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자 고등학생의 미용 컬러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 = The Actual State of Wearing and Caring for Cosmetic Colored Soft Contact Lens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095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research was aimed to investigate actual states of cosmetic color soft contact lens (hereinafter circle lens) wear and their management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educational status for lens wear and care was also investigated. Methods: The survey on the actual states of circle lens wear as well as care and disinfection of circle lens and their cases was conducted against 319 female students in high schools located in Nowon-gu and Jongno-gu, Seoul from June to August in 2015. Results: The experience of circle lens wear was reported in 52.4% of 319 students, and the first time of circle lens wear was the most common (28.7%)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e cosmetic aspects such as color and design (33.7%) were most highly considered for the purchase. Among the experienced circle lens wears, 74.9% was current circle lens wearers. The circle lens that could be worn longer than 6 months (28.8%) were most highly used, and the most highly answered daily wearing time was 6 to 8 hours (25.6%). 58.5% of circle lens wearers replaced lens care solution during long-term storage of circle lens. It was also found that 61.1% and 55.1% of the circle lens wearers were respectively instructed how to care lens including cleaning, storage and etc and how to distinguish the front and back of lens while 34.1% and 16.2% of them were taught lens case care and after-visit care, respectively.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education for caring lens and lens case during purchase was not satisfactory compared with the wearing rate of circle lens in female students in their 10s. Therefore, it is required the education for wearing and caring circle lens should be thoroughly accomplished for contact lens users.
      번역하기

      Purpose: This research was aimed to investigate actual states of cosmetic color soft contact lens (hereinafter circle lens) wear and their management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educational status for lens wear and care was also investigated. ...

