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도입 및 지출 수준을 결정하는 원인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개별국가의 국내·국제적 요인을 포함하여 1980-2000년까지 OECD 회원국...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05223
2013
-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 정책 확산 ; 사회투자국가
300
KCI우수등재
학술저널
113-136(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도입 및 지출 수준을 결정하는 원인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개별국가의 국내·국제적 요인을 포함하여 1980-2000년까지 OECD 회원국...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도입 및 지출 수준을 결정하는 원인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개별국가의 국내·국제적 요인을 포함하여 1980-2000년까지 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국가 간 비교분석을 실시한다. 분석결과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도입에는 경제개방성과 정책도입 선도국가와의 지리적 거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지출 수준에는 경제개방성, 좌파정당의 의석비율, 정책도입 선도국가와의 지리적 거리, OECD 직업전략 참여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OECD 국가들의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도입 및 지출 수준에는 각 국가들의 정치·경제적 요인 외에도 인접국가 및 국제사회의 상황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적극적 노동시장정책의 확산을 정책의 도입과 지출 규모로 나누어 분석하여 다각적으로 정책의 확산을 살펴보았다. 또한 개별 국가의 국내적 속성뿐만 아니라 국가의 외부환경으로서 국제적 속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복지국가 맥락에서 스웨덴, 미국, 한국의 자원봉사정책 비교연구
미국 NPO 조직에서의 조직공정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간 관계고찰; 교차수준 분석 (cross-level study) 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