랭보의 시 세계, 특히『일뤼미나시옹』에서 시적 공간의 창조와 그 변화를 통해 우리는 시인 랭보가 부단한 움직임을 통해 현재 머물고 있는<이 곳>을 언젠가는 떠나 미지의 또 다른 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랭보의 시 세계, 특히『일뤼미나시옹』에서 시적 공간의 창조와 그 변화를 통해 우리는 시인 랭보가 부단한 움직임을 통해 현재 머물고 있는<이 곳>을 언젠가는 떠나 미지의 또 다른 공...
랭보의 시 세계, 특히『일뤼미나시옹』에서 시적 공간의 창조와 그 변화를 통해 우리는 시인 랭보가 부단한 움직임을 통해 현재 머물고 있는<이 곳>을 언젠가는 떠나 미지의 또 다른 공간을 추구하는 것을 보게 된다. 이런 성향은 우리가 잘 알 듯 그의 문학적 삶이든 실제적 삶이든 일관되게 거의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시 말하면, 랭보에게 있어 크게<자연>과 <도시> 그리고 <다른 곳>이라는 시적 공간들이 어떤 경우에는같이 어우러져 나타나기도 하고, 또 다른 경우에는 일련의 선상에서 변화함으로써, 시적 공간은 폐쇄적이고 제한적이 아니라 언제나 다른 곳을 향해 열려있는 다양성과 함께 그 개방성을 동시에 보여준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랭보는 항상 머물지 않고 부단히 다른 곳, 즉 미지의 어떤 곳을추구하면서, 그의 시 세계에 공통적으로 현재 머물고 있는 공간을 열린 공간, 움직이는 공간으로 구축하는 소위 공간의 <개방성>이 항상 그 기저에흐르고 있다 할 수 있다. 시적 공간의 개방성, 즉, 한시적이고 제약이 있는공간에서 랭보는 그의 기이할 정도의 창조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그 공간을 해체하고 확장시키며, 그 안에 이질적이든 동질적이든 가능한 모든 시적 요소들을 응축시키고 같이 어우러져 공존시킴으로써 각각의 시어들이서로 내재하고 있는 역동성의 힘으로 처음의 모습과는 완연히 다른 재창조된 공간을 창조하고 바로 그곳에서 그는 미지를 무한을 추구하고 있는것이다. 비록 그 공간의 조화가 강렬하면서도 순간이지만. 이것은, 후에문학 세계를 완전히 버리고 모든 것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 할 수 있는 아프리카라는 또 다른 현실적이자 미지의 공간으로 떠남으로써 또한 그의실존적 삶의 공간의 개방성을 보여주는 것과 일치하고 있다.
한편, 한 곳에 머물지 않고 계속해서 확장되고 이동하는 이런 특성 때문에 다양하면서도 상호 보완적이거나 또는 모순적인 많은 해석을 낳음으로써 이 시집을 더욱 난해하고 복잡하게 만드는 한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달리 말하면, 시적 공간의 다양성과 그 개방성 또 그것을 추구하려는 끊임없는 떠남이 이번에는 그 세계에 대한 의미망의 다양성과 개방성을 부추기고 있다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국, 랭보의 시 세계에서 시적 공간의 변화와 그 개방성은, 랭보가 보여주는 단순한 시적 관점과 방향의 시간적인 변화에 기인하는 것을 뛰어넘어 그의 문학적․실존적 삶의 저류에 일관되게 흐르는 떠남과 미지에의추구에 대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랭보만큼 삶과 문학이 동일한양태 속에서 진행된 시인도 드물기 때문에, 그의 문학의 초기부터 나타난끊임없는 출발 또는 떠남을 통한 시적 공간의 변화와 그로 인한 개방성은이미 예견됐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Claisse (Bruno), "«Rimbaud penseur», dans les Actes du colloque de Cerisy-la-Salle, 15-22 juillet 1989: Malédiction ou Révolution poétique: Lautréamont/Rimbaud, direction de Jean-Paul Corsetti et Steve Murphy" (13) : 1990
2 Rimbaud, "textes recueillis par Bertrand Marchal, Mont-de-Marsan" Centre de Recherches sur la lecture littéraire de l'Université de Reims, Éditions InterUniversitaires 1992
3 Steinmetz (Jean-Luc), "essais critiques sur la poésie du XVIIIe au XXe siècle" José Corti 1995
4 Guyaux (André), "Rimbaud: Des Poésies à la Saison" Garnier 2009
5 Bernadet (Arnaud), "Rimbaud, l'invisible et l'inouï" CNED-PUF 2010
6 Borer (Alain), "Rimbaud, l'heure de la fuite" Gallimard 1991
7 Plessen (Jacques), "Promenade et poésie. L'Expérience de la marche et du mouvement dans l'oeuvre de Rimbaud" La Haye-Paris, Mouton et Cie 1967
