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 메이지(明治) 시기(1867∼1912) 근대 교육이 형성되는 과정은 서구화와 일본 전통의 의식이 서로 상충과 갈등하는 과정이었고, 결국 천황제 중심의 국민국가 형성이라는 교육 목표를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에서 메이지(明治) 시기(1867∼1912) 근대 교육이 형성되는 과정은 서구화와 일본 전통의 의식이 서로 상충과 갈등하는 과정이었고, 결국 천황제 중심의 국민국가 형성이라는 교육 목표를 ...
일본에서 메이지(明治) 시기(1867∼1912) 근대 교육이 형성되는 과정은 서구화와 일본 전통의 의식이 서로 상충과 갈등하는 과정이었고, 결국 천황제 중심의 국민국가 형성이라는 교육 목표를 통한 교육칙어의 반포로 그 성격이 확고하게 정착되는 과정이었다. 당시 사범교육은 이러한 교육의 목표에 맞추어 인재를 양성하는데 첨병의 역할을 하였다. 메이지기 일본의 교원양성을 책임진 사범교육은 일본의근대교육사와 맞물려 이러한 흐름 속에서 존치되었다. 당시 메이지정부는 사범교육의 형성을 위해 수십개가 넘는 법령을 발표하였다.
그만큼 학교의 교원을 양성하는 것이 국가의 책무이자 시급한 일이라고 판단했던 것이다. 1872년 ‘학제’ 반포, 1879년, 1880년, 1885 년 세 번의 교육령 및 그 개정 반포, 1886년의 학교령 반포(사범학교령 포함)을 통해 1945년까지 국가주의적 교육과 애국심 함양 교육이라는 변하지 않는 사범교육의 실체적 틀이 마련되었다. 특히 1886 년의 학교령을 통해 각종 학교급별 전문성을 강조한 모리 아리노리(森有礼)는 사범학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는데, 그는 교사에게 필요한 3기질, 즉 순량, 신애, 위중이라는 교사의 자질을 제시했고, 교사각자가 이를 지키기 위한 책임감을 가질 것을 강조하였다. 이어1890년의 교육칙어 반포의 과정을 거쳐 더욱 강고한 천황중심의 사범교육이 완성되었다.
그런데 일본의 메이지 유신은 폐번치현(廃藩置県)을 통해 중앙이지방의 행정을 장악해 가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오랜기간 지방의 행정이 교육을 통치하던 시기로부터 이러한 중앙집권적 교육 통치는과도기를 겪을 수 밖에 없었다. 사범교육 역시 중앙의 여러 가지 법령을 지방으로 내려보내는 과정에서 과도기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본고에서는 특히 이러한 과도기의 시기에 행정구역이 이분화되면서 교육과 행정구역이 일치하지 못하게 되면서 생긴 나라현(奈良県) 의 과도기적 사범 교육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지방적 특징이 바로 사라지지 못했기 때문에 중앙에서 내보내는 여러 사범교육의 법령을 다 소화해 내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나라 사범학교의 제도, 학교운영 방식, 졸업생 들의 회고 등을 살펴보면, 메이지유신시기 중앙과 지방의 사범교육의 접합점과 모순의 부작용들이 필연적인 발생과정을 통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역사교육자협의회, "학교사로 읽는 일본근현대사" 책과 함께 2012
2 이건상, "일본의 근대화와 조선의 근대"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13
3 가타기리 요시오, "일본 교육의 역사: 사회학적 시각에서" 논형 2011
4 정준영, "식민지 교육정책의 원점 : 이자와 슈지의 동화주의와 청각적 근대성"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153-184, 2011
5 이권희, "메이지(明治) 전기 국민국가 형성과 교육 -학제(學制)의 변천과 창가(唱歌)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1) : 159-191, 2011
6 이명실, "논쟁으로보는 일본 근대교육의 역사" 도서출판 살림터 2017
7 윤종혁, "근대이후 한국과 일본의 학제 변천 과정 비교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8
8 한용진, "근대 이후 일본의 교육" 도서출판 문 2010
9 이권희, "국가와 교육: 메이지 국민교육사" 케포이북스 2017
10 吉川昭, "구한말 근대학교의 형성" 경인문화사 2006
