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교 전공 계열별 교수자들의 학습 평가 목적에 대한 인식과 수업 유형에 따른 평가 방법 활용 현황 = The Current Status of Evaluation Method Utilization According to Instructional Types and Instructors’ Perceptions about Purpose of the Learning Evaluation by University Major Fie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653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수자들의 수업의 질적 관리를 위해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학습 평가에 대한 전공 계열별 교수자들의 인식과 수업 유형에 따른 평가 방법의 적용 현황을 ...

      교수자들의 수업의 질적 관리를 위해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학습 평가에 대한 전공 계열별 교수자들의 인식과 수업 유형에 따른 평가 방법의 적용 현황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1개의 사립 종합대학의 교원들을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관련 전공 교수들이 많이 분포하고 있는 인문계열 교수자들의 학습 평가 목적에 대한 인식은 가장 높았으며 공학계열 교수자들의 학습 평가 목적에 대한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평가목적 중 평가 결과의 진로 지도 활용에 대한 인식은 모든 전공계열에서 가장 낮았다. 둘째, 예체능계열은 실기를 가장 많이 활용하고, 그 외 모든 계열에서 강의식 수업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지만 전공 특성에 따라 다양한 수업방법을 함께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가자 유형에 따른 평가 방법 중 교수자 평가를 가장 많이 수행하고 있었으며, 수업에 따른 평가 방법으로 강의식 수업과 플립드 러닝 수업에는 지필평가, 실기 수업에는 실기평가, 실습과 토론 수업에서는 발표평가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객관성 담보에 대한 어려움 때문에 동료 평가나 자기 평가를 가장 어려워했으며, 평가 기준 설정의 어려움과 학생 수 과다로 인한 평가시간과 채점 시간의 많은 소요 때문에 과제물평가와 발표 평가, 지필 평가, 실기 평가를 어려워했다. 따라서 교수자들이 효과적으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도록 평가 결과 활용에 대한 교수자들의 인식 강화 전략과 전공별 교수자용 평가 가이드 및 수업 유형별 평가 방법의 매뉴얼 등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alua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Instructor’s teach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nstructors’ perceptions about the purpose of undergraduate students’ learning evaluation by the university major field and the curr...

      Evalua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quality management of Instructor’s teaching.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instructors’ perceptions about the purpose of undergraduate students’ learning evaluation by the university major field and the current status of evaluation method utilization according to instructional type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complete enumeration on the professors of one private university in Gyeonggi-do. The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instructors’ perception about the purpose of the learning evaluation, the instructors’ perceptions in humanities who have many professors of education major was the highest and the perception of engineering instructors was the low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Particularly, the perception of the use of career guidance in evaluation results in all major was the lowest among evaluation purposes. Second, instructors used the practical skills classes often in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and the other major's instructors used the lecture-centered classes often. In addition, various teaching methods were applied according to the major characteristics. Third, instructor-centered evaluation among the evaluation methods depending on the evaluator was performed often and paper-based evaluation to lecture-centered class and flipped learning class, practical skills evaluation to practical skills class, and presentation evaluation to practice class and discussion class was performed often as an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instructional types. Fourth,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securing objectivity, peer evaluation and self-evaluation were the most difficult. And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setting evaluation standard, and time- consuming evaluation and grading due to the large number of students, it made it difficult to evaluate the homework assignment, the presentation evaluation, the paper evaluation, and the practical evaluation. Therefore, in order to enable the instructors to perform the evaluation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trategy of enhancing the instructors’ perceptions about the use of the evaluation results, a manual of evaluation guides for instructors of each major field, and a manual of evaluation methods by Instructional Typ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사학진흥재단, "창조경제에 이바지하는 해외 고등교육 동향 및 사례 분석" 한국사학진흥재단 2013

      2 심미자,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컨설팅의 새로운 방향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371-396, 2012

