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교 신입생의 토익에 대한 학습 방법 및 성과에 대한 비교 분석 = A Study on Comparison of Learning Methods and their Performance to TOEIC of University Fresh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5998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 of TOEIC of university freshmen by the learning methods. The sample is 142 students enrolled online TOEIC and 332 students enrolled face-to-face TOEIC and TOEIC test results of the student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the followings: First, it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by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methods. Second, also it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ategories (humanities, social sciences, engineering, natural sciences, and arts & physical education) by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methods. Third, as one-way ANOVA results, LC TOEIC score (MAX) of face-to-face learning are better than those of online learning. The other results of online learning are better than those of face-to-face learning. Fourth, as three-way ANOVA results, there are not the interaction effects in the model. The main effects of RC scores in the online learning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re a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ce-to-face learning to online learning. That is, the improvement of face-to-face learning has been analyzed to approximately 1.8 times higher than the improvement of online learn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 of TOEIC of university freshmen by the learning methods. The sample is 142 students enrolled online TOEIC and 332 students enrolled face-to-face TOEIC and TOEIC test results of the students are com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 of TOEIC of university freshmen by the learning methods. The sample is 142 students enrolled online TOEIC and 332 students enrolled face-to-face TOEIC and TOEIC test results of the students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the followings: First, it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by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methods. Second, also it show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categories (humanities, social sciences, engineering, natural sciences, and arts & physical education) by online and face-to-face learning methods. Third, as one-way ANOVA results, LC TOEIC score (MAX) of face-to-face learning are better than those of online learning. The other results of online learning are better than those of face-to-face learning. Fourth, as three-way ANOVA results, there are not the interaction effects in the model. The main effects of RC scores in the online learning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inally, there a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face-to-face learning to online learning. That is, the improvement of face-to-face learning has been analyzed to approximately 1.8 times higher than the improvement of online lear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을 통해 토익성과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A 대학교 2014년 신입생 중에서 온라인 토익을 수강 신청한 학생 142명과 면대면 강의를 수강 신청한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모의토익 시험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학습에서는 여학생 비율이, 면대면 학습에서는 남학생 비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계열별로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 수강생 비율간 차이에 있어 사회과학계열의 비율은 온라인에서, 면대면 학습의 비율은 공학계열과 인문계열에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독립표본 t-검정 결과 LC 성적의 최대값만이 면대면 학습의 성적이 온라인 학습의 성적보다 낫고 나머지에서는 모두 온라인 학습의 성적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4) 삼원분산분석결과 교호작용들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온라인 학습에 의한 RC 성적들이 면대면 학습보다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의 개선정도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면대면 학습의 개선정도가 온라인 학습의 개선정도보다 약 1.8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학습이 면대면 학습방법의 성과보다 낫다고 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사실을 증명하는 데는 한계점이 있으며, 혼합학습의 성과와 비교하지 못한 점 또한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번역하기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을 통해 토익성과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A 대학교 2014년 신입생 중에서 온라인 토익을 수강 신청한 학생 142명과 면대면 강의를 수강 신청한 ...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을 통해 토익성과를 비교·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A 대학교 2014년 신입생 중에서 온라인 토익을 수강 신청한 학생 142명과 면대면 강의를 수강 신청한 학생 332명을 대상으로 모의토익 시험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온라인 학습에서는 여학생 비율이, 면대면 학습에서는 남학생 비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계열별로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 수강생 비율간 차이에 있어 사회과학계열의 비율은 온라인에서, 면대면 학습의 비율은 공학계열과 인문계열에서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독립표본 t-검정 결과 LC 성적의 최대값만이 면대면 학습의 성적이 온라인 학습의 성적보다 낫고 나머지에서는 모두 온라인 학습의 성적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4) 삼원분산분석결과 교호작용들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으며 온라인 학습에 의한 RC 성적들이 면대면 학습보다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5) 온라인 학습과 면대면 학습의 개선정도에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면대면 학습의 개선정도가 온라인 학습의 개선정도보다 약 1.8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온라인 학습이 면대면 학습방법의 성과보다 낫다고 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사실을 증명하는 데는 한계점이 있으며, 혼합학습의 성과와 비교하지 못한 점 또한 한계점으로 지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영,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이전과정에서 영어의 역할" 한국노동연구원 10 (10): 1-33, 2010

      2 한태인, "대학의 토익 영어수업에서 혼합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231-240, 2014

      3 신광인, "대학교양필수과목으로서의 토익수업의 효과" 한국중원언어학회 (24) : 125-137, 2012

      4 이윤성, "대학(원)생 졸업 직후 취업성공의 배경" 한국자료분석학회 12 (12): 1523-1533, 2010

      5 김태훈, "대학 졸업유예의 효과 분석: A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3083-3092, 2014

      6 송희심, "대학 교양영어 교과목에서 온라인 매체 활용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4 (14): 209-231, 2007

      7 최국렬, "다중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대졸취업에 관련성을 갖는 변인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799-811, 2013

      8 Chae, C. -K., "College to work transi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the youth(I): Labor mobility of college graduates" KRIVET 2005

      9 Kim, Y., "A study on TOEIC evaluation through the internet"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1-13, 2006

      1 김진영, "학교에서 직장으로의 이전과정에서 영어의 역할" 한국노동연구원 10 (10): 1-33, 2010

      2 한태인, "대학의 토익 영어수업에서 혼합학습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231-240, 2014

      3 신광인, "대학교양필수과목으로서의 토익수업의 효과" 한국중원언어학회 (24) : 125-137, 2012

      4 이윤성, "대학(원)생 졸업 직후 취업성공의 배경" 한국자료분석학회 12 (12): 1523-1533, 2010

      5 김태훈, "대학 졸업유예의 효과 분석: A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3083-3092, 2014

      6 송희심, "대학 교양영어 교과목에서 온라인 매체 활용이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교육학회 14 (14): 209-231, 2007

      7 최국렬, "다중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대졸취업에 관련성을 갖는 변인분석" 한국자료분석학회 15 (15): 799-811, 2013

      8 Chae, C. -K., "College to work transi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of the youth(I): Labor mobility of college graduates" KRIVET 2005

      9 Kim, Y., "A study on TOEIC evaluation through the internet" Humanities Research Institute 1-13,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