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플랫폼 노동자 실태조사와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f and Support Plan for Platform Workers: Focusing on the Case of Jeonju-s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91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platform that workers face through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platform worker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policy measures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latform workers and to create a stable working environment for them [Methodology]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special employment workers on platforms in five major areas. Moreov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additional people [Findings]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afe workplace environment for platform special employment workers. To this end, measures should be prepared first by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latform special employment workers and to ensure safety. Second,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latform workers. To this end, once ordinances related to platform special employment workers should be enacted, then system improvement and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prepared for support such as social insurance.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overnance for win-win cooperation. To this end, the establishment of a “platform special employment forum” or a “platform labor support center” should be prioritized.
      [Implications]The research results were expected to help identify the problems faced by platform workers, which have been increasing since the outbreak of Coronavirus disease 2019, and develop policy alternatives for the national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in the future."
      번역하기

      "[Purpose]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platform that workers face through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platform worker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policy measures to protect the rights ...

      "[Purpose]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difficulties and problems platform that workers face through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s of platform workers.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policy measures to protect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latform workers and to create a stable working environment for them [Methodology]A survey was conducted on 300 special employment workers on platforms in five major areas. Moreover,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additional people [Findings]Firs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afe workplace environment for platform special employment workers. To this end, measures should be prepared first by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to improv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latform special employment workers and to ensure safety. Second,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the rights and interests of platform workers. To this end, once ordinances related to platform special employment workers should be enacted, then system improvement and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prepared for support such as social insurance. Final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overnance for win-win cooperation. To this end, the establishment of a “platform special employment forum” or a “platform labor support center” should be prioritized.
      [Implications]The research results were expected to help identify the problems faced by platform workers, which have been increasing since the outbreak of Coronavirus disease 2019, and develop policy alternatives for the national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본 연구는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플랫폼 노동자들이 처한 어려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플랫폼 노동자들의 권익보호와 안정적인 노동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요 5개 분야 플랫폼 특수고용노동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랫폼 특수고용 노동자들의 안전한 일터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 또는 지자체에서 플랫폼 특수고용노동자들의 권익개선과 안전을 위한 방안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상시적인 상담 및 법률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창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두 번째로 플랫폼 노동자들의 권익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플랫폼 특수고용 노동자 관련 조례제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사회보험 등 지원을 위한 제도개선 및 재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생협력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플랫폼 특수고용 포럼” 또는 “플랫폼 노동지원센터” 등 지원기관의 설립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 19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플랫폼 노동자들에 대한 실태 분석을 통해 이들이 처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플랫폼 노동자들을 위한 정부 또는 지자체에 대한 정책적인 대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번역하기

      "[연구목적]본 연구는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플랫폼 노동자들이 처한 어려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플랫폼 노동자들의 권익보호와 안정적인 노동환경 조...

      "[연구목적]본 연구는 플랫폼 노동자에 대한 실태분석을 통해, 플랫폼 노동자들이 처한 어려움과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플랫폼 노동자들의 권익보호와 안정적인 노동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요 5개 분야 플랫폼 특수고용노동자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추가적으로 20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랫폼 특수고용 노동자들의 안전한 일터 환경조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정부 또는 지자체에서 플랫폼 특수고용노동자들의 권익개선과 안전을 위한 방안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상시적인 상담 및 법률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창구가 마련되어야 한다. 두 번째로 플랫폼 노동자들의 권익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플랫폼 특수고용 노동자 관련 조례제정이 이루어져야 하며, 사회보험 등 지원을 위한 제도개선 및 재원이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생협력 거버넌스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플랫폼 특수고용 포럼” 또는 “플랫폼 노동지원센터” 등 지원기관의 설립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 19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플랫폼 노동자들에 대한 실태 분석을 통해 이들이 처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플랫폼 노동자들을 위한 정부 또는 지자체에 대한 정책적인 대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승윤 ; 백승호 ; 남재욱, "한국 플랫폼노동시장의 노동과정과 사회보장제의 부정합" 한국산업노동학회 26 (26): 77-135, 2020