      Purpose: This research was aimed to investigate actual states of cosmetic color soft contact lens (hereinafter circle lens) wear and their management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 educational status for lens wear and care was also investigated. Methods: The survey on the actual states of circle lens wear as well as care and disinfection of circle lens and their cases was conducted against 319 female students in high schools located in Nowon-gu and Jongno-gu, Seoul from June to August in 2015. Results: The experience of circle lens wear was reported in 52.4% of 319 students, and the first time of circle lens wear was the most common (28.7%)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he cosmetic aspects such as color and design (33.7%) were most highly considered for the purchase. Among the experienced circle lens wears, 74.9% was current circle lens wearers. The circle lens that could be worn longer than 6 months (28.8%) were most highly used, and the most highly answered daily wearing time was 6 to 8 hours (25.6%). 58.5% of circle lens wearers replaced lens care solution during long-term storage of circle lens. It was also found that 61.1% and 55.1% of the circle lens wearers were respectively instructed how to care lens including cleaning, storage and etc and how to distinguish the front and back of lens while 34.1% and 16.2% of them were taught lens case care and after-visit care, respectively.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education for caring lens and lens case during purchase was not satisfactory compared with the wearing rate of circle lens in female students in their 10s. Therefore, it is required the education for wearing and caring circle lens should be thoroughly accomplished for contact lens us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여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미용 컬러 소프트콘택트렌즈(이하 써클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와 콘택트렌즈 착용과 관리에 대한 교육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서울시 노원구와 종로구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써클렌즈의 착용과 렌즈 및 보관용기의 관리· 소독 실태를 설문 조사하였다. 결과: 총 대상자 319명 중 52.4%가 써클렌즈를 착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변하였으며, 처음써클렌즈 착용한 시기는 중학교 1학년이 28.7%로 가장 많았고 구매 시 고려사항은 미용(컬러/디자인)이 3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써클렌즈 착용 경험자 가운데 74.9%가 현재 착용자로 나타났으며, 착용 중인 써클렌즈 가운데에서는 6개월 이상 착용가능한 렌즈가 28.8%로 가장 많았고, 하루 착용시간은 6~8시간이 25.6%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장기간 렌즈 보관 시 보관용액을 교체하는 대상자는 58.5%이었다. 렌즈 구입 시 렌즈세척과 보관 등의 관리방법 및 렌즈 앞뒤 구분방법에 대해 교육받은 대상자는 각각 61.1% 및 55.1%이었으며, 렌즈 보관용기의 관리와 사후 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각각 34.1%와 16.2%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10대 여학생의 써클렌즈 사용률에 비해 렌즈 구입 시 렌즈 및 보관용기 관리에 대한 교육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판단되었다. 따라서 콘택트렌즈 착용자 대상의 렌즈 착용 및 관리교육의 이수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여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미용 컬러 소프트콘택트렌즈(이하 써클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와 콘택트렌즈 착용과 관리에 대한 교육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여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미용 컬러 소프트콘택트렌즈(이하 써클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와 콘택트렌즈 착용과 관리에 대한 교육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5년 6월부터 8월까지 서울시 노원구와 종로구에 위치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여학생 319명을 대상으로 써클렌즈의 착용과 렌즈 및 보관용기의 관리· 소독 실태를 설문 조사하였다. 결과: 총 대상자 319명 중 52.4%가 써클렌즈를 착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변하였으며, 처음써클렌즈 착용한 시기는 중학교 1학년이 28.7%로 가장 많았고 구매 시 고려사항은 미용(컬러/디자인)이 37.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써클렌즈 착용 경험자 가운데 74.9%가 현재 착용자로 나타났으며, 착용 중인 써클렌즈 가운데에서는 6개월 이상 착용가능한 렌즈가 28.8%로 가장 많았고, 하루 착용시간은 6~8시간이 25.6%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장기간 렌즈 보관 시 보관용액을 교체하는 대상자는 58.5%이었다. 렌즈 구입 시 렌즈세척과 보관 등의 관리방법 및 렌즈 앞뒤 구분방법에 대해 교육받은 대상자는 각각 61.1% 및 55.1%이었으며, 렌즈 보관용기의 관리와 사후 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은 대상자는 각각 34.1%와 16.2%로 조사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10대 여학생의 써클렌즈 사용률에 비해 렌즈 구입 시 렌즈 및 보관용기 관리에 대한 교육은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판단되었다. 따라서 콘택트렌즈 착용자 대상의 렌즈 착용 및 관리교육의 이수가 철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정은, "표면 오염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에 따른 가시광선투과도 및 표면 변화" 한국안광학회 17 (17): 83-89, 2012

      2 신재현, "콘택트렌즈의 사용실태와 보존케이스 및 보존액 위생관리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3 정미아,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들의 미용칼라 콘택트렌즈 착용실태 조사" 대한시과학회 15 (15): 439-446, 2013

      4 박미정, "일회용 써클소프트렌즈의 초과 착용에 의한 정상안의 자·타각적 증상 및 렌즈 광투과율의 변화" 한국안광학회 18 (18): 429-439, 2013

      5 허선, "여대생의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에 따른 안구건조증과 눈 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5 (25): 259-269, 2014

      6 박미정, "아이라이너 침착에 의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파라미터의 변화 및 세척효과의 비교" 한국안광학회 18 (18): 107-115, 2013

      7 김소라, "써클 콘택트렌즈와 동일 재질 소프트 콘택트렌즈의각막에서의 움직임 비교" 한국안광학회 17 (17): 27-35, 2012

      8 김소라,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기간과 보관 기간에 따른 보관 용기의 오염도 및 보관 용기 관리 실태" 한국안광학회 16 (16): 135-145, 2011

      9 박상준, "미용콘택트렌즈와 관련된 합병증 9예" 대한안과학회 50 (50): 927-935, 2009

      10 최헌진, "미용콘택트렌즈 관련 합병증 환자의 임상양상 및 치료 순응도 실태" 대한안과학회 55 (55): 1445-1451, 2014

      1 김정은, "표면 오염시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재질에 따른 가시광선투과도 및 표면 변화" 한국안광학회 17 (17): 83-89, 2012

