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분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마한 토기에 대하여 몇 가지 문제를 살펴보았다. 유개대부호, 원저소옹, 와질토기, 원통형토기 등은 낙랑을 포함하는 북방지역의 문물을 입수하기 위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분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마한 토기에 대하여 몇 가지 문제를 살펴보았다. 유개대부호, 원저소옹, 와질토기, 원통형토기 등은 낙랑을 포함하는 북방지역의 문물을 입수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분묘 출토품을 중심으로 마한 토기에 대하여 몇 가지 문제를 살펴보았다. 유개대부호, 원저소옹, 와질토기, 원통형토기 등은 낙랑을 포함하는 북방지역의 문물을 입수하기 위해 범한반도남부, 즉 ‘한(韓)’의차원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진 교류 과정에서 등장한 것이다. 특히, 중서부지역, 충청내륙 및 영남지역을 연결하는 루트에서 중요한역할을 수행하였다. 이 단계까지 철기문화는 한반도 남부지역이 유사하다. 내륙 루트 이외에도 서해안을 따라 연안항로도 이용된흔적이 원통형토기, 유개대부호와 함께 사용된 뚜껑의 변화형 등에서 보인다. 이러한 문물교류의 결절점에 위치한 아산만 일대에서마한의 중심적인 세력이 등장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현상일 것이다. 이후 이중구연호 등 마한 독자 형식의 토기 양식이 성립하는 것은3세기부터이다. 3세기 이후 마한의 토기는 묘제의 선택에 따라 지역별로 달라지는데, 분구묘와 주구토광묘 축조 전통의 구분과 대개 일치한다. 그러나 분구묘 축조 집단에서도 지역에 따라 이중구연호 등 특정 기종을 선호하는 등의 차이가 보이며 좁은 범위 안에서 특수한 양식을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토기류는 상호 교류의 과정에서 주변지역으로 확산되며 매장의례에도 사용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eals with some issues with respect to the Mahan pottery excavated from the tombs. Pedestal jars with cover, small round-bottom jars, cylindrical pottery etc. had appeared in the interaction with the northern region in the dimension of th...
This article deals with some issues with respect to the Mahan pottery excavated from the tombs. Pedestal jars with cover, small round-bottom jars, cylindrical pottery etc. had appeared in the interaction with the northern region in the dimension of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Especially, these relics had an important role at the route connecting the midwest region, Chungcheong(忠淸) inland and Yeongnam(嶺南) region. By this stage, the iron culture was similar to each other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In addition to the inland route, the coastal passage along the west coast seems to have been used. Such signs are found in cylindrical pottery and Pedestal jars with cover. It was probably a natural phenomenon that the most powerful forces of Mahan appeared at this crossroad of cultural exchange. The unique style of Mahan pottery such as double-rim pottery had been established since the third century. After the third century, Mahan pottery varied by region depending on the tomb style. The difference roughly matches with the variations of the tomb style. But at the region of Bungumyo(mounded tomb), specific pottery such double-rim pottery had been prevalent than in other regions. And a specific style had been used in a narrow range. The pottery spread to the neighboring regions in the course of interaction and were also used in ritual practice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형열,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제작방법 변화로 본 편년과 계통성" 영남고고학회 (69) : 118-155, 2014
