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線上韓國諺語敎學的可行方案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483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제화 시대가 된 오늘, 국가 간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서로간의 교류가 더욱 빈번해지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인터넷이 큰 역할을 발휘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각국은 이런 인터넷의 장점을 ...

      국제화 시대가 된 오늘, 국가 간의 경계가 사라지면서 서로간의 교류가 더욱 빈번해지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인터넷이 큰 역할을 발휘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각국은 이런 인터넷의 장점을 어떻게 언어교육에 접목시키고 활용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이런 고민들이 다양한 온라인 강의로 나타나곤 하는데 대부분의 강의들이 초보자들에게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온라인 강의의 발전 가능성과 활용 가능성을 놓고 볼 때 이제는 심화 강의를 어떻게 발전시키고 활용할지에 대해 고민할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
      속담은 사람들이 오랜 세월 동안 쌓아온 경험으로 응축된 관용적인 표현이다. 속담은 의사소통에 있어서 뛰어난 효율성이 있으며 학습자에게는 이해력과 사고력을 향상시켜 준다. 또한 속담은 한 국가나 민족의 독특한 사고방식과 생활습관이 내포되어 있어서 한 국가나 민족을 이해할 때 좋은 지름길이 되며 문화교육에 있어서도 상당히 중요한 자료가 된다. 따라서 속담은 온라인 심화 강의의 적합한 대상이라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두 가지 측면에서 온라인 강의의 시행방안을 살펴보았다. 하나는 내용적인 측면이다. 내용면에서 속담의 선택, 번역의 방식, 그리고 문 화 수업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했다. 속담의 분량은 많은데 강의 시간은 제한되어 있다. 그래서 속담의 취사선택이 필요하다. 속담을 선택할 때 사용빈도수, 이해 난이도, 그리고 사회적 수용도 등을 기준으로 해야 한다. 번역할 때는 어휘와 문법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직역, 의역을 통해서 속담의 표면적인 의미와 내면적인 의미를 천명하고 나서 관련된 관용표현과 문화자료를 첨부해야 학습자에게 완전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다. 마지막 문화 수업에서는 속담의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 역사나 인물의 사건, 문인의 작품, 신화와 전설, 그리고 전통적인 민속 등을 한 단원으로 따로 분리시켜 보충 교재로 쓴다.
      또 다른 측면은 기술적인 부분이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교수법과 테스트 문제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교수법의 첫 단계는 주제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과거의 속담 교수법과 달리 처음에 속담을 제시하지 않는 대신 음성이나 영상과 같은 가상 상황을 제공한다. 학습자는 이런 정보를 이용해서 스스로 판단하고 어떤 속담을 써야 하는지 인지한다. 그 다음 단계에서 해당 속담을 제시함으로써 적절한 상황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부분에서 주제 제시(어휘와 문법 설명 포함), 직역, 의역, 관련 관용표현 보충, 문화강좌 등을 순서로 배치하여 속담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속담의 뜻을 파악한 후에 테스트 문제를 통해 복습과 검증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저자가 제시한 Hot Potatoes란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테스트 문제를 만들 수 있다. 이전의 듣기와 읽기를 중심으로 한 교수법에서 벗어나 비교적 능동적인 말하기와 쓰기도 같이 응용하려는 목적에서이다. 이래야 속담을 이용해서 한국어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 네 가지의 능력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속담을 주제로 한 한국어 교육은 그다지 많지 않다. 그러나 속담은 조상의 지혜를 담은 관용표현인 만큼 언어교육적 측면뿐만 아니라 문화교육적 측면에 있어서도 매우 가치가 있다. 따라서 온라인 한국 속담강의는 심화 강의의 효과적인 교제가 될 수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在全球化的浪潮下, 國與國間的界線相對地變得模糊, 相互的交流也變得更加頻繁. 在這個過程中, 網際網路發揮了非常大的作用. 因此, 現在各國都在思索如何利用網際網路的優點, 結合並且運...

      在全球化的浪潮下, 國與國間的界線相對地變得模糊, 相互的交流也變得更加頻繁. 在這個過程中, 網際網路發揮了非常大的作用. 因此, 現在各國都在思索如何利用網際網路的優點, 結合並且運用在語言教育上. 這樣的嘗試造就了許多線上教學的出現, 但仔細觀察這些課程可以發現, 它們絕大部分都是針對初學者而設計的, 所以就線上教學的長期發展來看, 現在已經到了思考如何發展線上進階課程的時機.
      諺語是累積了人們長期的經驗所形成的慣用表現. 諺語不僅在意見溝通上有卓越的效果, 對於增進學習者的理解與思考能力也有很大的幫助. 而且, 在諺語中通常包含了一個國家民族的獨特思考模式與生活習慣, 所以是瞭解一個國家民族的捷徑, 也是文化教育上也是相重要的資料. 因此, 諺語是進階線上教學上非常合適的題材.
      本論文由兩個層面來研究線上韓國諺語教學的可行方案. 第一為內容層面, 在這個部分詳述了諺語的選擇, 翻譯的方式與文化的單元. 諺語的數量龐大, 但教授的時間卻是有限的, 所以必須對諺語做出適當的取捨. 在選擇諺語時, 必須以使用頻率, 理解難易與社會的觀感作為基準. 在翻譯時除了應提示語彙與文法外, 也該藉由直譯與意譯闡述諺語的表面與內在意涵, 並添加相關慣用表現與文化資料, 如此才能提供給學習者完整的資訊. 最後, 為了在文化課程中對諺語有更深一層的理解, 將相關的歷史及人物事件, 文人作品, 神話與傳說, 傳統民俗等資訊另外獨立成為一個單元作為補充教材.
      第二為技術層面, 在這個部分探討了教學課程與試題測驗。 教學課程的第一階段為引導主題. 與過去的傳統諺語教學方式不同, 一開始先不提示諺語, 而是以語音和影像代替, 只提供情境讓學習者自我判斷與認知該使用何種諺語. 在第二階段中才提示主題, 幫助學習者能在適當的情況之下活用諺語. 此階段以提示主題(包含語彙與文法說明), 直譯, 意譯, 相關慣用表現補充, 文化單元的順序來排列, 讓學習者能正確且完整地掌握諺語的意義. 在理解諺語的意涵後, 再藉由試題測驗來發揮複習與驗證的效果.
      本教學課程的試題測驗運用稱為Hot Potatoes的專業軟體, 本軟體可以製作多樣的測驗題型. 在製作試題時, 跳脫以往以聽, 讀能力為主的方式, 結合並運用較為積極主動的說, 寫能力. 如此一來, 才能藉由諺語均衡地發展韓語之聽,說, 讀, 寫等技能.
      到目前止, 以諺語為主題的韓語教育並不多見, 但諺語作為包含祖先智慧的慣用表現, 不僅在語言教育上, 在文化教育上也是非常具有價值. 所以線上韓國諺語教育是進階課程上相當有用的教材, 並且有持續發展之必要.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