8 Rimbaud (Arthur), "Poésies, Une saison en enfer, Illuminations, Préface de René Char" Gallimard 1999
9 Baudelaire (Charles), "Petits poëmes en prose" Gallimard 146-147, 1973
10 Rimbaud (Arthur), "OEuvres poétiques: Poésies, Vers nouveaux, Une Saison en enfer, Illuminations" Imprimerie nationale 1986
1 Claisse (Bruno), "«Rimbaud penseur», dans les Actes du colloque de Cerisy-la-Salle, 15-22 juillet 1989: Malédiction ou Révolution poétique: Lautréamont/Rimbaud, direction de Jean-Paul Corsetti et Steve Murphy" (13) : 1990
2 Rimbaud, "textes recueillis par Bertrand Marchal, Mont-de-Marsan" Centre de Recherches sur la lecture littéraire de l'Université de Reims, Éditions InterUniversitaires 1992
3 Steinmetz (Jean-Luc), "essais critiques sur la poésie du XVIIIe au XXe siècle" José Corti 1995
4 Guyaux (André), "Rimbaud: Des Poésies à la Saison" Garnier 2009
5 Bernadet (Arnaud), "Rimbaud, l'invisible et l'inouï" CNED-PUF 2010
6 Borer (Alain), "Rimbaud, l'heure de la fuite" Gallimard 1991
7 Plessen (Jacques), "Promenade et poésie. L'Expérience de la marche et du mouvement dans l'oeuvre de Rimbaud" La Haye-Paris, Mouton et Cie 1967
8 Rimbaud (Arthur), "Poésies, Une saison en enfer, Illuminations, Préface de René Char" Gallimard 1999
9 Baudelaire (Charles), "Petits poëmes en prose" Gallimard 146-147, 1973
10 Rimbaud (Arthur), "OEuvres poétiques: Poésies, Vers nouveaux, Une Saison en enfer, Illuminations" Imprimerie nationale 1986
11 Lapeyre (Paule), "Le Vertige de Rimbaud: clé d'une perception poétique" À la Baconnière 1981
12 Fongaro (Antoine), "Le Soleil et la Chair. Lecture de quelques poésies de Rimbaud" Garnier 2009
13 Barthes (Roland), "Le Degré zéro de l'écriture" Le Seuil 1953
14 Collot (Michel), "La Poésie moderne et la structure d'horizon" P.U.F 1989
15 Murat (Michel), "L'Art de Rimbaud" José Corti 2002
16 Munier(Roger), "L'Ardente patience d'Arthur Rimbaud" José Corti 1993
17 "Europe, spécial Arthur Rimbaud, n° 746-747, juin-juillet 1991 et n° 966, octobre 2009"
18 Brunel (Pierre), "Eclats de la violence. Pour une lecture comparatiste des Illuminations d'Arthur Rimbaud" José Corti 2004
19 Guyaux (André), "Duplicités de Rimbaud" Champion-Slatkine 1991
20 Ray (Lionel), "Arthur Rimbaud" Seghers 1976
21 Gleize (Jean-Marie), "Arthur Rimbaud" Hachette 1993
하인리히 폰 클라이스트의 『슈로펜슈타인가』에서 나타난 비극성으로서 인간의 소통한계에 대해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7-08-20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인문과학연구소 -> 인문학연구원영문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2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3 | 0.33 | 0.727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