1 역사교육자협의회, "학교사로 읽는 일본근현대사" 책과 함께 2012
2 이건상, "일본의 근대화와 조선의 근대" 도서출판 모시는 사람들 2013
3 가타기리 요시오, "일본 교육의 역사: 사회학적 시각에서" 논형 2011
4 정준영, "식민지 교육정책의 원점 : 이자와 슈지의 동화주의와 청각적 근대성" 한국학중앙연구원 34 (34): 153-184, 2011
5 이권희, "메이지(明治) 전기 국민국가 형성과 교육 -학제(學制)의 변천과 창가(唱歌)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일본사상사학회 (21) : 159-191, 2011
6 이명실, "논쟁으로보는 일본 근대교육의 역사" 도서출판 살림터 2017
7 윤종혁, "근대이후 한국과 일본의 학제 변천 과정 비교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8
8 한용진, "근대 이후 일본의 교육" 도서출판 문 2010
9 이권희, "국가와 교육: 메이지 국민교육사" 케포이북스 2017
10 吉川昭, "구한말 근대학교의 형성" 경인문화사 2006
11 한용진, "개화기 사범학교와 교원양성교육" 대학사학회 3 : 2006
12 한용진, "개화기 사범학교 『교육학』 교재 연구 - 기무라 도모지(木村知治)의『신찬교육학』을 중심으로 -" 안암교육학회 18 (18): 45-63, 2012
13 "高等師範学校ノ学科及其程度(抄)(明治十九年十月十四日文部省令第十七号)"
14 李元必, "韓國 敎員敎育의 歷史的 考察에 대한 討論" 한국교육사학회 10 : 1988
15 水原克敏, "近代日本教員養成史研究 : 教育者精神主義の確立過程" 風間書房 1991
16 船寄俊雄, "近代日本中等教員養成論争史論 : 「大学における教員養成」 原則の歴史的研究" 学文社 1998
17 樫村勝, "茨城師範学校史 : 茨城教育の礎を辿る" 筑波書林 1981
18 熊本大学教育学部, "熊本師範学校史" 熊本大学教育学部同窓会 1985
19 白石義郎, "森有礼の二人の弟子 : 木下広次と嘉納治五郎の身体の西洋化" 情報社会学科 2018
20 國立敎育硏究所, "日本近代敎育百年史 第五卷 學校敎育3" 文唱堂 1947
21 日本近代敎育史刊行會, "日本近代敎育史" 講談社 1973
22 宮坂朋幸, "日本近代における 「教員」像の教育史的研究" 宮坂朋幸 2005
23 加藤仁平, "日本精神の発展と教育" 同文書院 1934
24 東京敎育大學敎育學硏究室, "日本敎育史" 金子書房 1953
25 崔洛範, "日本 地方自治機關의 改編過程과 그 特性에 관한 연구"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2
26 唐澤富太郞, "新敎職敎養 シリーズ 近代日本敎育史" 誠文堂新光社 1979
27 尾形裕康, "新刊 日本敎育史" 교육출판사 1995
28 文部省, "文部省布達全書"
29 文部省, "文部省布達全書"
30 "教員養成諸学校官制(抄)(昭和二十一年四月一日勅令第二百八号)"
31 愛知教育大学史, "愛知教育大学史" 愛知教育大学 1975
32 "師範教育令改正(抄)(昭和十八年三月八日勅令第百九号)"
33 "師範教育令中改正(昭和十九年二月十七日勅令第八十一)"
34 "師範教育令(明治三十年十月九日勅令第三百四十六号)"
35 "師範学校規程(抄)(昭和十八年三月八日文部省令第六号)"
36 "師範学校規程(抄)(明治四十年四月十七日文部省令第十二号)"
37 "師範学校教則大綱(明治十四年八月十九日達第二十九号)"
38 "師範学校令(明治十九年四月十日勅令第十三号)"
39 "小学校教員心得(明治十四年六月十八日文部省達第十九号)"
40 "小学校教員免許規則(明治十九年六月二十一日文部省令第十二号)"
41 "小学校教員免許状授与方心得改正(明治十四年七月八日文部省達第二十四号)"
42 "小学校教員免許状授与方心得(明治十四年一月三十一日文部省達第六号)"
43 "尋常師範学校卒業生服務規則(明治十九年五月二十八日文部省令第十一号)"
44 "尋常師範学校ノ学科及其程度(抄)(明治十九年五月二十六日文部省令第九号)"
45 文部省, "学制百五十年史" 2022
46 文部省, "学制百二十年史" 1992
47 "学制実施細目ノ件伺ニ対スル太政官指令(抄)明治五年六月二十四日太政官指)(第二項ノミ抄録)"
48 奈良敎育大學史創立百周年紀念會百年史部, "奈良敎育大學史" 奈良敎育大學校 1990
49 小学館, "デジタル大辞泉について"
역사를 왜 배워야 할까? -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 세계사 -
장지동(張之洞)의 국가 중건 구상과 문화 전환: 『권학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