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초등학교 전이 과정에서 또래 간 관계맺음 경험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년에는 유치원 2개 기관의 만5세 학급을 각 한 개씩 선정하여 또래 간 상호작용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71396
-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초등학교 전이 과정에서 또래 간 관계맺음 경험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년에는 유치원 2개 기관의 만5세 학급을 각 한 개씩 선정하여 또래 간 상호작용이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초등학교 전이 과정에서 또래 간 관계맺음 경험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년에는 유치원 2개 기관의 만5세 학급을 각 한 개씩 선정하여 또래 간 상호작용이 활발한 남아 및 여아 집단을 3개 선정하였다. 선정된 또래 집단을 중심으로 혹은 집단 내 주요 관찰 대상 유아를 중심으로 참여관찰, 유아, 교사, 어머니 면담 등의 방법으로 또래집단 내 관계맺음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2차년에는 주요 관찰 대상 유아를 중심으로 초등학교에 진학한 아동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어머니 및 아동 면담을 실시하였고, 같은 초등학교, 같은 반에 배정된 아동 5명을 중심으로 관찰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입학 후 적응 및 또래 간 관계맺음 경험에 대한 추가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5명과 교사 2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외 연구자료로 연구자일지, 유아 및 아동의 활동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관찰 및 면담자료는 모두 전사한 후 여러 번 반복읽기 과정을 거치면서 수집한 자료 속에 있는 문화적 패턴과 그 패턴 간의 관계를 찾아내고 문화적 범주의 속성을 체계적으로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결과 또래집단 내 유아들의 관계맺음의 특성은 유아들의 개인적 성향 외에도 학급규모, 공간 및 놀이의 특성 등의 학급과 또래집단의 맥락적 특성과 상호작용하며 역동적으로 나타났다. 즉, 학급 내 환경의 특성 및 규칙, 교사의 역할 등 학급맥락의 특성과 또래집단 내 세력아의 특성 및 또래집단의 놀이문화의 특성에 따라 유아들의 관계맺음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전이 후 아동들의 관계맺음 특성은 유아의 성향에 따라 지속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초등학교 학급 배정, 방과후 활동의 참여, 어머니의 교류관계 등 다양한 맥락적 특성에 따라 변이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유아들의 또래집단의 형성과 집단 내 관계맺음의 특정한 양식들은 성별이나 교사의 지지와 같은 특정한 요인들의 단독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또래집단이 위치한 다양한 학급의 맥락과 세력아의 특성이나 놀이의 특성과 같은 또래집단 자체의 맥락의 복잡한 얽힘 속에서 발생하며 대부분의 경우 유아 자신이 놀이에의 참여와 즐거움의 경험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필요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선택해서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만들어 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들의 관계맺음 양식은 유아들의 개인적인 특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고정적인 성향이자 현상으로 보는 것은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오늘날 또래괴롭힘, 집단따돌림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또래 문화 속에서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aking peer relationships in kindergarten -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For this purpose, in the first year, one 5 - year - old class from two kindergartens per each were selected. From 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making peer relationships in kindergarten - elementary school transition. For this purpose, in the first year, one 5 - year - old class from two kindergartens per each were selected. From the two classes, three boy- and girl-group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s data collection, in the first year, children’s experiences of relationship making was examined by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of children, teachers, and mothers. In the second year, mothers and children were interviewed for the children who were mainly observed during the first year of research and assigned to the same elementary school and the same class. In order to collect additional data on the experiences of adaptation and peer relationships after entering elementary schoo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mothers of first grade children and two, first-grade teachers. As additional research data, research journal, children’s activity data. Observation and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first and then were read repeatedly in order to systematically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patterns and the attributes of cultural patter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s relationships in peer group interacted w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