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화 <아쿠아맨>에 나타난 새로운 시대의 영웅 탄생에 관한 샤머니즘적 고찰 = A Shamanistic Study on the Birth of a Hero in a New Era in the Movie Aquam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260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 of the ‘Aquarius’ era, which symbolizes the hero of a new era through the film Aquaman directed by James Wan. The film Aquaman depicts a symbolic image of a celestial body representing the time of the universe. In other words, in this film, the concept of cosmic time and celestial order of shamanism are portrayed in characters and images. The culture and tradition of the Scythian nomadic warriors who migrated across the Eurasian continent in the ancient times left a strong impression on Europeans and remained as an image and culture to Westerners to this day. The culture and shamanic traditions of the Scythian nomadic warriors are realistically reproduced in this film. The leader who has secured the sacredness of the cosmic order system reproduced in the movie Aquaman is embodied as Aquaman, portrayed as a hero of a new era. Aquaman, the protagonist of this film, is portrayed as a hero and leader of a new era through the ‘trident,’ a symbol of divinity given from heaven according to the Shaman tradition. In this film, the image of the existing “fish” era and the image of the new era, “aquarius”, show conflicting patterns. In conclusion, this film symbolically depicts the advent of a new era through the concept of cosmic time, which changes every 2,160 yea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 of the ‘Aquarius’ era, which symbolizes the hero of a new era through the film Aquaman directed by James Wan. The film Aquaman depicts a symbolic image of a celestial body representing the time of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age of the ‘Aquarius’ era, which symbolizes the hero of a new era through the film Aquaman directed by James Wan. The film Aquaman depicts a symbolic image of a celestial body representing the time of the universe. In other words, in this film, the concept of cosmic time and celestial order of shamanism are portrayed in characters and images. The culture and tradition of the Scythian nomadic warriors who migrated across the Eurasian continent in the ancient times left a strong impression on Europeans and remained as an image and culture to Westerners to this day. The culture and shamanic traditions of the Scythian nomadic warriors are realistically reproduced in this film. The leader who has secured the sacredness of the cosmic order system reproduced in the movie Aquaman is embodied as Aquaman, portrayed as a hero of a new era. Aquaman, the protagonist of this film, is portrayed as a hero and leader of a new era through the ‘trident,’ a symbol of divinity given from heaven according to the Shaman tradition. In this film, the image of the existing “fish” era and the image of the new era, “aquarius”, show conflicting patterns. In conclusion, this film symbolically depicts the advent of a new era through the concept of cosmic time, which changes every 2,160 year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창범, "한국의 전통과학 천문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2 제퍼스, 폴, "프리메이슨" 황소자리 2005

      3 전관수, "주몽신화의 고대 천문학적 연구" 연세대학교출판부 2010

      4 헤로도토스, "역사" 도서출판 숲 2009

      5 시친, 제카리아, "수메르, 혹은 신들의 고향" AK 2009

      6 강준수, "샤머니즘을 통해 본 신라인의 정체성 고찰 -화랑도와 괘릉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5 (25): 25-50, 2020

      7 강준수, "샤머니즘을 통해 본 『오즈의 마법사』 고찰"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53) : 7-25, 2020

      8 박제상, "부도지(符都誌)" 대원출판 2002

      9 가톨릭 신문, "복되다! 찾고 기뻐하는 사람들"

      10 손영달, "별자리 서당" 북드라망 2020

      1 박창범, "한국의 전통과학 천문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7

      2 제퍼스, 폴, "프리메이슨" 황소자리 2005

      3 전관수, "주몽신화의 고대 천문학적 연구" 연세대학교출판부 2010

      4 헤로도토스, "역사" 도서출판 숲 2009

      5 시친, 제카리아, "수메르, 혹은 신들의 고향" AK 2009

      6 강준수, "샤머니즘을 통해 본 신라인의 정체성 고찰 -화랑도와 괘릉을 중심으로-"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5 (25): 25-50, 2020

      7 강준수, "샤머니즘을 통해 본 『오즈의 마법사』 고찰"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53) : 7-25, 2020

      8 박제상, "부도지(符都誌)" 대원출판 2002

      9 가톨릭 신문, "복되다! 찾고 기뻐하는 사람들"

      10 손영달, "별자리 서당" 북드라망 2020

      11 조성제, "무속이야기" 나루터 2016

      12 터스톤, 휴, "동서양의 고전 천문학"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1

      13 김정민, "단군의 나라 카자흐스탄" 글로벌콘텐츠 2016

      14 프레시안, "금척리 고분에 감춰진 박혁거세의 금자"

      15 플렁켓, 에멀린 메리, "고대의 달력과 별자리"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5 1.007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