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明心寶鑑』에 대한 인식과 활용 -4차산업혁명 시대의 시민교육 교재로서의 가치- = Awareness and Practical Use about 『Myeongsimbogam』 -Value of Citizen Educational Text Book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11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yeongsimbogam』 is a traditional Text book which was widely read as a ChohakGyojae, basic study text book in Joseon era. The text book is just contents of being formation in society mental health as the youth personality educational guideline book or Joseon era personality educational guideline book. Is there a certain practical use valu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Myeongsimbogam which was youth personality educational guideline book in Joseon era? This consideration is a point which was research direction of this study.
      I presented that this study research target of rediscovery in value of Myeongsimbogam which is as a citizen educational text book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especially a thema about Chinese letter Chinese writing text book and instruction in Joseon era and in the recognition and practical use of Myeongsimbogam. Therefore, I consider the recognition of the most univeral Myeongsimbogam or the personality educational guideline book, youth educational guideline book in Joseon era, and in this base I can confirm the learning contents in Myeongsimbogam which can be well cured our society for having of value about as a citizen educational text book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번역하기

      『Myeongsimbogam』 is a traditional Text book which was widely read as a ChohakGyojae, basic study text book in Joseon era. The text book is just contents of being formation in society mental health as the youth personality educational guideline boo...

      『Myeongsimbogam』 is a traditional Text book which was widely read as a ChohakGyojae, basic study text book in Joseon era. The text book is just contents of being formation in society mental health as the youth personality educational guideline book or Joseon era personality educational guideline book. Is there a certain practical use value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Myeongsimbogam which was youth personality educational guideline book in Joseon era? This consideration is a point which was research direction of this study.
      I presented that this study research target of rediscovery in value of Myeongsimbogam which is as a citizen educational text book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especially a thema about Chinese letter Chinese writing text book and instruction in Joseon era and in the recognition and practical use of Myeongsimbogam. Therefore, I consider the recognition of the most univeral Myeongsimbogam or the personality educational guideline book, youth educational guideline book in Joseon era, and in this base I can confirm the learning contents in Myeongsimbogam which can be well cured our society for having of value about as a citizen educational text book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明心寶鑑』에 대한 인식과 활용에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시민교육 교재로서의 가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명심보감』은 조선시대 初學敎材로 널리 읽혔던 傳統敎材이며 초학자들에게 널리 보급 되어진 교재였다. 이는 바로 청소년 인성교재로서 사회의 정신건강을 구축한 기본 내용이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조선시대의 청소년 인성교육의 지침서 였던 『명심보감』이 미래 4 산업혁명시대에 어떠한 활용 가치가 있겠는가를 본고의 연구방향에 두어 고찰하였다. 먼저 『명심보감』에 대한 인식을 본고에서는 그간의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미래사회에서 인문학적 시민교육 교재로서의 포용적 가치 측면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청주본 『新刊大字明心寶鑑』을 저본으로 고찰하였다. 청주본 『新刊大字明心寶鑑』은 1454년 충청도 관찰사 민건, 청주목사 황보공, 청주목 판관 구인문, 청주 유학교수관 유득화 등이 목판으로 간행했다. 조선시대 인성교육 교재로 알려진 『명심보감』이 청주에서 최초로 간행 되어졌다는 것은 청주라는 지역이 전통적으로 교육의 도시 선비의 고장으로 자리매김 되어진 것에 그 뒷받침이 될 만한 단서로도 가치를 지니고 있음이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의 기호학파의 거두이며 어린이의 학습지침서인 『擊蒙要訣』의 저자인 율곡이 牧使를 지내면서 「鄕約」을 완성한 곳이 청주이기도 한 사실을 2019년 7월 5일 청주향교 자료실에서 발굴한 자료 『栗谷先生案』을 근거로 제시하여 고찰 할 수 있었다. 『명심보감』의 활용에서는 『명심보감』을 통한 서당식 교육방법과 시민교육 교재로서의 활용으로 양분하여 고찰하였다. 이에 『명심보감』에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시민교육 교재로서의 가치를 자리매김하여 미래 우리사회를 건강하게 치유해 줄 수 있는 학습내용임을 고찰 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고는 『明心寶鑑』에 대한 인식과 활용에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시민교육 교재로서의 가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명심보감』은 조선시대 初學敎材로 널리 읽혔던 傳統敎材이며 초학...

      본고는 『明心寶鑑』에 대한 인식과 활용에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시민교육 교재로서의 가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명심보감』은 조선시대 初學敎材로 널리 읽혔던 傳統敎材이며 초학자들에게 널리 보급 되어진 교재였다. 이는 바로 청소년 인성교재로서 사회의 정신건강을 구축한 기본 내용이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조선시대의 청소년 인성교육의 지침서 였던 『명심보감』이 미래 4 산업혁명시대에 어떠한 활용 가치가 있겠는가를 본고의 연구방향에 두어 고찰하였다. 먼저 『명심보감』에 대한 인식을 본고에서는 그간의 선행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미래사회에서 인문학적 시민교육 교재로서의 포용적 가치 측면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청주본 『新刊大字明心寶鑑』을 저본으로 고찰하였다. 청주본 『新刊大字明心寶鑑』은 1454년 충청도 관찰사 민건, 청주목사 황보공, 청주목 판관 구인문, 청주 유학교수관 유득화 등이 목판으로 간행했다. 조선시대 인성교육 교재로 알려진 『명심보감』이 청주에서 최초로 간행 되어졌다는 것은 청주라는 지역이 전통적으로 교육의 도시 선비의 고장으로 자리매김 되어진 것에 그 뒷받침이 될 만한 단서로도 가치를 지니고 있음이 드러났다.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의 기호학파의 거두이며 어린이의 학습지침서인 『擊蒙要訣』의 저자인 율곡이 牧使를 지내면서 「鄕約」을 완성한 곳이 청주이기도 한 사실을 2019년 7월 5일 청주향교 자료실에서 발굴한 자료 『栗谷先生案』을 근거로 제시하여 고찰 할 수 있었다. 『명심보감』의 활용에서는 『명심보감』을 통한 서당식 교육방법과 시민교육 교재로서의 활용으로 양분하여 고찰하였다. 이에 『명심보감』에서 4차산업혁명 시대의 시민교육 교재로서의 가치를 자리매김하여 미래 우리사회를 건강하게 치유해 줄 수 있는 학습내용임을 고찰 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우성, "청주판 명심보감에 대하여" 한국서지학회 (7) : 1980

      2 송희준, "명심보감의 제문제" 14 : 1999

      3 김동환, "명심보감의 서지적 연구" 10 : 1999

      4 김윤수, "도교사상의 한국적 전개" 1989

      5 奇大升, "高峯集"

      6 "燕山君日記"

      7 "栗谷先生案"

      8 "明心寶鑑"

      9 "新刊大字明心寶鑑"

      10 曺兢燮, "巖西集"

      1 이우성, "청주판 명심보감에 대하여" 한국서지학회 (7) : 1980

      2 송희준, "명심보감의 제문제" 14 : 1999

      3 김동환, "명심보감의 서지적 연구" 10 : 1999

      4 김윤수, "도교사상의 한국적 전개" 1989

      5 奇大升, "高峯集"

      6 "燕山君日記"

      7 "栗谷先生案"

      8 "明心寶鑑"

      9 "新刊大字明心寶鑑"

      10 曺兢燮, "巖西集"

      11 李璇, "南臯遺稿"

      12 "中庸"

      13 "www.enlightened-consciousness.com"

      14 "http://ncsd.go.kr/app/sub02/20_tab3.do"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