      3 이주호,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개혁" 한반도선진화재단 2016

      4 이정아, "인더스티리 4.0과 제조업 창조경제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5 교육부, "문답식으로 알아보는 성취평가제: 고등학교 보통 교과"

      6 권영성, "대학의 강의식 수업에서 교수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7 박민정,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다시 듣고 싶은 수업 에세이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35 (35): 229-253, 2008

      8 윤소정,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에세이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6 (36): 125-149, 2009

      9 김태완, "대학에서의 인문학 수업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과 우수 인문학 강의 사례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37 (37): 101-128, 2006

      10 민혜리, "대학수업 개선에 있어서 수업컨설팅의 기능: 대학 교수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251-276, 2012

      1 한국사학진흥재단, "창조경제에 이바지하는 해외 고등교육 동향 및 사례 분석" 한국사학진흥재단 2013

      2 심미자, "좋은 수업을 위한 수업컨설팅의 새로운 방향 탐색"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371-396, 2012

      3 이주호,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교육개혁" 한반도선진화재단 2016

      4 이정아, "인더스티리 4.0과 제조업 창조경제 전략" 한국정보화진흥원 2014

      5 교육부, "문답식으로 알아보는 성취평가제: 고등학교 보통 교과"

      6 권영성, "대학의 강의식 수업에서 교수의 효율적인 교수행동 요인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7 박민정,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 ―다시 듣고 싶은 수업 에세이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35 (35): 229-253, 2008

      8 윤소정, "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에세이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6 (36): 125-149, 2009

      9 김태완, "대학에서의 인문학 수업에 대한 교수와 학생의 인식과 우수 인문학 강의 사례 분석" 교육과학연구소 37 (37): 101-128, 2006

      10 민혜리, "대학수업 개선에 있어서 수업컨설팅의 기능: 대학 교수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251-276, 2012

      11 최정윤, "대학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동향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2

      12 교육인적자원부, "대학, 이제는 교육 경쟁 시대: 대학 교육력 향상 지원 방안"

      13 민경찬, "대학 교육 개혁의 과제와 지향" 2008

      14 유현숙, "대학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Ⅰ)" 한국교육개발원 2013

      15 이혜정, "대학 ‘교수(teaching)’의 질 제고를 위한 대학교육평가지표 개선 방안 연구" 교육연구소 9 (9): 173-204, 2008

      16 김동일, "교육의 미래를 디자인하다" 학지사 2015

      17 정미경, "교원양성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47-264, 2007

      18 조용개, "교수자의 수업 개선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개발 모형 및 평가준거안"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7-73, 2009

      19 길양숙, "교수의 수업 포트폴리오 내용 분석 -교육철학과 수업성찰 내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방법학회 25 (25): 219-241, 2013

      20 김찬종, "과학교육학개론" 북스힐 2013

      21 Parpala, N., "University teachers’ conceptions of good teaching in the units of high-quality education" 33 (33): 353-370, 2007

      22 Hart, E. P., "The science-technology-society movement in science education: Critique of the reform process" 26 (26): 189-203, 1990

      23 Waddell, C. A., "The effects of negotiated written feedback within formative assessment on fourth-grade students’ motivation and goal orientation" University of Missouri 2005

      24 Watering, G.,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assessments: A review and a study into the ability and accuracy of estimating the difficultly levels of assessment items" 1 (1): 133-147, 2006

      25 Yager, R. E., "Science as a way of knowing" 22-25, 1995

      26 안지혜, "IMD 2017 세계 경쟁력 연감 분석"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8

      27 Zimitat, C., "First year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good teaching: Not all things are equal" 29 : 386-392, 2006

      28 McMillan, J. H., "Elementary teachers’ classroom assessment and grading practices" 95 (95): 203-213, 2002

      29 Zemelman, S., "Best practice, today’s standards for teaching and learning in America’s schools" Heinemann 2005

      30 Black, P. J., "Assessing educational achievement" Falmer Press 7-18, 198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3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8 1.48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53 1.481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