육사회학회 26 (26): 121-154, 2016

      30 황환 ; 김영환, "국내 청소년 행복의 영향요인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청소년학회 24 (24): 1-28, 2017

      31 장선철 ; 송미현, "고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자아존중감 및 학교적응의 관계" 한국청소년학회 11 (11): 115-134, 2004

      32 서재욱 ; 정윤태, "개인능력, 가족환경, 학교환경 변인이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65-292, 2014

      33 이태윤, "“내일 아침 안됐으면 좋겠어” 韓 아동 삶의 질 35개국 중 31위"

      34 Deci, E. L.,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11 (11): 227-268, 2000

      35 Park, N., "The role of subjective well-being in positive youth development" 591 (591): 25-39, 2004

      36 Sullivan, H. S., "The interpersonal theory of psychiatry" Norton 1953

      37 Lyubomirsky, S.,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131 : 803-855, 2005

      38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 542-575, 1984

      39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1984

      40 Andrews, F, "Social Indicators of Well-Being : America’s Perception of Life Quality" Plenum 1976

      41 Mineo, L., "Good genes are nice, but joy is better"

      42 Papini, D. R., "Early adolescent perceptions of attachment to mother and father: A test of the emotional distancing bypothesis" 1990

      43 Savin-Williams, R. C.,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90

      44 염유식, "2021년도 한국 어린이ᆞ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연구조사결과보고서" 한국방정환재단 2021

      45 통계청, "2021 청소년 통계 보도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1 1.81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94 1.91 2.283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