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근대 역사극의 전개와 역사 전유 양상 연구 = The Study on the Deployment and Aspects of Appropriation the History in Modern Korean Historical Pla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796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Deployment and Aspects of Appropriation the History in Modern Korean Historical Play. With that detailed argument, the main building put forward the mechanism of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plays, the high aesthetic embodiment of aesthetic characters as a characteristic of heroism,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dramatic aspects of national apocalypse motif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historical play, which became popular in the mid-1930s and thereafter by combining heroism with national apocalypse motif, was adapted to the tastes of readers and audiences by accepting the excess of emotion and moral dichotomy with dramatic aesthetics. Having recognized the power of public dissemination and the ability to respond, the Japanese government paid attention to historical dramas in the 1940s as the head of national literature, and actively utilized historical dramas as an effective propaganda medium for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during wartime. In addition, through censorship, the Japanese preemptively understood the direction of all the historical facts of Joseon, which were reproduced in historical 한국 근대 역사극의 전개 역사 전유 양상 연구 • plays. The environment created by these policies and systems was the only way forward, and the only way out, that the colonial past in the latter part of Japan could be argued over by the imperialists. Such ambivalence was the reality of modern Korean historical play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Deployment and Aspects of Appropriation the History in Modern Korean Historical Play. With that detailed argument, the main building put forward the mechanism of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play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Deployment and Aspects of Appropriation the History in Modern Korean Historical Play. With that detailed argument, the main building put forward the mechanism of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plays, the high aesthetic embodiment of aesthetic characters as a characteristic of heroism,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dramatic aspects of national apocalypse motif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historical play, which became popular in the mid-1930s and thereafter by combining heroism with national apocalypse motif, was adapted to the tastes of readers and audiences by accepting the excess of emotion and moral dichotomy with dramatic aesthetics. Having recognized the power of public dissemination and the ability to respond, the Japanese government paid attention to historical dramas in the 1940s as the head of national literature, and actively utilized historical dramas as an effective propaganda medium for the total mobilization system during wartime. In addition, through censorship, the Japanese preemptively understood the direction of all the historical facts of Joseon, which were reproduced in historical 한국 근대 역사극의 전개 역사 전유 양상 연구 • plays. The environment created by these policies and systems was the only way forward, and the only way out, that the colonial past in the latter part of Japan could be argued over by the imperialists. Such ambivalence was the reality of modern Korean historical play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역사극의 전반적인 전개 과정과 주요 작품의 역사 전유 양상에 관한 탐구를 목표로 수행되었다. 그 세부 논점으로 본고는 식민시기 역사극 생산의 메커니즘, 영웅담 재현의 특질로서 심미적 인물 형상화, 그리고 ‘망국사’ 모티프의 수용 및 변주 국면에 대한 고찰을 제기했다. 1930년대 중반 이후 망국사 모티프에 영웅담을 결합함으로써 일가를 이룬 역사극은 감정의 과잉과 도덕적 이분법을 극 미학으로 안착시킴으로써 독자와 관객의 입맛에 영합했다. 이러한 대중 전파력과 감응력을 간파한 일제는 1940년대 들어 국민문학의 좌장 격으로 역사극에 주목했고, 전시하 총동원체제의 효과적인 선전 매체로 역사극 공연을 적극 활용했다. 아울러 검열을 통해 일제는 역사극에 재현된 조선의 과거사 전유 방향을 선제적으로 통어했다. 이러한 정책과 제도가 빚어낸 환경은 곧 일제 말기 식민지 로컬의 과거가 제국담론에 포섭될 수 있는 유력한 경로이자, 유일한 퇴로였다. 결과적으로 그와 같은 양면성이 곧 한국 근대 역사극의 실체였던 셈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역사극의 전반적인 전개 과정과 주요 작품의 역사 전유 양상에 관한 탐구를 목표로 수행되었다. 그 세부 논점으로 본고는 식민시기 역사극 생산의 메커니즘, 영웅담 재...

      본 연구는 한국 근대 역사극의 전반적인 전개 과정과 주요 작품의 역사 전유 양상에 관한 탐구를 목표로 수행되었다. 그 세부 논점으로 본고는 식민시기 역사극 생산의 메커니즘, 영웅담 재현의 특질로서 심미적 인물 형상화, 그리고 ‘망국사’ 모티프의 수용 및 변주 국면에 대한 고찰을 제기했다. 1930년대 중반 이후 망국사 모티프에 영웅담을 결합함으로써 일가를 이룬 역사극은 감정의 과잉과 도덕적 이분법을 극 미학으로 안착시킴으로써 독자와 관객의 입맛에 영합했다. 이러한 대중 전파력과 감응력을 간파한 일제는 1940년대 들어 국민문학의 좌장 격으로 역사극에 주목했고, 전시하 총동원체제의 효과적인 선전 매체로 역사극 공연을 적극 활용했다. 아울러 검열을 통해 일제는 역사극에 재현된 조선의 과거사 전유 방향을 선제적으로 통어했다. 이러한 정책과 제도가 빚어낸 환경은 곧 일제 말기 식민지 로컬의 과거가 제국담론에 포섭될 수 있는 유력한 경로이자, 유일한 퇴로였다. 결과적으로 그와 같은 양면성이 곧 한국 근대 역사극의 실체였던 셈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치진, "歷史劇集 自鳴鼓" 行文社 1947