      2 장지연, "플랫폼종사자의 규모와 특징" 1-8, 2020

      3 김준영, "플랫폼종사자의 규모와 근무실태" 1-19, 2021

      4 김준영,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 추정과 특성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018

      5 남재욱, "플랫폼 노동자의 사회적 권리 보장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6 남재욱, "플랫폼 노동자의 노동상황과 일자리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1 (21): 101-133, 2021

      7 장경운 ; 김진 ; 이정우, "플랫폼 노동의 특성에 대한 주관성 연구: 음식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주관성연구학회 (56) : 5-25, 2021

      8 Prassl, J., "플랫폼 노동은 상품이 아니다" 숨쉬는 책공장 2020

      9 김철식, "플랫폼 노동 종사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9

      10 장지연, "플랫폼 노동 실태파악을 위한 통계․설문 방안 검토" 일자리기획단․한국노동연구원 2019

      1 이승윤 ; 백승호 ; 남재욱, "한국 플랫폼노동시장의 노동과정과 사회보장제의 부정합" 한국산업노동학회 26 (26): 77-135, 2020

      2 장지연, "플랫폼종사자의 규모와 특징" 1-8, 2020

      3 김준영, "플랫폼종사자의 규모와 근무실태" 1-19, 2021

      4 김준영, "플랫폼경제종사자 규모 추정과 특성 분석" 한국고용정보원 2018

      5 남재욱, "플랫폼 노동자의 사회적 권리 보장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20

      6 남재욱, "플랫폼 노동자의 노동상황과 일자리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1 (21): 101-133, 2021

      7 장경운 ; 김진 ; 이정우, "플랫폼 노동의 특성에 대한 주관성 연구: 음식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한국주관성연구학회 (56) : 5-25, 2021

      8 Prassl, J., "플랫폼 노동은 상품이 아니다" 숨쉬는 책공장 2020

      9 김철식, "플랫폼 노동 종사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9

      10 장지연, "플랫폼 노동 실태파악을 위한 통계․설문 방안 검토" 일자리기획단․한국노동연구원 2019

      11 김정원 ; 서재현, "비정규직의 직무만족 결정요인 : 비정규직 선택자발성의 효과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인사관리학회 32 (32): 81-109, 2008

      12 Gray, M. L., "고스트 워크" 한스미디어 2019

      13 Huws U., "Work in the European gig economy: Research results from the UK, Sweden, Germany, Austria, the Netherlands, Switzerland and Italy"

      14 Vallas, S., "What Do Platforms Do? Understanding the Gig Economy" 46 : 273-294, 2020

      15 Forde, C., "The Social Protection of Workers in The Platform Economy. Policy Department-Economic and Social Policy"

      16 Weiss, H. M., "Social Influences on Judgements About Tasks" 24 : 136-140, 1979

      17 Glisson, C., "Predi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33 (33): 61-81, 1988

      18 Pesole, A., "Platform Workers in Europe"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8

      19 Eurofound, "Platform Work: Types and Implications For Work and Employment Literature Review" Dublin 2018

      20 Arvey, R. D., "Job Satisfaction: Environmental and Genetic Components" 74 (74): 187-, 1989

      21 McCormick, E. J.,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rentice-Hall 1985

      22 Berg, J., "Income Security in the On-demand Economy: Findings and Policy Lessons From a Survey of Crowdworkers" ILO 2016

      23 ILO, "Digital labour platforms and the future of work Towards decent work in the online world" ILO

      24 Berg, J., "Digital Labour Platforms and The Future of Work: Towards Decent Work in The Online World" International Labour Office 2018

      25 Schmidt, F., "Digital Labour Markets in the Platform Economy: Mapping the Political Challenges of Crowd Work and Gig Work" FFriedrich-Ebert-Stiftung 2017

      26 Schulz-Weidner, W., "Are Social Security Systems Adapted to New Forms of Work Created by Digital Platforms?" 2019

      27 OECD, "An Introduction to Online Platforms and Their Role in the Digital Transformation" OECD Publishing 2019

      28 Howcroft, D., "A Typology of Crowd work Platforms" 33 (33): 21-38,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2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교육논총 -> 경영교육연구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9 1.39 1.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 1.28 1.351 0.5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