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중심의 통합적 케어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의 책무를 제고하고 이를 위한 제도 화 방안으로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통합적 노인케어서비스 체계 구축과 한국형 케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046029
2017
-
338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5-48(44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중심의 통합적 케어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의 책무를 제고하고 이를 위한 제도 화 방안으로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통합적 노인케어서비스 체계 구축과 한국형 케어...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중심의 통합적 케어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가의 책무를 제고하고 이를 위한 제도 화 방안으로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통합적 노인케어서비스 체계 구축과 한국형 케어매니지먼트 시행을 위한 법제화 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노인요양서비스의 현황과 제공 체계를 파악하고 OECD 국가의 통합적 케어 전략인 케어매니지먼트 및 지역 중심의 통합적서비스 체계에서 시사점을 찾아 한국의 노인케어서비스 제도를 산물분석 방식으로 파악하고 한국형 지방자치단체 중심의 통합적 노인케어서비스 전달체계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노인 에 대한 케어서비스를 관장하는 보건복지법령 체계의 틀에 의거 사회보험ㆍ공공부조ㆍ사회서비스의 구성 에 따른 노인케어서비스 연계를 위한 법제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노인에 대한 케어서비스관련 법령인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보장급여의 이용ㆍ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 사회복지사업법, 노인복지법,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의료급여법, 지방자치법 등과 관련하여 노인에 대한 보건복지 및 요양서비스 전달체계에서 기본적인 케어매니지먼트 수행 및 서비스수요자 -지방자치단체ㆍ읍면동 -국민건강보험공단 간 통합적 케어서비스 제공 연계체계 구축을 위한 법제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national duties and responsibilities to provide the elderly-oriented integrated care services and to present how to mand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style care management as a way of establishing the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national duties and responsibilities to provide the elderly-oriented integrated care services and to present how to mand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style care management as a way of establishing the integrated elder care services system and to provide care services in an effective and efficient manner. In this respect,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present status of Korea’s elderly care services and their delivery system and examined the customized integrated service environment with linkage as a key element in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Also, the study has identified the implications of the care management and regional-based integrated service system as the integrated care strategy of the OECD member countries and analyzed Korea’s elderly care service system on a product analysis basis. Therefore, this study has proposed viable ways to mandate the linkage of the elderly care services with a combination of social insurance, public assistance, social service and social welfare service within the framework of the Health and Social Care Act. In light of these, this study has proposed ways to mandate the implementation of the basic care management in delivering health, welfare and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accordance with a number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including the Framework Act on Social Security, Act on the Use and Provision of Social Security Benefits and Identification of Qualified Recipients, Social Welfare Services Act, Welfare of the Aged Act,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Aged, Act on the Use of Social Services and the Management of Vouchers,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Medical Care Assistance Act and the Local Autonomy Act, and the establishment of a linkage system to provide care services in an integrated manner among relevant stakeholders, including service recipients, local government and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주헌, "효율적인 지역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적 서비스전달기제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45-170, 2010
2 강혜규, "한국의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정책방향과 시사점”. 경기도 위기가정 지원실태및 개선방안" 경기복지재단ㆍ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2012
3 이기정,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호서비스 전달체계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4 김찬우, "통합적 케어, 케어매니지먼트와 장기요양제도 in 제7차 노인장기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역할정립방안 연구-연계방안을 중심으로" 2008
5 김승권, "취약ㆍ위기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및통합사례관리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6 김원경,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구축배경과 추진방향" 2 (2): 5-31, 2014
7 장창호, "지역포괄지원센터에 있어서 케어예방매니지먼트: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1 : 1-28, 2008
8 한동우, "지역기반의 복지공급체계: 사회복지기관의 역할과 네트워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5 (15): 285-311, 2013
9 김찬우, "지역거주 만성질환 노인들의 장기요양 위험수준에 따른 케어 매니지먼트 효과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3) : 5-41, 2004
10 유애정, "주요국의 건강보장제도 현황과 개혁동향(일본편)"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5
1 이주헌, "효율적인 지역복지전달체계 구축을 위한 협력적 서비스전달기제의 평가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를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4 (24): 145-170, 2010
2 강혜규, "한국의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정책방향과 시사점”. 경기도 위기가정 지원실태및 개선방안" 경기복지재단ㆍ경기도 가족여성연구원 2012
3 이기정, "한국 노인장기요양보호서비스 전달체계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4 김찬우, "통합적 케어, 케어매니지먼트와 장기요양제도 in 제7차 노인장기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역할정립방안 연구-연계방안을 중심으로" 2008
5 김승권, "취약ㆍ위기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및통합사례관리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6 김원경, "지역포괄케어시스템의 구축배경과 추진방향" 2 (2): 5-31, 2014
