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조어제의 봉모당 소장 양상 고찰 = A Study on the Possession Patterns of King Yeongjo’s Creations at Bongmod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21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영조어제 현황과 봉모당의 소장양상을 고찰하였다. 영조어제는 문집, 열성어제, 刊本, 帖本 등 4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문집을 시기별로 구분하면,『어제』 상(1714년~1747년 11월), 『영종대왕어제속편』(1758년 6월~1761년 6월), 『영종대왕어제』(1761년 8월~1763년 7월), 『어제』 하(1763년 8월~1764년 7월), 『集慶堂編輯』(1764년 11월~1767년 9월), 『속집경당편집』(1768년~1770년 8월). 『英宗大王御製拾遺』(1725~1776) 등이다. 이들은 정조 대 건립된 봉모당에 보관되었으며, 철종 대 이건된 봉모당에서 『집경당편집』만 후고에 보관되고 다른 어제들은 봉모당에 그대로 보관되었다.
      『열성어제』의 영조어제는 先王인 숙종보다 많은 작품을 남길 수 없다는 이유로 1714년부터 1758년까지의 어제만 편찬하였고, 이를 영조 사후에 간행하였다. 이 역시 철종 대에는 후고에 보관되었다. 영조어제첩본은 『奉謨堂奉安御書總目』에 의하면 1741년부터 1776년까지의 어제로 이루어져 있으나 1770년 이후의 작품이 대부분이며 봉모당에 26개 함에 보관되어 온 것으로 여겨진다. 영조어제간본은 『奉謨堂奉藏書目』에 의하면 1741년 〈御製大訓〉 간행 이후 1776년까지 수시로 간행되었다. 역시 봉모당에 2개의 함에 보관되어 왔다.
      현재 영조어제는 대부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영조의 문집, 영조어제첩 등은 『英祖 · 莊祖文集』, 『英祖文集補遺』, 『英祖御製解題』 등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출판하였고, 영조어제간본, 열성어제 등은 『英祖御製訓書』, 『열성어제』 등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출판한 바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영조어제 현황과 봉모당의 소장양상을 고찰하였다. 영조어제는 문집, 열성어제, 刊本, 帖本 등 4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문집을 시기별로 구분하면,『어제』 상(1714년~1747...

      본 논문에서는 영조어제 현황과 봉모당의 소장양상을 고찰하였다. 영조어제는 문집, 열성어제, 刊本, 帖本 등 4가지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문집을 시기별로 구분하면,『어제』 상(1714년~1747년 11월), 『영종대왕어제속편』(1758년 6월~1761년 6월), 『영종대왕어제』(1761년 8월~1763년 7월), 『어제』 하(1763년 8월~1764년 7월), 『集慶堂編輯』(1764년 11월~1767년 9월), 『속집경당편집』(1768년~1770년 8월). 『英宗大王御製拾遺』(1725~1776) 등이다. 이들은 정조 대 건립된 봉모당에 보관되었으며, 철종 대 이건된 봉모당에서 『집경당편집』만 후고에 보관되고 다른 어제들은 봉모당에 그대로 보관되었다.
      『열성어제』의 영조어제는 先王인 숙종보다 많은 작품을 남길 수 없다는 이유로 1714년부터 1758년까지의 어제만 편찬하였고, 이를 영조 사후에 간행하였다. 이 역시 철종 대에는 후고에 보관되었다. 영조어제첩본은 『奉謨堂奉安御書總目』에 의하면 1741년부터 1776년까지의 어제로 이루어져 있으나 1770년 이후의 작품이 대부분이며 봉모당에 26개 함에 보관되어 온 것으로 여겨진다. 영조어제간본은 『奉謨堂奉藏書目』에 의하면 1741년 〈御製大訓〉 간행 이후 1776년까지 수시로 간행되었다. 역시 봉모당에 2개의 함에 보관되어 왔다.
