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의 목적은 여성이 판소리 창자로 호명되었던 사회.문화사적 기제로서 근대미디어의 작동을 분석하는 데 있다. 전통적 판소리의 전성기인 19세기까지 여성이 판소리 창자로 나서는 것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4356
2015
Korean
근대미디어 ; 젠더 ; 대중문화 ; 문화상품 ; 여성 ; 판소리 ; 명창 ; 유성기 ; 라디오 ; 문자미디어 ; 청각 ; 시각 ; Modern media ; gender ; popular culture ; cultural product ; female singer ; pansori ; master singer ; gramophone ; radio ; literary media ; auditory sense ; visual sense
001
KCI등재
학술저널
285-315(3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여성이 판소리 창자로 호명되었던 사회.문화사적 기제로서 근대미디어의 작동을 분석하는 데 있다. 전통적 판소리의 전성기인 19세기까지 여성이 판소리 창자로 나서는 것은...
이 글의 목적은 여성이 판소리 창자로 호명되었던 사회.문화사적 기제로서 근대미디어의 작동을 분석하는 데 있다. 전통적 판소리의 전성기인 19세기까지 여성이 판소리 창자로 나서는 것은 금기시돼 있었다. 진채선·허금파·강소춘 등의 예외가 있었으나, 그 간헐적 등장은 매번 새로운 사건일 뿐이었다. 본격적으로 여성들이 판소리 창자로 호명되기 시작한 때는 근대미디어가 작동하던 20세기 초반이었다. 그것은 신문·잡지·『매월신보』·가사지 등의 문자미디어(문자+책+인쇄)와, 유성기·라디오의 소리 미디어-테크놀로지가 교호 작동하는 가운데 나타난 현상이었다. 그런데 당시 대중문화의 코드는 전래의 가부장적 마초 취향의 지속이었다. 여성 창자는그 기호에 조응하는 문화 아이템으로서의 성격이 강했다. 그들은 남성창자가 명창으로 지칭되며 공인받던 것에 비해, 기생적 존재처럼 - 실제‘기생(妓生)’이거나 기생적(寄生的)인 - 문화사에 등장했던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판소리가 근대 대중문화 콘텐츠로서의 생명력을 다해가던 1950년대까지 계속되었으며, 지나간 고급문화로 전환되던 1960년대까지도 잔영처럼 남아있었다. 여성 창자가 여류 명창으로, 나아가 국창이나 선생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대중문화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난 시기, 그러니까 판소리 전통의 수보와 계승의 한복판에서였다. 대중문화의 시선에서 풀려났을 때에야 비로소 여성 창자들은 그 고유한 예술성과 입지, 명창의 길을 의연히 갈 수 있었던 것이었다. 이 글은 근대미디어와 젠더의 관점에서, 20세기 초 여성 판소리 창자의 사회·문화사적 변모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근대미디어는 문화사에서 여성의 등장 즉 젠더 분화를 야기하였으나, 문화상품으로 호명함으로써 그 여성들에게 제약을 가하기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operation of modern media as a social and cultural mechanism which called in female pansori singers. Until the 19th century, in the heyday of traditional pansori, female pansori singers had been prohibited f...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operation of modern media as a social and cultural mechanism which called in female pansori singers. Until the 19th century, in the heyday of traditional pansori, female pansori singers had been prohibited from performing on stage. While there existed some cases of exceptions such as Jin Chae-seon, Heo Geum-pa and Gang So-chun . though intermittently . their public appearance always hit the news. It was not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that female pansori singers were called on stage in earnest in the wake of the appearance of modern media. Such a phenomenon was the outcome of the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the “literary media”. letters, books, and publications such as newspapers, magazines, the Maewol Shinbo (the Monthly Report of New Music) and the collection of lyrics and the “sound media-technology” such as gramophones and the radio. Besides, the conventional and patriarchal macho tastes continued to dominate society as the code of popular culture. Under the context, female singers had a strong character of a cultural icon who only corresponded to the tastes. This trend continued until the 1950s when pansori almost lost its vigor as the main contents of modern popular culture and remained until the 1960s when pansori was promoted into a high artistic cultural item showcasing a trace of cherished old Korean cultures. The status of female pansori singers was promoted to that of female master singers, and furthermore to the state-authorized singers (gukchang) or instructors during the period when pansori was completely freed from the influence of popular culture. At that time, female pansori singers were at the center of preserving and inheriting the tradition of pansori. Only after they were liberated from the gaze of the public could they find they own way as artists and master singers dauntlessly. This paper has analyzed the socio-cultural changes of the female pansori singers in the early 20th century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media and gender. And this research has consequently found that modern media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women and the subsequent differentiation of gender on one hand and imposed restrictionw on the female pansori singers in the process of calling them out as the cultural products on the other hand.
일반논문 : 희비극의 제 3의 장르로서의특징에 대한 고찰 -셰익스피어 극작품 분류를 중심으로-
일반논문 : 『토끼 아저씨와 멋진 선물』을 통해 본 그림책의 스토리텔링
일반논문 : 근대 중국 영화제작사의 지배구조와 운영 -“실업부(實業部)”와 “경제부(經濟部)” 등기기록을 중심으로-
판소리 명인ㆍ명창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송미경판소리 명인ㆍ명창
K-MOOC 고려대학교 한국언어문화학술확산연구소 송미경문화관광상품의 이해[Understanding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김재호 교수문화관광상품의 이해[Understanding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김재호 교수문화관광상품의 이해[Understanding of cultural tourism product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김재호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