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등 예비교사의 심층 동기, 교과교육학 지식, 내적 비전의 형성 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수학, 컴퓨터, 영어, 사회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537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 학생들이 사범대학교에 진학한 동기를 포함하여 교과에 대한 심층 동기,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과교육학 지식 및 가르치는 삶에 대한 내적 비전 세 가지 차원으로 설정하고, 그것이 사범교육과정을 통해 형성․변화되어 가는 복합적 양상을 질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남 지역의 S 사범대학 1곳을 선정하여 수학, 컴퓨터, 영어, 사회 교육 전공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교사양성 교육 경험을 사례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2004년 4월부터 6월 사이에 수학교육과, 컴퓨터교육과, 영어교육과, 사회교육과 2학년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기초면담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2, 3학년 학생 약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교차분석, ANOVA, 상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성별, 학년별, 학과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통계분석 결과 학년별 차이는 없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범대 진학동기와 선행경험’, ‘전공공부’, ‘일상생활에 대한 태도 및 장래비전’ 범주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학과별로 보면 수학교육과 학생이 진학동기 및 선행 경험에서 긍정적 응답이 높았으며 영어교육과 학생이 전공공부에 대한 어려움이 제일 큰 것으로 드러났다. 설문조사 내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학과별로 2학년과 3학년 학생 4명씩 선정하여 예비교사들의 ‘학구적 삶’의 모습이 네 가지 범주별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탐구하였다. 본질주의적 방법론에 근거하여 심층 동기, 교육학 및 전공 지식, 교과와 관련하여 삶에 대한 내적 비전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여러 가지 모습과 다양한 이미지를 스케치 형태로 그려내고 그 의미에 대한 해석을 담았다. 마지막에 학과별 학년별 연구참여자에 대한 묘사를 독자들이 비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래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교직 전문성 발달과 관련하여 교사교육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 학생들이 사범대학교에 진학한 동기를 포함하여 교과에 대한 심층 동기,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과교육학 지식 및 가르치는 삶에 대한 내적 비전 세 가지 차...

      본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 학생들이 사범대학교에 진학한 동기를 포함하여 교과에 대한 심층 동기,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교과교육학 지식 및 가르치는 삶에 대한 내적 비전 세 가지 차원으로 설정하고, 그것이 사범교육과정을 통해 형성․변화되어 가는 복합적 양상을 질적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남 지역의 S 사범대학 1곳을 선정하여 수학, 컴퓨터, 영어, 사회 교육 전공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교사양성 교육 경험을 사례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2004년 4월부터 6월 사이에 수학교육과, 컴퓨터교육과, 영어교육과, 사회교육과 2학년과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기초면담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먼저 2, 3학년 학생 약 14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교차분석, ANOVA, 상관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성별, 학년별, 학과별 차이를 살펴보았다. 통계분석 결과 학년별 차이는 없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사범대 진학동기와 선행경험’, ‘전공공부’, ‘일상생활에 대한 태도 및 장래비전’ 범주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보여주었다. 학과별로 보면 수학교육과 학생이 진학동기 및 선행 경험에서 긍정적 응답이 높았으며 영어교육과 학생이 전공공부에 대한 어려움이 제일 큰 것으로 드러났다. 설문조사 내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학과별로 2학년과 3학년 학생 4명씩 선정하여 예비교사들의 ‘학구적 삶’의 모습이 네 가지 범주별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탐구하였다. 본질주의적 방법론에 근거하여 심층 동기, 교육학 및 전공 지식, 교과와 관련하여 삶에 대한 내적 비전이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대한 여러 가지 모습과 다양한 이미지를 스케치 형태로 그려내고 그 의미에 대한 해석을 담았다. 마지막에 학과별 학년별 연구참여자에 대한 묘사를 독자들이 비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래 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포착할 수 있도록 하였고 교직 전문성 발달과 관련하여 교사교육의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essential meaning of such an integration problem and a clue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udent self and subject-matter in school life. It is necessary for us to examine such problems from essentialist's perspectives. We conducted qualitative descriptions on pre-service teachers' university lives focusing on motivati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ner vision, attitude, etc., for becoming teachers. Our concern i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teachers develop their inner faculties along with their future goals.
      The survey was qualitatively designed and developed with 5 scales. Almost 140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from college of education participated answering to the surveys. In each field, we interviewed 8 students to complement survey study. Using SPSS pack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in any category. Male student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female students in the three categories: motivation toward entering college of education,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future vision. Mathematics major students were more positively motivated toward getting involved with subject matter and being teachers than others. On the other hand, English major students showed much difficulties in studying subject matter than others.
      Basic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in the area of mathematics education, computer education, English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We tried to qualitatively describe different ways in which individuals' involvement with the subject area affects their motivation, inner visions and academic efforts toward becoming teachers. Larger aspects of per-service teachers' subjective experiences were sketched by contrasting them in terms of level and area. Several suggestions were put at the end to enhance teacher education concerning curriculum development.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essential meaning of such an integration problem and a clue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udent self and subject-matter in school life. It is necessary for us to examine such problems from essentialist's perspective...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essential meaning of such an integration problem and a clue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udent self and subject-matter in school life. It is necessary for us to examine such problems from essentialist's perspectives. We conducted qualitative descriptions on pre-service teachers' university lives focusing on motivati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ner vision, attitude, etc., for becoming teachers. Our concern i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teachers develop their inner faculties along with their future goals.
      The survey was qualitatively designed and developed with 5 scales. Almost 140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from college of education participated answering to the surveys. In each field, we interviewed 8 students to complement survey study. Using SPSS pack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ophomore and junior students in any category. Male student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female students in the three categories: motivation toward entering college of education,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future vision. Mathematics major students were more positively motivated toward getting involved with subject matter and being teachers than others. On the other hand, English major students showed much difficulties in studying subject matter than others.
      Basic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undergraduate students who were in the area of mathematics education, computer education, English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education. We tried to qualitatively describe different ways in which individuals' involvement with the subject area affects their motivation, inner visions and academic efforts toward becoming teachers. Larger aspects of per-service teachers' subjective experiences were sketched by contrasting them in terms of level and area. Several suggestions were put at the end to enhance teacher education concerning curriculum developmen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