7 장창호, "지역포괄지원센터에 있어서 케어예방매니지먼트: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1 : 1-28, 2008
8 한동우, "지역기반의 복지공급체계: 사회복지기관의 역할과 네트워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5 (15): 285-311, 2013
9 김찬우, "지역거주 만성질환 노인들의 장기요양 위험수준에 따른 케어 매니지먼트 효과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3) : 5-41, 2004
10 유애정, "주요국의 건강보장제도 현황과 개혁동향(일본편)"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5
11 김현실, "재가노인의 장기요양예방과 자립지원에 관한 연구: 예방·자립지원 모형설계 방안제언" 한국노년학회 30 (30): 1359-1375, 2010
12 임병우, "재가노인복지에서 케어매니지먼트 실천과정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가정봉사원파견시설과 주간보호시설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34) : 213-238, 2006
13 정순둘, "재가 노인을 위한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 연구:팀접근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273-294, 2003
14 "장래인구추계: 2010-2060"
15 한은정,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지원체계 개선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2
16 유애정, "장기요양보험 통합재가급여 1차 시범사업 운영 및 평가Ⅰ"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6
17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보험 통계연보"
18 한은정, "장기요양 인정자의 급여이용 행태별 부양실태 조사"
19 보건복지부, "장기요양 서비스 이용자 현황"
20 오영희, "장기요양 등급외자 관리를 위한 보건복지서비스 연계 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21 김미숙, "일본의 케어매니지먼트 제도분석을 통한 한국 케어매니지먼트에의 시사" 한국학중앙연구원 29 (29): 107-131, 2006
22 신경안, "일본 지역포괄지원센터 역할이 우리나라 장기요양보험제도에 주는 시사점"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19) : 1-22, 2016
23 조추용, "일본 개호보험의 개혁과 예방급여로서 지역포괄지원센터의 역할" 5 : 19-46, 2010
24 황미경, "의료서비스대상자의 통합사례관리 방안 연구: 지방자치단체 총괄 방식의 ‘행정관리 모델’ 중심으로" 85-109, 2010
25 김진수,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역할정립 방안 연구: 연계방안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26 "세계법제정보센터 일본 개호보험법"
27 정순둘, "사회복지관과 노인복지관의 사례관리 평가체계 및 평가지표 변화분석" 사회복지연구소 12 (12): 5-32, 2015
28 白澤政和, "사례관리의 이론과 실제" 유풍출판사 2000
29 정순둘, "사례관리 대상노인의 미충족 욕구사정: 욕구사정도구(camberwell assessment of need)를 활용한 탐색적 연구" 23 (23): 99-112, 2003
30 주성수, "복지국가와 복지정책" 한양대학교 출판부 237-, 2011
31 김찬우, "미국 장기요양 제도의 변천과 케어 매니지먼트의 등장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6) : 91-122, 2005
32 "맞춤형 치매사례관리 안내"
33 "동(洞) 복지허브화를 위한 주민센터 복지기능보강 지침"
34 김욱, "독일 수발보험개혁2008과 정책적 시사점" 한독사회과학회 20 (20): 87-110, 2010
35 선우덕,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질 관리체계 개선방안" 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36 선우덕,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전달체계의 평가 및 개선방안-재가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37 정순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전달체계의 평가 및 개선방안 : 재가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38 윤희숙,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KDI FOCUS 2010
39 윤희숙,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KDI FOCUS 2010
40 선우덕,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의 케어매니지먼트체계 구축 방향" (2) : 1-27, 2009
41 김찬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실행에서의 한국형 케어매니지먼트 도입에 관한 고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219-242, 2013
42 김찬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에 따른 지역보건ㆍ복지서비스의 변화 전망과 과제" 2013
43 김찬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에 따른 지역보건ㆍ복지서비스의 변화 전망과 과제" 보건복지가족부ㆍ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44 유애정,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도입 이후 그간의 성과와 향후 발전 방향" 한국소비자원ㆍ국민건강보험공단 2016
45 장재혁,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이해" 2010
46 이호용, "노인장기요양보험의 보장성 강화방안 연구"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2015
47 임정기,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케어매니지먼트 기능과 운영에 대한 인식연구- 장기요양관리직원의 인식에 대한 Q방법론 분석 -" 한국사회정책학회 18 (18): 191-222, 2011
48 강욱모, "노인장기요양보험서비스와 노인돌봄서비스 간 파트너십체계 구축방안" 사회과학연구소 26 (26): 49-74, 2010
49 박현식,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법제적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법학회 (51) : 333-350, 2013
50 이봉화, "노인요양보호제도에 관한 한국형 모델 개발 연구" 일본 도시샤대학 2005
51 선우덕, "노인돌봄(케어) 서비스의 제공주체 간 역할정립과 연계체계 구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52 "국회법률지식정보시스템 노인장기요양법"
53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관련정보"
54 "국민 중심의 맞춤형 복지전달체계 구축 방안"
55 "국가법령정보센터"
56 함철호, "공공전달체계내 사례관리자의 사례관리 수행과 영향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0 (0): 1-31, 2013
57 황미경, "공공 사회복지전달체계 내 통합사례관리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30) : 49-67, 2009
58 선우덕, "고령화심화 농촌지역 노인의 생활기능 자립을 위한 보건복지지원체계 구축"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59 김찬우,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 서비스 전달체계의 변화방향: 보건복지의 민영화와 서비스 통합을 중심으로" 10 : 31-52, 2005
60 정현진, "고령화 시대에 대응한 통합재가서비스 활성화 방안" 국민건강보험공단 2014
61 이윤경, "고령화 대응 노인복지서비스 수요전망과 공급체계 개편" 보건사회연구원 2013
62 정순돌, "경기도의 장기요양 보장체계에 관한 연구노인복지시설보호를 중심으로" 한국노인복지학회 (29) : 7-40, 2005
63 김진수, "개호보험 등급자의 현황 분석을 위한 일본출장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64 運營通知, "地域包括支援センタ-設置運營について" 厚生勞働省老健局計劃課長 2007
65 "地域包括支援センタ-業務マニュアル"
66 김찬우, "OECD 국가의 통합적 장기요양체계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8 (8): 65-103, 2006
67 최은영, "OECD 국가의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체계 비교와 정책적 함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68 Gilbert, T, "Dimensions of Social Welfare Policy" Allyn & Bacon 2005
69 "2016년 노인장기요양보험 업무매뉴얼"
70 보건복지부, "2015 보건복지백서" 2015
대학생들의 자아존중감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폭력의식이 학교폭력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주장행동의 매개효과 검증
초등학생의 천식, 알레르기비염 및 아토피피부염 질환 발병 및 일상생활 장애 분석-용인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장애인활동보조인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11-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 ![]() |
2018-05-1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3 | 1.13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9 | 1.629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