      2 유치진, "歷史劇集 第一輯" 現代公論社 1955

      3 김만수, "함세덕" 건국대학교출판부 2003

      4 양근애, "한국 역사극의 형성과 재현의 문화정치" 서울대학교 2016

      5 이상우, "표상으로서의 망국사 이야기" 한국극예술학회 25 : 55-90, 2007

      6 한수영, "친일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05

      7 고설봉, "증언연극사" 도서출판 진양 1990

      8 김효순, "조선전통문예 일본어번역의 정치성과 현진건의 『무영탑』에 나타난 민족의식 고찰"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32) : 297-320, 2015

      9 "조선일보"

      10 윤석진, "전시 총동원 체제기의 역사극 고찰 - 송영과 함세덕의 공연 희곡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학회 46 : 355-385, 2004

      1 유치진, "歷史劇集 自鳴鼓" 行文社 1947

      2 유치진, "歷史劇集 第一輯" 現代公論社 1955

      3 김만수, "함세덕" 건국대학교출판부 2003

      4 양근애, "한국 역사극의 형성과 재현의 문화정치" 서울대학교 2016

      5 이상우, "표상으로서의 망국사 이야기" 한국극예술학회 25 : 55-90, 2007

      6 한수영, "친일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05

      7 고설봉, "증언연극사" 도서출판 진양 1990

      8 김효순, "조선전통문예 일본어번역의 정치성과 현진건의 『무영탑』에 나타난 민족의식 고찰"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32) : 297-320, 2015

      9 "조선일보"

      10 윤석진, "전시 총동원 체제기의 역사극 고찰 - 송영과 함세덕의 공연 희곡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학회 46 : 355-385, 2004

      11 이재명, "임선규 작 「동학당」에 대하여" 39 (39): 116-129, 1993

      12 이화진, "일제 말기 역사극과 그 의미- 함세덕의 <낙화암>의 경우 -" 한국극예술학회 (18) : 131-157, 2003

      13 김병길, "이동규의 ‘호동설화’ 모티프 역사극 <樂浪公主> 연구 -창작 시점을 둘러싼 판본 계보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0) : 347-372, 2017

      14 이상우, "유치진 연구" 태학사 1997

      15 김만수, "역사와 설화의 희곡화에 관한 고찰- 함세덕의 <낙화암>과 <어밀레종>의 경우" 한국극예술학회 4 : 71-90, 1994

      16 김병길, "역사문학, 속과 통하다" 삼인 2013

      17 공임순, "역사-드라마의 멜로드라마적 구도와 민족주의의 이율배반성" KBS방송문화연구소 13 : 197-222, 2001

      18 공임순, "식민지 시대 흥망사 이야기와 여성 육체의 시각화- 이광수의마의태자 와 유치진의 <개골산>, 한상직의 「장야사」를 중심으로" 시학과언어학회 9 : 99-137, 2005

      19 이경숙, "박영호의 역사극 연구 -<원앙>과 <목화>를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27) : 127-162, 2008

      20 신원선, "동학희곡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21 "동아일보"

      22 이희환, "동아시아에 떠도는 김옥균 서사 ― 김옥균 연구의 서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4) : 75-98, 2008

      23 이승희, "국민연극의 단층과 임선규의 전략" 상허학회 25 : 123-145, 2009

      24 "靑年"

      25 한만수, "植民地時期 한국문학의 檢閱場과 英雄人物의 쇠퇴"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173-198, 2006

      26 이원조, "林巨正傳 에 關한 小考察" 조선일보사출판부 4 (4): 258-265, 1938

      27 "東光"

      28 이헌구, "朝鮮演劇運動에 對한 一小論" 극예술연구회 5 : 12-15, 1936

      29 함대훈, "朝鮮演劇界の現狀" 인문사 1 (1): 57-61, 1941

      30 "朝鮮及満州"

      31 "朝鮮之光"

      32 "朝鮮"

      33 "朝光"

      34 손정목, "日帝下 扶餘神宮 造營과 소위 扶餘神都建設" 일지사 13 (13): 123-156, 1987

      35 "新生"

      36 "新民"

      37 "新時代"

      38 유치진, "新劇과 國民劇" 삼천리사 13 (13): 166-168, 1943

      39 "新人文學"

      40 "文藝時代"

      41 "文章"

      42 "文敎の朝鮮"

      43 "批判"

      44 "學生"

      45 장혜전, "好童說話를 소재로 한 희곡 연구" 이화어문학회 9 : 127-150, 1987

      46 "大東亞"

      47 함대훈, "國民演劇의 方向" 조선춘추사 2 (2): 232-235, 1941

      48 "國民文學"

      49 "創造"

      50 "佛敎"

      51 "三千里"

      52 김강원, "TV 역사드라마의 장르 전유 방식 연구 : 〈다모〉(2003), 〈추노〉(2010)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53 이재명, "1930년대 희곡문학의 분석적 연구 : 송영·채만식·유치진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학회 -> 한국 리터러시 학회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Literacy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학작문 -> 리터러시 연구
      외국어명 : Korea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 .
      KCI등재
      2018-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 -> The Korean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2-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 The Korean Conference on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 1.3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