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유치진, "歷史劇集 自鳴鼓" 行文社 1947
2 유치진, "歷史劇集 第一輯" 現代公論社 1955
3 김만수, "함세덕" 건국대학교출판부 2003
4 양근애, "한국 역사극의 형성과 재현의 문화정치" 서울대학교 2016
5 이상우, "표상으로서의 망국사 이야기" 한국극예술학회 25 : 55-90, 2007
6 한수영, "친일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05
7 고설봉, "증언연극사" 도서출판 진양 1990
8 김효순, "조선전통문예 일본어번역의 정치성과 현진건의 『무영탑』에 나타난 민족의식 고찰"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32) : 297-320, 2015
9 "조선일보"
10 윤석진, "전시 총동원 체제기의 역사극 고찰 - 송영과 함세덕의 공연 희곡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학회 46 : 355-385, 2004
1 유치진, "歷史劇集 自鳴鼓" 行文社 1947
2 유치진, "歷史劇集 第一輯" 現代公論社 1955
3 김만수, "함세덕" 건국대학교출판부 2003
4 양근애, "한국 역사극의 형성과 재현의 문화정치" 서울대학교 2016
5 이상우, "표상으로서의 망국사 이야기" 한국극예술학회 25 : 55-90, 2007
6 한수영, "친일문학의 재인식" 소명출판 2005
7 고설봉, "증언연극사" 도서출판 진양 1990
8 김효순, "조선전통문예 일본어번역의 정치성과 현진건의 『무영탑』에 나타난 민족의식 고찰"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32) : 297-320, 2015
9 "조선일보"
10 윤석진, "전시 총동원 체제기의 역사극 고찰 - 송영과 함세덕의 공연 희곡을 중심으로 -" 어문연구학회 46 : 355-385, 2004
11 이재명, "임선규 작 「동학당」에 대하여" 39 (39): 116-129, 1993
12 이화진, "일제 말기 역사극과 그 의미- 함세덕의 <낙화암>의 경우 -" 한국극예술학회 (18) : 131-157, 2003
13 김병길, "이동규의 ‘호동설화’ 모티프 역사극 <樂浪公主> 연구 -창작 시점을 둘러싼 판본 계보를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학회 (110) : 347-372, 2017
14 이상우, "유치진 연구" 태학사 1997
15 김만수, "역사와 설화의 희곡화에 관한 고찰- 함세덕의 <낙화암>과 <어밀레종>의 경우" 한국극예술학회 4 : 71-90, 1994
16 김병길, "역사문학, 속과 통하다" 삼인 2013
17 공임순, "역사-드라마의 멜로드라마적 구도와 민족주의의 이율배반성" KBS방송문화연구소 13 : 197-222, 2001
18 공임순, "식민지 시대 흥망사 이야기와 여성 육체의 시각화- 이광수의마의태자 와 유치진의 <개골산>, 한상직의 「장야사」를 중심으로" 시학과언어학회 9 : 99-137, 2005
19 이경숙, "박영호의 역사극 연구 -<원앙>과 <목화>를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27) : 127-162, 2008
20 신원선, "동학희곡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21 "동아일보"
22 이희환, "동아시아에 떠도는 김옥균 서사 ― 김옥균 연구의 서설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4) : 75-98, 2008
23 이승희, "국민연극의 단층과 임선규의 전략" 상허학회 25 : 123-145, 2009
24 "靑年"
25 한만수, "植民地時期 한국문학의 檢閱場과 英雄人物의 쇠퇴"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173-198, 2006
26 이원조, "林巨正傳 에 關한 小考察" 조선일보사출판부 4 (4): 258-265, 1938
27 "東光"
28 이헌구, "朝鮮演劇運動에 對한 一小論" 극예술연구회 5 : 12-15, 1936
29 함대훈, "朝鮮演劇界の現狀" 인문사 1 (1): 57-61, 1941
30 "朝鮮及満州"
31 "朝鮮之光"
32 "朝鮮"
33 "朝光"
34 손정목, "日帝下 扶餘神宮 造營과 소위 扶餘神都建設" 일지사 13 (13): 123-156, 1987
35 "新生"
36 "新民"
37 "新時代"
38 유치진, "新劇과 國民劇" 삼천리사 13 (13): 166-168, 1943
39 "新人文學"
40 "文藝時代"
41 "文章"
42 "文敎の朝鮮"
43 "批判"
44 "學生"
45 장혜전, "好童說話를 소재로 한 희곡 연구" 이화어문학회 9 : 127-150, 1987
46 "大東亞"
47 함대훈, "國民演劇의 方向" 조선춘추사 2 (2): 232-235, 1941
48 "國民文學"
49 "創造"
50 "佛敎"
51 "三千里"
52 김강원, "TV 역사드라마의 장르 전유 방식 연구 : 〈다모〉(2003), 〈추노〉(2010)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53 이재명, "1930년대 희곡문학의 분석적 연구 : 송영·채만식·유치진을 중심으로"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