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 후, 최초의 국정교과서 『바둑이와 철수』(박창해 저, 1948) 편찬의 국어학사적 맥락 연구-고(故) 박창해 구술 자료를 중심으로- = Historical Contexts of the First Government Designated Korean Textbook Badugi wa Chulsoo(1948) -Analysis of Chang hai Park’s Oral History in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214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irst government designated Korean textbook Badugi wa Chulsoo(1948) and the life history of Chang-hai Park(also known as Ch’ang-hae pak) who wrote the book. The book was published after Korea’s liberati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irst government designated Korean textbook Badugi wa Chulsoo(1948) and the life history of Chang-hai Park(also known as Ch’ang-hae pak) who wrote the book. The book was published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is paper represent contexts of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textbook reflected author’s personal history and opinion about language education. He applied to communicative approach, learner centered education and democratic education. It appeared contents of textbook and methods of education. Chang-hai Park grew up in a Christian home around foreign missionaries at Manchuria. His personal background related to the compilation process of the textbook. Communicative approach, learner-centered education and democratic education led to Korean language research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of Chang hai Par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설성경, "홍길동의 삶과 홍길동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2

      2 박창해, "현대 한국어 통어론 연구"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3 정태진, "한국교육사자료집-미군정기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4 서울덕수공립학교, "한국교육사자료집-미군정기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48

      5 박창해, "한국교육사자료집-미군정기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47

      6 성낙수, "학교 문법 품사 설정 및 용어 결정의 과정과 문제점"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229-269, 2010

      7 박창해, "편수의 뒤안길 8"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

      8 정진숙, "출판인 정진숙" 을유문화사 2007

      9 문교부 편수국, "초등 국어 1-1 편찬 취지"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 : 1950

      10 박용규, "조선어학회 항일투쟁사" 한글학회 2012

      1 설성경, "홍길동의 삶과 홍길동전"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2

      2 박창해, "현대 한국어 통어론 연구"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7

      3 정태진, "한국교육사자료집-미군정기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4 서울덕수공립학교, "한국교육사자료집-미군정기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48

      5 박창해, "한국교육사자료집-미군정기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47

      6 성낙수, "학교 문법 품사 설정 및 용어 결정의 과정과 문제점" 한국문법교육학회 12 : 229-269, 2010

      7 박창해, "편수의 뒤안길 8"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

      8 정진숙, "출판인 정진숙" 을유문화사 2007

      9 문교부 편수국, "초등 국어 1-1 편찬 취지"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 : 1950

      10 박용규, "조선어학회 항일투쟁사" 한글학회 2012

      11 여찬영,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재 An Intensive Course in Korean BookⅠ『한국어 교본』연구" 인문과학연구소 (16) : 257-278, 2011

      12 고영근, "연희 동산의 세 문법서" 형태론 12 (12): 146-165, 2010

      13 박창해, "언어생활과 한국어 교육" 국어국문학회 51 : 1971

      14 박창해, "사람과 언어" 1971

      15 오천석, "민주주의 교육의 건설" 국제문화공회 1947

      16 민현식, "미래를 여는 국어교육사 Ⅰ"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17 김석준, "미군정시대의 국가와 행정"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18 이응호, "미군정기 한글운동사" 성청사 1974

      19 이희호, "미군정기 『한글 첫걸음』 교재에 대한 맥락 연구" 겨레어문학회 (48) : 517-553, 2012

      20 이은선, "미군정과 대한민국의 건국시 기독교인들의 교육에 끼친 영향과 공헌" 한국복음주의신학회 64 : 219-254, 2012

      21 여찬영, "국어학자 박창해 교수의 학문 활동 연구1" 인문과학연구소 (18) : 215-238, 2012

      22 홍웅선, "국어교육의 진로" (창간) : 1948

      23 이희승, "국어교육의 당면문제" (창간) : 1947

      24 정렬모, "국어교육과 떼어쓰기" (창간) : 1948

      25 홍웅선, "국어교육" 현대교육총서출판사 1963

      26 정인승, "국어교수에 참고될 몇 가지" 1 (1): 1947

      27 홍웅선, "교육혁신의 반성과 진로" 교육과학사 1991

      28 이호성, "겉탈 民主主義 敎育을 삼가라" 조선교육연구회 (창간) : 1947

      29 Franciosi, obert J, "Rise and Fall of American Public Schools: The Political Economy of Public Educ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Amazon Digital Services, Inc 2004

      30 이길상, "20세기 한국 교육사" 집문당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