2 양지훈, "행정중심복합도시 3-1 생활권(3-1-D지점) 내 연기 대평리 유적(D지점)" 호서고고학회 2014
3 최몽룡, "한성시대의 백제와 마한" 국립문화재연구소 (36) : 5-38, 2003
4 이택구,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馬韓 墳丘墓" 한국고고학회 (66) : 48-89, 2008
5 박장호, "한반도 중남부 출토 動物形帶鉤의 전개와 그 의미" 영남고고학회 (62) : 49-76, 2012
6 임영진, "한국 분주토기의 발생과정과 확산배경" 호남고고학회 49 : 175-213, 2015
7 서현주, "한강·영산강·낙동강 유역권과의 문화적 상사·상이성 및 교류" 호서고고학회 2011
8 권오영, "특집: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타날문토기의 등장과 전개(종합토론)" 숭실대학교한국기독교박물관 2014
9 성정용, "특집: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타날문토기의 등장과 전개(종합토론)" 숭실대학교한국기독교박물관 2014
10 김낙중, "토기를 통해 본 고대 영산강유역 사회와 백제의 관계" 호남고고학회 42 : 87-124, 2012
1 박형열, "호남지역 분주토기의 제작방법 변화로 본 편년과 계통성" 영남고고학회 (69) : 118-155, 2014
2 양지훈, "행정중심복합도시 3-1 생활권(3-1-D지점) 내 연기 대평리 유적(D지점)" 호서고고학회 2014
3 최몽룡, "한성시대의 백제와 마한" 국립문화재연구소 (36) : 5-38, 2003
4 이택구, "한반도 중서부지역의 馬韓 墳丘墓" 한국고고학회 (66) : 48-89, 2008
5 박장호, "한반도 중남부 출토 動物形帶鉤의 전개와 그 의미" 영남고고학회 (62) : 49-76, 2012
6 임영진, "한국 분주토기의 발생과정과 확산배경" 호남고고학회 49 : 175-213, 2015
7 서현주, "한강·영산강·낙동강 유역권과의 문화적 상사·상이성 및 교류" 호서고고학회 2011
8 권오영, "특집: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타날문토기의 등장과 전개(종합토론)" 숭실대학교한국기독교박물관 2014
9 성정용, "특집: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타날문토기의 등장과 전개(종합토론)" 숭실대학교한국기독교박물관 2014
10 김낙중, "토기를 통해 본 고대 영산강유역 사회와 백제의 관계" 호남고고학회 42 : 87-124, 2012
11 조상기, "청주지역 백제토기의 성립과 전개과정"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6
12 이미란, "청주, 백제를 품다" 충청북도문화재연구원 2015
13 호서문화유산연구원, "청주 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부지 내 Ⅴ지구 문화재 발굴조사 자문위원회의 자료집"
14 차용걸, "진천 송두리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충북대학교박물관 1991
15 현남주, "중서부지역 출토 마형대구의 검토" 한국고대학회 (35) : 47-73, 2011
16 김승옥, "중서부지역 마한계 분묘의 인식과 시공간적 전개과정" 한국상고사학회 71 (71): 85-116, 2011
17 김장석, "중부지역 격자문타날토기와 U자형토기의 등장" 한국고고학회 (90) : 76-119, 2014
18 이창희, "점토대토기의 실연대 -세형동검문화의 성립과 철기의 출현연대-" 국립문화재연구소 43 (43): 48-101, 2010
19 임영진, "자유패널1분과 마한 분구묘 사회의 비교 검토" 한국고고학회 2014
20 서현주, "이중구연토기 소고"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33 : 2011
21 최성락, "원통형토기의 연구현황과 과제" 호남고고학회 42 : 125-157, 2012
22 박장호, "원삼국시대 중서부지역 내 동남계 문화적 요소에 대한 검토" 고분문화연구회 2016
23 박형열, "원삼국시대 유개대부호의 편년" 호남고고학회 50 : 70-91, 2015
24 강지원, "원삼국기 중서부지역 토광묘 연구 : 궐동유적·진터유적·마두리유적·용호리유적을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2
25 중원문화재연구원, "오창 학소리·장대리유적"
26 중앙문화재연구원, "오송 제2생명과학단지 문화재 발굴(시굴)조사 약식보고서" 2015
27 중앙문화재연구원, "오산 궐동 유적"
28 이호형, "아산 용두리 진터 유적(Ⅱ)원삼국시대" 충청문화재연구원 2011
29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아산 명암리 밖지므레 유적"
