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K-뷰티 화장품의 위기 분석과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797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i)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 crisis in K-beauty and the current situation, ii) seek a response plan through individualized strategies a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iii) assess the adequacy of domestic regulations, laws, and systems, which could weaken the export of makeup products, and iv) develop an improvement plan, focusing on the Chinese and Southeast Asian markets.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 an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among export managers from small & mid-sized enterprises as well as big businesses. In addition, literature and records, including objective statistics, industry analysis report, and policy data were analyzed. K-beauty’s popularity had declined sharply since it’s golden days. In fact, it hasn’t been able to find any solution to this issue in the Southeast Asian or Chinese markets, experiencing a dramatic decrease in sales and negative growth rates. As a way to overcome this crisis,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ized response strategy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 decreased competitiveness of K-beauty is requir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plan to localize specialized cosmetics such as, natural, functional, bio, and all-in-one products, which can generate synergistic effects between the excellence of K-beauty and the propensities of the new generation abroad. Also, the cosmetics export policy authority needs to upgrade its regulatory policies to international level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cosmetics industry. This study also suggested an overseas investment strategy and an overseas permit/approval agency for small and mid-sized enterprises, and the amendment enforcement of current punishment-centered cosmetics laws, as well as the removal of export inhibitors, such as redundant approval procedures.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i)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 crisis in K-beauty and the current situation, ii) seek a response plan through individualized strategies a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iii) assess the adequacy of domestic regulations, laws, ...

      This study attempted to i) investigate the causes of the crisis in K-beauty and the current situation, ii) seek a response plan through individualized strategies a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iii) assess the adequacy of domestic regulations, laws, and systems, which could weaken the export of makeup products, and iv) develop an improvement plan, focusing on the Chinese and Southeast Asian markets. In terms of the research method, an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among export managers from small & mid-sized enterprises as well as big businesses. In addition, literature and records, including objective statistics, industry analysis report, and policy data were analyzed. K-beauty’s popularity had declined sharply since it’s golden days. In fact, it hasn’t been able to find any solution to this issue in the Southeast Asian or Chinese markets, experiencing a dramatic decrease in sales and negative growth rates. As a way to overcome this crisis, the development of an individualized response strategy depending on the cause of the decreased competitiveness of K-beauty is required.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plan to localize specialized cosmetics such as, natural, functional, bio, and all-in-one products, which can generate synergistic effects between the excellence of K-beauty and the propensities of the new generation abroad. Also, the cosmetics export policy authority needs to upgrade its regulatory policies to international level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domestic cosmetics industry. This study also suggested an overseas investment strategy and an overseas permit/approval agency for small and mid-sized enterprises, and the amendment enforcement of current punishment-centered cosmetics laws, as well as the removal of export inhibitors, such as redundant approval procedur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원, "화장품산업, 국내 시장과 세계적 시장의 차이점은?"

      2 김현지, "화장품 산업의 현황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8

      3 강학희, "화장품 산업의 현재와 미래"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13-17, 2016

      4 김정숙, "화장품 산업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 국내 대학원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대한미용학회 11 (11): 249-258, 2015

      5 식품의약품안전처, "화장품 무역흑자첫 4조원 넘어서"

      6 박선희, "현대 여성의 라이프 스타일과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연구" 2 (2): 141-153, 2001

      7 박희웅, "행정박물로서 정부(지자체) 관인의 올바른 전통계승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8 아젠다 넷, "한식과 한국음식문화의 세계화"

      9 송민정, "한류의 비즈니스 확장에 관한 연구: 창의성 유형 모델 기반으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8 (18): 39-54, 2018

      10 김순자, "한국 화장품의 중국시장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14 (14): 73-83, 2013

      1 이지원, "화장품산업, 국내 시장과 세계적 시장의 차이점은?"

      2 김현지, "화장품 산업의 현황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8

      3 강학희, "화장품 산업의 현재와 미래"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13-17, 2016

      4 김정숙, "화장품 산업의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학적 분석 - 국내 대학원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 대한미용학회 11 (11): 249-258, 2015

      5 식품의약품안전처, "화장품 무역흑자첫 4조원 넘어서"

      6 박선희, "현대 여성의 라이프 스타일과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연구" 2 (2): 141-153, 2001

      7 박희웅, "행정박물로서 정부(지자체) 관인의 올바른 전통계승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8 아젠다 넷, "한식과 한국음식문화의 세계화"

      9 송민정, "한류의 비즈니스 확장에 관한 연구: 창의성 유형 모델 기반으로"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18 (18): 39-54, 2018

      10 김순자, "한국 화장품의 중국시장 진출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산업학회 14 (14): 73-83, 2013

      11 고중현, "중국에서 한국 화장품의 위조근절을 위한 통합적 위조방지 전략 연구" 한국통상정보학회 18 (18): 81-112, 2016

      12 짜오 슈에, "중국과 베트남 여성들의 K - 뷰티 색채이미지 지각 비교 연구" 한국복식학회 66 (66): 158-177, 2016

      13 이욱철, "중국 화장품의 수출 증대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7 (17): 239-248, 2017

      14 김영찬, "주요 국가의 화장품규정과비교한 우리나라의 화장품법령 개정방안" 대한화장품학회 31 (31): 2-11, 2005

      15 김미지, "일부 중국 여성의 피부 관리 형태와 K-뷰티 교육 참여 희망 정도" 한국미용학회 23 (23): 126-138, 2017

      16 "월간환경보건뉴스"

      17 오수정, "여대생의 인터넷을 통한 화장품 구매행동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3 (13): 121-137, 2012

      18 "아시아경제"

      19 KBS 1TV, "시사기획 창"

      20 김길영, "세계화, 노동의 질적 개선 그리고 효율성에 관한 연구: 화장품기업을 중심으로"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대학원 2018

      21 "산업정책분석원"

      22 "뷰티한국"

      23 이지영, "뷰티산업의 발전 방안에 관한연구" 12 (12): 13-20, 2016

      24 관세청, "보도자료"

      25 KOTRA, "미국 뉴욕 무역관"

      26 "머니투데이"

      27 "더스쿠프"

      28 KOTRA, "글로벌 화장품 트렌드 포럼"

      29 유혜경, "글로벌 코스메틱 브랜드 제품의 가격 비교 연구"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16 (16): 229-249, 2015

      30 "http://www.newsis.com/"

      31 "http://www.asiae.co.kr/news/"

      32 "http://moneys.mt.co.kr/"

      33 "KOTRA 베트남 호찌민 무역관"

      34 "KOTRA"

      35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GLOBAL COSMETICS FOCUS. 제10권"

      36 "Financial Times"

      37 "CNC NEWS"

      38 식약처, "2019년 바이오의약품, 한약, 화장품, 의약외품, 인체조직 제조ㆍ유통관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체예술학회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인체예술학회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5 0.85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76 0.61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