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studies 5 types of materials which are titled Sok-ch'ŏn-cha-mun(『續千字文』) or Sok-ch'ŏn-cha(『續千字』) of Korea’s elementary education textbooks on the whole. Documents of Korea’s Sok-ch'ŏn-cha-mun are apposite to the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tudies 5 types of materials which are titled Sok-ch'ŏn-cha-mun(『續千字文』) or Sok-ch'ŏn-cha(『續千字』) of Korea’s elementary education textbooks on the whole. Documents of Korea’s Sok-ch'ŏn-cha-mun are apposite to the ...
This paper studies 5 types of materials which are titled Sok-ch'ŏn-cha-mun(『續千字文』) or Sok-ch'ŏn-cha(『續千字』) of Korea’s elementary education textbooks on the whole. Documents of Korea’s Sok-ch'ŏn-cha-mun are apposite to the case of Korea succeeded to result and critically accepted chu-hŭng-sa(周興嗣)’s Ch'ŏn-cha-mun(『千字文』), so Sok-ch'ŏn-cha-mun is comprised of four-letter words of one paragraph such as chu-hŭng-sa’s Ch'ŏn-cha-mun. Each author of Sok-ch'ŏn-cha-mun tried to embody the purpose to add variety to used Chinese character and content components.
There are two characteristics of sort of Korea’s Sok-ch'ŏn-cha-mun. Firstly, it makes up for the lack of Ch'ŏn-cha-mun admiting utility as elementary education textbooks. Secondly, it asserts a new method of making elementary education textbooks providing proper evidence such as context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of chu-hŭng-sa’s Ch'ŏn-cha-mun. But, In both cases, they share a positive view of Ch'ŏn-cha-mun’s educational efficiency like as four-letter words of one paragraph.
5 types of materials of Sok-ch'ŏn-cha-mun are actually used in the education field.
They have difference of used Chinese character, sentence structure and content components because of the educational surroundings. A review is needed the role as Ch'ŏn-cha-mun’s alternative textbook.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우리나라 초학 교재 중 ‘續千字文’ 또는 ‘續千字’를 표제로 하는 자료 5종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우리나라 ‘속천자문’류 문헌은 중국 周興嗣 『千字文』의 성과를 계...
본고는 우리나라 초학 교재 중 ‘續千字文’ 또는 ‘續千字’를 표제로 하는 자료 5종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우리나라 ‘속천자문’류 문헌은 중국 周興嗣 『千字文』의 성과를 계승하거나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작성한 자료들로서, 형태적으로는 주흥사 『천자문』과 같은 4언 1구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 한자와 내용 구성 등에 변형을 가함으로써 ‘속천자문’의 각 저작자들이 의도한 바를 구현하고자 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 ‘속천자문’류 문헌은 두 가지 특성을 보인다. 첫째는 주흥사 『천자문』이 가진 초학교재로서의 효용성을 인정하며, 『천자문』의 미진한 부분에 대한 보완의 형태를 갖는 자료이다. 둘째는 주흥사 『천자문』의 내용․사용 한자의 난이도 등을 근거로 제시하며 초학 교재로서의 수준을 갖추어 새롭게 제작해야 한다는 주장에 근거한 자료이다. 그러나 이 두 경우 모두 『천자문』의 구성, 즉 4언 1구 구성이 갖는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긍정적인 시선은 모두 공유하고 있다.
본고에서 제재로 다룬 5종의 ‘속천자문’류 자료들은 대개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되었음을 유추할 수 있는데, 사용된 한자, 구문, 내용 등에서는 각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이는 해당 교육 환경에서 발생한 차이라고 인정된다. 다만 모든 ‘속천자문’류 자료가 『천자문』의 대안 교재 혹은 후속 교재로 제 역할을 했는지에 대해서는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심경호, "한국한문기초학사" 태학사 2012
2 이효선, "한국역대≪천자문≫유용자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3 崔世珍, "訓蒙字會引"
4 丁若鏞, "與猶堂全書"
5 金鍊泰, "續千字文"
6 寄老子, "續千字文"
7 南景根, "續千字"
8 李裕元, "林下筆記"
9 安美璟, "朝鮮時代 ≪千字文≫ 現傳本에 관한 연구" 한국서지학회 17 : 1994
10 田錫雨, "孝子公實錄 附 陽里公文集"
1 심경호, "한국한문기초학사" 태학사 2012
2 이효선, "한국역대≪천자문≫유용자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2
3 崔世珍, "訓蒙字會引"
4 丁若鏞, "與猶堂全書"
5 金鍊泰, "續千字文"
6 寄老子, "續千字文"
7 南景根, "續千字"
8 李裕元, "林下筆記"
9 安美璟, "朝鮮時代 ≪千字文≫ 現傳本에 관한 연구" 한국서지학회 17 : 1994
10 田錫雨, "孝子公實錄 附 陽里公文集"
11 朴文鎬, "壺山集"
12 송병렬, "千字文類의 變容과 性格 考察" 근역한문학회 30 : 441-466, 2010
13 임동석, "『千字文』의 源流,內容 및 韓國에서의 發展 상황 考察" 중국어문학연구회 (56) : 281-304, 200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6 | 0.36 | 0.3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7 | 0.36 | 0.74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