30 지민주,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지" 숭실대학교한국기독교박물관 2014
31 최봉균, "서산 예천동 유적" 백제문화재연구원 2012
32 천관우, "삼한의 국가형성(하)" 일지사 3 : 1976
33 박순발, "백제문화개발연구원 역사문고 26" 주류성 2006
34 임영진, "묘제를 통해 본 마한의 지역성과 변천 과정 -백제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백제학회 (3) : 2010
35 성정용, "마한·백제의 분묘 문화Ⅰ" 진인진 2013
36 성정용, "마한 숨쉬는 기록" 국립전주박물관 2009
37 임영진, "마한 숨쉬는 기록" 통천문화사 2009
38 박순발, "마한 숨쉬는 기록" 국립전주박물관 2009
39 정해준, "마한 분구묘 비교 검토" 학연문화사 2015
40 김기옥, "마한 분구묘 비교 검토" 학연문화사 2015
41 성정용, "동북아시아에서 본 마한토기" 마한연구원 2016
42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대구 신서혁신도시 B-1 3북구역 유적"
43 한수진, "낙랑고고학개론" 진인진 2014
44 김기옥, "김포 운양동 유적Ⅰ" 한강문화재연구원 2013
45 이한상, "김포 운양동 유적 출토 금제이식에 대한 검토, In 김포 운양동 유적Ⅱ" 한강문화재연구원 2013
46 성정용, "금강유역 4∼5세기 분묘 및 토기의 양상과 변천"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28 : 1998
47 서현주, "금강·한강 유역 원삼국시대 문화의 비교연구" 호서고고학회·중부고고학회 2016
48 박순발, "금강·한강 유역 원삼국시대 문화의 비교연구" 호서고고학회·중부고고학회 2016
49 신민철, "곡교천일대 원삼국시대 원통형토기의 분포와 성격" 전북대학교 2015
50 김영심, "고대 동아세아와 백제"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2003
51 복천박물관, "가야와 마한·백제 -1500년 만의 만남-"
52 최영주, "鳥足文土器의 變遷樣相" 한국상고사학회 55 (55): 79-114, 2007
53 김종만, "馬韓圈域出土 兩耳附壺 小考"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0 : 1999
54 박순발, "馬韓史硏究" 충남대학교출판부 1998
55 이훈, "牙山 鳴岩里 밖지므레 遺蹟"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1
56 공주대학교박물관, "燕岐龍湖里遺蹟"
57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燕岐 黃龍里·鳳起里·芙蓉里·石橋里遺蹟Ⅱ"
58 박순발, "漢江流域 原三國時代 土器의 樣相과 變遷" 한국고고학회 23 : 1989
59 성정용, "漢江·錦江流域의 嶺南地域系統 文物과 그 意味" 백제연구소 (46) : 105-134, 2007
60 이성주, "漢城百濟形成期土器遺物群의 變遷과 生産體系의 變動 –實用土器生産의 專門化에 대한 檢討–" 한국상고사학회 71 (71): 51-84, 2011
61 김낙중, "榮山江流域 甕棺古墳의 發生과 그 背景" 국립문화재연구소 (37) : 37-63, 2004
62 서현주, "榮山江 流域 古墳 土器 硏究" 학연문화사 2006
63 白井克也, "検証 古代日本と百済" 大巧社 2002
64 김장석, "忠淸北部地域原三國時代土器相對編年: 淸州, 淸原, 天安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77) : 47-96, 2010
65 신종환, "忠北地方 三韓·三國土器의 變遷 -遺蹟의 編年的 相對序列을 提示하며-" 한국고고미술연구소 8 : 1997
66 현남주, "平澤 馬頭里 遺蹟"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1
67 박순발, "帶頸壺 一考" 호남고고학회 13 : 2001
68 영남문화재연구원, "大邱八達洞遺蹟Ⅰ"
69 윤용진, "大邱 八達洞遺蹟" 경북대학교박물관 1993
70 김새봄, "原三國後期 嶺南地域과 京畿·忠淸地域 鐵矛의 交流樣相" 한국고고학회 (81) : 77-108, 2011
71 한수영, "全北地域 初期鐵器時代 墳墓 硏究" 전북대학교 2015
72 서현주, "二重口緣土器 小考"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33 : 2001
73 김성남, "中部地方 3∼4世紀 古墳群 細部編年" 충남대학교백제연구소 33 : 2001
74 성정용, "中西部地域 原三國時代 土器 樣相" 한국고고학회 (60) : 120-157, 2006
75 이상엽, "中西部地域 出土 圓筒形土器의 性格 檢討" 한국고대학회 (31) : 162-196, 2009
76 윤용구, "三韓과 樂浪의 교섭" 한국고대사학회 34 : 125-144, 2004
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인골의 안정동위원소분석을 통한 아산 명암리 피장자의 식생활 복원
장성 백양사 소요대사탑의 비파괴 훼손도진단과 입지환경 검토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2 | 0.57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