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에서 디지털 정당의 출현은 가능한가? = Is it possible for a digital party to emerge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231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igital parties are being discussed due to demands for innovation and reform.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emergence of digital political parties in Korea, this study focused on factors that could suppress the emergence of digital parties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surveys and content analysis through text min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rate of Koreans was similar to the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rate, and they were expressing their opinions on policies to the ruling party through an online website. They also had the possibility of positive recognition of digital parties. However, the requirements for party establishment under the Party Act are becoming increasingly strict, and in the changing times, established political parties are changing by introducing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digital political parties appearing in Korea seems low. If an established party can introduce digital technology and solve the problems that arise under representative democracy in the flow of change of the times, people's trust in the party will increase and mature representative democracy will be realized before finding an alternative to the digital party.
      번역하기

      Digital parties are being discussed due to demands for innovation and reform.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emergence of digital political parties in Korea, this study focused on factors that could suppress the emergence of digital partie...

      Digital parties are being discussed due to demands for innovation and reform. In order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the emergence of digital political parties in Korea, this study focused on factors that could suppress the emergence of digital parties through analysis of existing surveys and content analysis through text min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nline political participation rate of Koreans was similar to the offline political participation rate, and they were expressing their opinions on policies to the ruling party through an online website. They also had the possibility of positive recognition of digital parties. However, the requirements for party establishment under the Party Act are becoming increasingly strict, and in the changing times, established political parties are changing by introducing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digital political parties appearing in Korea seems low. If an established party can introduce digital technology and solve the problems that arise under representative democracy in the flow of change of the times, people's trust in the party will increase and mature representative democracy will be realized before finding an alternative to the digital par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대의민주주의의 위기 속에서 기성정당은 변화를 넘어서 혁신과 개혁의 요구에 직면하고 있으며 새로운 플랫폼을 , 통한 정당 형태에 대해서도 논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디지털 정당 출현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기존 설문조사 분석 및 텍스트마이닝 을 통한 내용분석 등을 디지털 정당의 출현을 억제할 수 있는 요인들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한국인은 오프라인 정치참여와 비슷한 수준의 온라인 정치참여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여당을 중심으로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정책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고 있었다. 또한 디지털 정당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의 가능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정당법상 정당설립 요건은 점차 엄격해지고 있으며, 기성정당은 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변화하고 있다. 시대적 변화의 흐름 속에 서 기성정당이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고 대의민주주의하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면, 디지털 정당이라는 대체제를 찾기 이전에 정당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높아지고 더 나아가 참여와 숙의가 동반된 성숙한 대의민주주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대의민주주의의 위기 속에서 기성정당은 변화를 넘어서 혁신과 개혁의 요구에 직면하고 있으며 새로운 플랫폼을 , 통한 정당 형태에 대해서도 논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

      대의민주주의의 위기 속에서 기성정당은 변화를 넘어서 혁신과 개혁의 요구에 직면하고 있으며 새로운 플랫폼을 , 통한 정당 형태에 대해서도 논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디지털 정당 출현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기존 설문조사 분석 및 텍스트마이닝 을 통한 내용분석 등을 디지털 정당의 출현을 억제할 수 있는 요인들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한국인은 오프라인 정치참여와 비슷한 수준의 온라인 정치참여율을 보이고 있었으며, 여당을 중심으로 온라인 홈페이지를 통해 정책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고 있었다. 또한 디지털 정당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인식의 가능성이 나타났다. 그러나 정당법상 정당설립 요건은 점차 엄격해지고 있으며, 기성정당은 디지털 기술을 도입해 변화하고 있다. 시대적 변화의 흐름 속에 서 기성정당이 디지털 기술을 도입하고 대의민주주의하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면, 디지털 정당이라는 대체제를 찾기 이전에 정당에 대한 국민의 신뢰가 높아지고 더 나아가 참여와 숙의가 동반된 성숙한 대의민주주의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범, "한국종합사회조사 2003-2018"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8

      2 김진주, "한국의 정당, 어디로 가야 하는가"

      3 강원택, "제한적 정당 경쟁과 정당 활동의 규제: 정당법의 기원과 변천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4 (14): 5-32, 2015

      4 김예원, "정보화시대, 모바일 투표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일 고찰 - 민주통합당의 모바일 투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7 (17): 131-154, 2014

      5 박지영, "정보화 시대 대의민주주의 위기 극복을 위한 한국형 정당모델의 모색" 미래정치연구소 9 (9): 119-142, 2019

      6 정진웅, "정당 중심의 대의 민주주의와 4차 산업혁명 : 참여와 심의의 조화로운 발전 모색" 한국정치학회 53 (53): 79-99, 2019

