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18세기에 강력한 지도력을 행사한 숙종, 경종, 영조, 정조가 편찬한 왕실자료와 정조가 규장각에 봉모당을 건설한 후 이들 왕실자료를 보관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조선후기에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672110
2018
Korean
봉모당 ; 숙종 ; 영조 ; 사도세자 ; 정조 ; 어제 ; Bongmodang ; King Sukjong ; King Yeongjo ; King Jeongjo ; Crown Prince Sado ; king’s writing
KCI등재
학술저널
36-66(31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8세기에 강력한 지도력을 행사한 숙종, 경종, 영조, 정조가 편찬한 왕실자료와 정조가 규장각에 봉모당을 건설한 후 이들 왕실자료를 보관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조선후기에는 ...
이 글은 18세기에 강력한 지도력을 행사한 숙종, 경종, 영조, 정조가 편찬한 왕실자료와 정조가 규장각에 봉모당을 건설한 후 이들 왕실자료를 보관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조선후기에는 새 국왕이 즉위하면 기왕에 간행된 『列聖御製』와 『列聖御筆』에 돌아가신 국왕의 어제와 어필을 덧붙여 간행하는 방식이 일반화되었다. 특히 영조는 자신의 어제를 모은 어제집을 여러 번 편찬하였고, 자신의 어제를 독립된 책자를 만든 어제책을 수십 종이나 간행하였다. 정조는 봉모당을 건설한 이후 역대 국왕의 어제와 어필을 집중적으로 보관하였다.
정조가 봉모당을 건설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명나라 황제가 조선 국왕에게 내린 大寶를 보관하면서 명에서 조선으로 이어지는 정통성을 상징하였다.
둘째, 역대 국왕의 유물을 일괄적으로 보관하면서 선왕들의 행적을 중시하고 계승하였다.
셋째, 정조가 본받아야 할 영조의 법과 정치가 기록된 어제를 집중적으로 보관하였다. 정조가 건설한 봉모당에 보관된 물품의 대부분은 영조의 어제였다.
넷째, 영조가 사도세자와 정조의 정통성을 인정한 물품을 보관하였다. 영조는 사도세자에게 내린 훈유에서 효성을 이루라고 당부하였고, 정조에게 내린 은인과 유서에서는 효성을 이루었다고 인정하였다. 봉모당에 보관된 사도세자의 물품은 정조가 사도세자의 지위를 강화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봉보당은 정조가 이처럼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건설한 규장각의 부속 건물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royal documents compiled by King Sukjong, King Gyeongjong,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who wielded strong leadership in the 18th century and the process of storing these royal documents after King Jeongjo built the Bongmodang at ...
This paper examined royal documents compiled by King Sukjong, King Gyeongjong,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who wielded strong leadership in the 18th century and the process of storing these royal documents after King Jeongjo built the Bongmodang at Kyujanggak, the royal library.
In the late Joseon period, when the new king took office, it has become common to publish previously published royal writings with the addition of the late king’s writings. In particular, King Yeongjo compiled his own writings several times, and published dozens of separate books on his writings. Since the construction of the Bongmodang, King Jeongjo has kept the writings of all kings.
The significance of the construction of the Bongmodang by King Jeongjo was as follows.
First, it symbolized the legitimacy of the Ming Dynasty to Joseon, keeping the seal of state that the Emperor of the Ming Dynasty abdicated to the king of Joseon.
Second, keeping the remains of the former kings in bulk, King Jeongjo valued and succeeded the achievements of his predecessors.
Third, King Yeongjo’s laws and politics that should be imitated by King Jeongjo were kept intensively. Most of the items stored in the Bongmodang were the King Yeongjo’s writings.
Fourth, King Jeongjo kept items that King Yeongjo recognized the legitimacy of Crown Prince Sado and King Jeongjo. King Yeongjo asked the Crown Prince to perform his filial duty in the lecture to the Crown and acknowledged that King Jeongjo was the filial grandson on the silver stamp and the lecture given to the King. Crown Prince Sado’s items stored in the Bongmodang served as a basis for King Jeongjo’s strengthening of the status of the Crown.
Bongmodang was an annex to Kyujanggak built by King Jeongjo with such diverse purpos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문식, "조선후기 敬奉閣에 대하여" 28 : 2004
2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실의 각석"
3 이완우, "조선 후기 列聖御筆의 刊行과 廣布" 한국학중앙연구원 (30) : 146-193, 2013
4 원창애, "조선 후기 선원보첩류의 편찬체제와 그 성격" 한국학중앙연구원 (17) : 39-72, 2007
5 김상환, "영조어제첩의 체제와 특성" 한국학중앙연구원 (16) : 5-28, 2006
6 이근호, "영조대 중반 御製訓書의 간행 양상과 의의-御製大訓r과 御製常訓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6) : 68-101, 2011
7 李鍾黙, "藏書閣 소장 『列聖御製』와 國王文集의 편찬과정" (창간) : 1999
8 안미경, "藏書閣 所藏『璿源系譜記略』의 書誌的인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17) : 5-38, 2007
9 김문식, "英祖御製訓書 1" 대학교 규장각 2003
10 "英祖御製帖目錄"
1 김문식, "조선후기 敬奉閣에 대하여" 28 : 2004
2 국립고궁박물관, "조선왕실의 각석"
3 이완우, "조선 후기 列聖御筆의 刊行과 廣布" 한국학중앙연구원 (30) : 146-193, 2013
4 원창애, "조선 후기 선원보첩류의 편찬체제와 그 성격" 한국학중앙연구원 (17) : 39-72, 2007
5 김상환, "영조어제첩의 체제와 특성" 한국학중앙연구원 (16) : 5-28, 2006
6 이근호, "영조대 중반 御製訓書의 간행 양상과 의의-御製大訓r과 御製常訓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26) : 68-101, 2011
7 李鍾黙, "藏書閣 소장 『列聖御製』와 國王文集의 편찬과정" (창간) : 1999
8 안미경, "藏書閣 所藏『璿源系譜記略』의 書誌的인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17) : 5-38, 2007
9 김문식, "英祖御製訓書 1" 대학교 규장각 2003
10 "英祖御製帖目錄"
11 李姃玟, "英祖 御製書의 편찬과 의의" 51 : 2005
12 朴用萬, "英祖 御製冊의 자료적 성격" 11 : 2004
13 "英廟御筆"
14 허태용, "正祖의 繼志述事 기념사업과 『國朝寶鑑』 편찬" 한국사상사학회 (43) : 185-213, 2013
15 "朝鮮王朝實錄"
16 "日省錄"
17 "承政院日記"
18 "弘齋全書"
19 "寶印符信總數"
20 "奎章閣志"
21 "奉謨堂奉安御書總目"
22 "國朝寶鑑"
23 임치균, "列聖誌狀通紀 一" 韓國精神文化硏究院 2003
24 "列聖御製"
25 "列聖御筆刊進及景宗大王御筆屛風謄錄"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3-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5-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angseogak -> JANGSEOGAK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6 | 0.86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7 | 1.505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