      현재 영조어제는 대부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되어 있으며, 영조의 문집, 영조어제첩 등은 『英祖 · 莊祖文集』, 『英祖文集補遺』, 『英祖御製解題』 등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출판하였고, 영조어제간본, 열성어제 등은 『英祖御製訓書』, 『열성어제』 등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에서 출판한 바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current state of King Yeongjo’s creations and Bongmodang’s possession patterns of them. His creations consist of four types, which are his collections of works, Yeolseong creations, Gan versions and Cheop versions. His collections of works were divided by the period, and they were “Eoje” Sang (1714~November, 1747), “Yeongjongdaewangeojesokpyeon” (June, 1758~June, 1761), “Yeongjongdaewangeoje” (August, 1761~July, 1763), “Eoje” Ha (August, 1763~July, 1764), “Jipgyeongdangpyeonjip” (November, 1764~September, 1767), “Sokjipgyeongdangpyeonjip” (1768~August, 1770), and “Yeongjongdaewangeojeseupyu” (1725~1776). They were housed at Bongmodang that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Only “Jipgyeongdangpyeonjip” was transferred to the Hugo of Bongmodang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with the remaining creations preserved at the original one.
      In “Yeolseongeoje,” King Yeongjo’s creations only between 1714 and 1758 were published because he believed it would be wrong to publish more works than his predecessor King Sukjong. They were published after his death and housed at Hugo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According to “Bongmodangbonganeoseochongmok,” the Cheop versions of his creations included the ones created between 1741 and 1776 with most of them created after 1770. They were kept in 26 boxes at Bongmodang. According to “Bongmodangbongjangseomok,” the Gan versions of his creations were frequently published from 1741 when “Eojedaehun” was published to 1776. They were kept in two boxes also at Bongmodang.
      Today most of King Yeongjo’s creations are housed at Jangseogak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is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and Eoje Cheops were published into “Collections of King Yeongjo’s and King Jeongjo’s Works,” “Boyu of King Yeongjo’s Collection of Works” and “Haeje of King Yeongjo’s Creations”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Gan versions of his creations and Yeolseong Eojes were published into “Hunseo of King Yeongjo’s Creations” and “Yelseongeoje” by Kyujanggak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번역하기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current state of King Yeongjo’s creations and Bongmodang’s possession patterns of them. His creations consist of four types, which are his collections of works, Yeolseong creations, Gan versions and Ch...

      This paper presents an investigation into the current state of King Yeongjo’s creations and Bongmodang’s possession patterns of them. His creations consist of four types, which are his collections of works, Yeolseong creations, Gan versions and Cheop versions. His collections of works were divided by the period, and they were “Eoje” Sang (1714~November, 1747), “Yeongjongdaewangeojesokpyeon” (June, 1758~June, 1761), “Yeongjongdaewangeoje” (August, 1761~July, 1763), “Eoje” Ha (August, 1763~July, 1764), “Jipgyeongdangpyeonjip” (November, 1764~September, 1767), “Sokjipgyeongdangpyeonjip” (1768~August, 1770), and “Yeongjongdaewangeojeseupyu” (1725~1776). They were housed at Bongmodang that was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Jeongjo. Only “Jipgyeongdangpyeonjip” was transferred to the Hugo of Bongmodang built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with the remaining creations preserved at the original one.
      In “Yeolseongeoje,” King Yeongjo’s creations only between 1714 and 1758 were published because he believed it would be wrong to publish more works than his predecessor King Sukjong. They were published after his death and housed at Hugo during the reign of King Cheoljong. According to “Bongmodangbonganeoseochongmok,” the Cheop versions of his creations included the ones created between 1741 and 1776 with most of them created after 1770. They were kept in 26 boxes at Bongmodang. According to “Bongmodangbongjangseomok,” the Gan versions of his creations were frequently published from 1741 when “Eojedaehun” was published to 1776. They were kept in two boxes also at Bongmodang.
      Today most of King Yeongjo’s creations are housed at Jangseogak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His personal collections of works and Eoje Cheops were published into “Collections of King Yeongjo’s and King Jeongjo’s Works,” “Boyu of King Yeongjo’s Collection of Works” and “Haeje of King Yeongjo’s Creations” by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The Gan versions of his creations and Yeolseong Eojes were published into “Hunseo of King Yeongjo’s Creations” and “Yelseongeoje” by Kyujanggak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영조어제 현황
      • Ⅲ. 영조어제의 보관양상: 『봉모당봉장서목』
      • Ⅳ. 정조의 봉모당과 『봉모당봉안어서총목』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영조어제 현황
      • Ⅲ. 영조어제의 보관양상: 『봉모당봉장서목』
      • Ⅳ. 정조의 봉모당과 『봉모당봉안어서총목』
      • Ⅴ. 『봉모당봉안어서총목』과 『봉모당봉장서목』의 영조어제간본 비교
      • Ⅵ.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