      7 김효정, "온라인 정당 ‘규제개혁당’, 창당 발기인 대회 2월 4일 개최"

      8 윤성이, "디지털 시대의 정당개혁" 한국시민윤리학회 23 (23): 131-152, 2010

      9 이석민, "디지털 민주주의 플랫폼의 민주주의: 디지털 정당 사례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16 (16): 35-55, 2020

      10 임혁백, "대한민국의 위기는 어디서 오는가?" 16-92, 2017

      1 김지범, "한국종합사회조사 2003-2018"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8

      2 김진주, "한국의 정당, 어디로 가야 하는가"

      3 강원택, "제한적 정당 경쟁과 정당 활동의 규제: 정당법의 기원과 변천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 14 (14): 5-32, 2015

      4 김예원, "정보화시대, 모바일 투표의 가능성과 한계에 관한 일 고찰 - 민주통합당의 모바일 투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역사학회 17 (17): 131-154, 2014

      5 박지영, "정보화 시대 대의민주주의 위기 극복을 위한 한국형 정당모델의 모색" 미래정치연구소 9 (9): 119-142, 2019

      6 정진웅, "정당 중심의 대의 민주주의와 4차 산업혁명 : 참여와 심의의 조화로운 발전 모색" 한국정치학회 53 (53): 79-99, 2019

      7 김효정, "온라인 정당 ‘규제개혁당’, 창당 발기인 대회 2월 4일 개최"

      8 윤성이, "디지털 시대의 정당개혁" 한국시민윤리학회 23 (23): 131-152, 2010

      9 이석민, "디지털 민주주의 플랫폼의 민주주의: 디지털 정당 사례를 중심으로" 민주주의와 자치 연구소 16 (16): 35-55, 2020

      10 임혁백, "대한민국의 위기는 어디서 오는가?" 16-92, 2017

      11 장우영, "뉴미디어와 ICTs/Leadership 정당: 현대 정당의 변화와 지속" 21세기정치학회 20 (20): 1-30, 2010

      12 임유진, "남부 유럽의 테크노 포퓰리스트 정당과 당내 민주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 포데모스와 오성운동의 정당 조직과 정치적 결정과정" 한국사회역사학회 23 (23): 193-221, 2020

      13 구경우, "국민의힘 ‘디지털정당’ 가동 … 서울시장 ‘디지털 선거’ 예고"

      14 송경재, "e-party, 정당위기의 대안인가?" 21세기정치학회 17 (17): 21-44, 2007

      15 Mi felder, P, "Young people’s β engagement in ‘new’parties’" 12 (12): 243-248, 2013

      16 Karpf, David., "Two provocations for the study of digital politics in time" 17 (17): 87-96, 2019

      17 Mudde, Cas, "Transformations of Populism in Europe and the Americas: History and Recent Tendencies" 2016

      18 Gerbaudo, Paolo, "The Digital Party and Online Democracy" Pluto Press 2019

      19 Gibson, Rachel K., "Party change, social media and the rise of ‘citizen-initiated’campaigning" 21 (21): 183-197, 2015

      20 Vittori, Davide, "Membership and members’ participation in new digital parties : Bring back the people" 18 : 609-629, 2020

      21 Fenton, Natalie., "Left out? Digital media, radical politics and social change" 19 (19): 346-361, 2016

      22 Chadwick, Andrew, "Internet Politics: States, Citizens, and New Communication Technologi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3 Monge, P. R., "Handbook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ge 304-342, 1987

      24 Kneuer, Marianne, "E-democracy and the Matter of Scale. Revisiting the Democratic Promises of the Internet in Terms of the Spatial Dimension" 2020

      25 Sampedro, Victor, "Digital Media, Contentious Politics and Party Systems in Italy and Spain" 25 (25): 160-168, 2018

      26 Gibson, R.,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participation in the age of the internet: Is online political engagement really different to offline?" 75 (75): 2013

      27 Lutz, C., "Beyond just politic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f online participation" 19 (19): 2014

      28 Dommett, Katharine, "Are digital parties the future of party organization? A symposium on The Digital Party:Political Organisation and Online Democracy by Paolo Gerbaudo" 51 (51): 136-149, 2021

      29 Gerbaudo, Paolo, "Are digital parties more democratic than traditional parties? Evaluating Podemos and Movimento 5 Stelle’s online decision-making platforms" 1-13, 2019

      30 Hartleb, Florian, "Anti-elitist cyber parties?" 13 (13): 355-369, 201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