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Brain MRI 상 Cerebellar atrophy로 인한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으로 진단받은 6세 환아의 Ataxia, Dysarthria, 두부진전증(頭部振顫症), 안진(眼振) 등에 대해 한방적 치료 후 호전도가 있었기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443106
하광수 ; 김선미 ; 하수연 ; 송인선 ; 이정림 ; Ha, Kwang-Su ; Kim, Sun-Mi ; Ha, Su-Yun ; Song, In-Sun ; Lee, Jeong-Lim
200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1-50(10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저자는 Brain MRI 상 Cerebellar atrophy로 인한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으로 진단받은 6세 환아의 Ataxia, Dysarthria, 두부진전증(頭部振顫症), 안진(眼振) 등에 대해 한방적 치료 후 호전도가 있었기에 ...
저자는 Brain MRI 상 Cerebellar atrophy로 인한 척수소뇌성 운동실조증으로 진단받은 6세 환아의 Ataxia, Dysarthria, 두부진전증(頭部振顫症), 안진(眼振) 등에 대해 한방적 치료 후 호전도가 있었기에 이에 증례보고(證例報告)하는 바이다. 특히 두진(頭振), 안진(眼振)과 같은 진전(振顫)질환과 실조증에 대하여 두침(頭鍼)시술이 유효성이 컸으며, 오지(五遲) 오연증(五軟證)에 대하여서 간(肝), 신정격(腎正格)과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의 장기 투여가 효과가 있었다. 일반적인 SCA, ADCA가 청, 장년기 이후에 발생하고 유전적인 경향이 큰 것에 반해 재태(在胎)시 큰 이상없이 생후 특발적으로 발생한 척수 소뇌성 운동실조에 대하여서는 한방적으로 증례보고(證例報告) 된 바가 드문 실정으로 유, 소아의 이러한 질환에 대한 진일보된 연구과 함께 평가척도나 치료방법적인 면에서의 고찰(考察)이 더욱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의 두 가계에서 밝혀진 척수소뇌성실조증 6형" 18 (18): 301-, 2000
2 "퇴행성 소뇌운동실조 증례보고" 13 (13): 129-35, 2003
3 "척수소뇌성실조증 6형 1례" 18 (18): 345-, 2000
4 "임상신경진찰법" 서광의학서림 212 : 216-20, 1993
5 "시신경위축과 연관된 상염색체 우성 소뇌성운동실조증" 39 (39): 288-91, 1998
6 "분자유전자 검사로 확진된 척수소뇌운동실조 2형 한가족 3례" 고신대학교 의학부 학술지 133-9, 1999
7 "동양의학연구원 출판부" 1995
8 "대한내과학회 편: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서울: 도서출판 MIP 127-2483, 2003
9 "頭針의 理論的 根據에 대한 東西醫學的 考察" 16 (16): 105-6, 2003
10 "鍼灸學<下>" 서울 1411-4, 1998
1 "한국의 두 가계에서 밝혀진 척수소뇌성실조증 6형" 18 (18): 301-, 2000
2 "퇴행성 소뇌운동실조 증례보고" 13 (13): 129-35, 2003
3 "척수소뇌성실조증 6형 1례" 18 (18): 345-, 2000
4 "임상신경진찰법" 서광의학서림 212 : 216-20, 1993
5 "시신경위축과 연관된 상염색체 우성 소뇌성운동실조증" 39 (39): 288-91, 1998
6 "분자유전자 검사로 확진된 척수소뇌운동실조 2형 한가족 3례" 고신대학교 의학부 학술지 133-9, 1999
7 "동양의학연구원 출판부" 1995
8 "대한내과학회 편: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서울: 도서출판 MIP 127-2483, 2003
9 "頭針의 理論的 根據에 대한 東西醫學的 考察" 16 (16): 105-6, 2003
10 "鍼灸學<下>" 서울 1411-4, 1998
11 "東醫 小兒科學." 서울: 정담 406-9, 2002
12 "五遲症이 선행된 상태에서 慢驚風 후 五軟症과 五硬症이 발생한 환아 1례" 18 (18): 173-5, 2004
13 "Olivopontocerebellar Atrophy의 임상상과 전산화단층뇌촬영 소견" 5 (5): 87-92, 1988
14 "Cerebellar vermis atropy로 인한 Spinocerebellar Ataxia 患者 治驗 1例 報告" 19 (19): 79-85, 2002
절식요법이 2명의 비만청소년의 체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
당귀음자(當歸飮子) 가감방(加減方)의 처방별 (A, B) 아토피성 알레르기반응 조절 효과 비교 연구
계절별(季節別) 증상(症狀)을 중심으로 한 소아감모(小兒感冒)의 임상적 고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ssociation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 The Association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2013-01-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 The Journal of Pediatrics of Korean Medicin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5-08-25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Oriental Pediatric Society -> The Association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 ![]() |
2005-01-2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 The Korean Oriental Pediatric Society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4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6 | 0.48 | 0.52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