      2 신재현, "콘택트렌즈의 사용실태와 보존케이스 및 보존액 위생관리에 관한 연구" 경산대학교 보건대학원 2000

      3 정미아, "중·고등학생 및 대학생들의 미용칼라 콘택트렌즈 착용실태 조사" 대한시과학회 15 (15): 439-446, 2013

      4 박미정, "일회용 써클소프트렌즈의 초과 착용에 의한 정상안의 자·타각적 증상 및 렌즈 광투과율의 변화" 한국안광학회 18 (18): 429-439, 2013

      5 허선, "여대생의 콘택트렌즈 착용 및 관리 실태에 따른 안구건조증과 눈 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5 (25): 259-269, 2014

      6 박미정, "아이라이너 침착에 의한 소프트 콘택트렌즈 파라미터의 변화 및 세척효과의 비교" 한국안광학회 18 (18): 107-115, 2013

      7 김소라, "써클 콘택트렌즈와 동일 재질 소프트 콘택트렌즈의각막에서의 움직임 비교" 한국안광학회 17 (17): 27-35, 2012

      8 김소라, "소프트 콘택트렌즈 착용 기간과 보관 기간에 따른 보관 용기의 오염도 및 보관 용기 관리 실태" 한국안광학회 16 (16): 135-145, 2011

      9 박상준, "미용콘택트렌즈와 관련된 합병증 9예" 대한안과학회 50 (50): 927-935, 2009

      10 최헌진, "미용콘택트렌즈 관련 합병증 환자의 임상양상 및 치료 순응도 실태" 대한안과학회 55 (55): 1445-1451, 2014

      11 이종하, "대한민국의 최근 4년간(2010-2013) 콘택트렌즈 처방 추세" 한국안광학회 19 (19): 323-330, 2014

      12 김진형, "국내 콘택트렌즈 관련 합병증 양상에 대한 설문 조사: 한국콘택트렌즈학회" 대한안과학회 55 (55): 20-31, 2014

      13 Park M, "The diameter and base curve changes of soft contact lens by protein deposition" 10 (10): 165-171, 2005

      14 Ryu GC, "The current state of lens care in contact lens wearer" 7 (7): 15-20, 2002

      15 Park JY., "The correlations between oxygen transmissibility central thickness of clear and circle lenses made of identical material and pH change"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4

      16 Kim TH, "Study on the contact lenses wear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10 (10): 151-157, 2005

      17 Stapleton F, "Risk factors for moderate and severe microbial keratitis in daily wear contact lens users" 119 (119): 1516-1621, 2012

      18 Steinemann TL, "Over-the-counter decorative contact lenses: Cosmetic or medical Devices? A Case Series" 31 (31): 194-200, 2005

      19 Morgan PB, "International contact lens prescribing in 2015" 31 (31): 24-29, 2016

      20 Korean Optometric Association, "Gallup Korea: National glasses utilization"

      21 Korean Optometric Association, "Gallup Korea: National glasses utilization"

      22 Joo CK, "Effect of aging and soft contact lens wearing on the change of corneal endothelial cells" 40 (40): 330-337, 1999

      23 Park M, "Changes of multi-purpose for soft contact lens depending on using period or keeping temperature" 9 (9): 381-389, 2009

      24 The Korea Optical News, "C/L professional chain brands, best contributor in beauty lens growth"

      25 Cho YA, "Bacterial contamination of the wetting solution in cases of soft contact lens" 28 (28): 259-266, 1987

      26 Uruhata K, "Bacterial contamination of stock solutions in storage cases for contact lens, and the disinfectant-resistance of isolates" 15 (15): 81-85, 2010

      27 Yoon MH, "A study of antibacterial activation in multipurpose solution for soft contact lens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2006

      28 The Korea Optical News, "A match of star marketing for noble new produ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Ophalmic Optics Society -> The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8 0.58 0.691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