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1920년대 청주에서 벌어진 다양한 사회운동을지역사적 맥락에 따라 살펴보고, 당대 청주의 지역사회운동을 이끌었던 청주 有志의 연원과 활동을 밝히는 것이다. 청주는 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429120
이대원 (한국교원대학교)
2022
Korean
Cheongju ; community leaders ; local social movements ; youth association ; reside family ; 청주 ; 유지 ; 지역사회운동 ; 청년회 ; 세거문중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19-478(6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1920년대 청주에서 벌어진 다양한 사회운동을지역사적 맥락에 따라 살펴보고, 당대 청주의 지역사회운동을 이끌었던 청주 有志의 연원과 활동을 밝히는 것이다. 청주는 한...
본 연구의 목적은 1920년대 청주에서 벌어진 다양한 사회운동을지역사적 맥락에 따라 살펴보고, 당대 청주의 지역사회운동을 이끌었던 청주 有志의 연원과 활동을 밝히는 것이다.
청주는 한말 도청이 이전되고, 1920년대 경부선을 잇는 청주역이개통되자 각종 시설과 자원이 밀집되어 충청북도의 중심도시로 성장하였다. 이에 따라 발생한 정치⋅문화⋅경제적 역량을 토대로 일제시기 청주에서는 지역의 유지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회운동이 전개되었다.
1920년대 전반기 청주에서 나타난 사회운동의 중심은 교육운동이었다. 읍내에서는 유지 각자가 지향하는 바를 토대로 단체가 수립되었고 단체를 통해 집중된 역량을 토대로 교육운동이 전개되었다. 유지 각자의 성향에 따라 활동의 양상이 다르기도 했으나, 지역사회발전을 위한 일련의 연대도 존재했다. 청주의 면 지역에서도 지역유지들을 중심으로 주민들의 의식향상과 계몽과 관련하여 교육운동이 전개되었다. 면 지역의 교육운동을 이끌었던 유지들은 대개 조선후기부터 해당 지역에서 거주하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던 세거문중이었다.
하지만 1920년대 전반기 청주 읍내와 면 지역은 단절된 양상을 보였으며 유지들도 각자의 지역에 국한된 활동만을 이어갔다.
1920년대 전반기 청주청년회에서 활동하며 민족주의 성향을 보였던 유지들은 1920년대 후반기에 들어 청주청년회 혁신체제와 신간회청주지회를 통해 지역사회에서의 활동을 이어갔다. 그러나 두 단체 모두 1920년대 말에 접어들어 소강상태에 접어들었으며, 그 결과 민족주의 유지들의 역량이 크게 약화되었다. 따라서 청주 읍내는 관변성향을 보이던 유지들이 지역사회의 주도권을 장악해 지역사회의 경직이 시작되었다. 1920년대 후반기 면지역에서는 고령신씨 인사들을중심으로 한 산동지역의 사회운동이 두각을 나타냈다. 특히 이 시기귀향한 신백우를 중심으로 사회주의에 입각한 지역사회운동들이 연이어 전개되었다. 이러한 활동의 저변에는 산동지역의 특수한 지리적요건과 전통적으로 지역에서 독자노선을 걸어온 고령신씨 문중의 역사성이 있다. 그러나 산동지역의 역동성도 1930년대에 이르러 고령신씨 문중인사들의 사회운동 이탈로 인해 소멸되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충호, "해방 직후 청주지역 우익 세력의 형성과 활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2 김양식, "한말 일제초 청주지역 개화지식인들의 외부세계 소통과 지역 활동" 한국사연구회 (135) : 61-86, 2006
3 전상봉, "한국근현대청년운동사" 두리미디어 2004
4 이타가키 류타, "한국 근대의 역사민족지 - 경북 상주의 식민지 경험 -" 혜안 2015
5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 "친일재산국가귀속결정문 2" 2010
6 한국기독교장로회충북노회, "충북노회사료집" 1998
7 청주시, "청주시지" 청주시 2017
8 전순동, "청주 망선루 상량문에 대한 일고" 4 : 2000
9 박철하, "청년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10 이기훈, "청년아 청년아 우리 청년아" 돌베개 2014
1 이충호, "해방 직후 청주지역 우익 세력의 형성과 활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2 김양식, "한말 일제초 청주지역 개화지식인들의 외부세계 소통과 지역 활동" 한국사연구회 (135) : 61-86, 2006
3 전상봉, "한국근현대청년운동사" 두리미디어 2004
4 이타가키 류타, "한국 근대의 역사민족지 - 경북 상주의 식민지 경험 -" 혜안 2015
5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 "친일재산국가귀속결정문 2" 2010
6 한국기독교장로회충북노회, "충북노회사료집" 1998
7 청주시, "청주시지" 청주시 2017
8 전순동, "청주 망선루 상량문에 대한 일고" 4 : 2000
9 박철하, "청년운동"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2009
10 이기훈, "청년아 청년아 우리 청년아" 돌베개 2014
11 정연태, "조선말 일제하 자산가형 지방유지의 성장 추구와 이해관계의 중층성 – 포구상업도시 강경지역 사례" 31 : 2003
12 신기영, "일제하 한국 기독교 민족주의의 형성" 8 (8): 1995
13 지수걸, "일제하 충남 서산군의 ‘관료-유지 지배체제’-"서산군지(瑞山郡誌)"(1927)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3 : 1999
14 지수걸, "일제시기 충남 부여·논산군의 유지집단과 혁신청년집단" 규장각한국학연구원 (36) : 193-247, 2005
15 한상구, "일제시기 지역사회의 ‘이중권위구조’에 대한 연구시론" 2002
16 이용기, "일제시기 면 단위 유력자의 구성과 지역정치 ―전남 長興郡 蓉山面 사례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원 (67) : 37-85, 2009
17 전순동, "일제강점기 청주청년회의 활동 과 그 의의" 29 : 2004
18 전순동, "일제강점기 청주청년회의 성립과 그 배경" 28 : 2004
19 이용철, "일제강점기 閔泳殷의 ‘유지정치’와 식민권력의 청주지역 침투"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50) : 159-202, 2015
20 임춘수, "신규식⋅신채호 등의 산동문중 개화사례" 1990
21 이균영, "신간회 연구" 역사비평사 1993
22 오성철, "식민지 초등교육의 형성" 교육과학사 2000
23 윤해동, "식민지 근대의 패러독스" 휴머니스트 2007
24 동선희, "식민권력과 조선인 지역 유력자" 선인 2011
25 허영란, "시가지 개조를 둘러싼 지역주민의 식민지 경험 - 안성의 철도⋅시장⋅공원 그리고 지역주민 -" 17 : 2007
26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 데이터베이스로 보는 1919, 그날의 기록" 국사편찬위원회 2019
27 이용철, "대한제국기 閔泳殷의 관직활동과 계몽운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54) : 5-40, 2016
28 송선희, "김태희(1877∼1936)의 민족운동 배경과 활동" 충북대학교 2020
29 전순동, "기독교와 충북근대교육" 동해출판사 2003
30 장승순, "黑旗聯盟(1925)의 조직과정과 구성원의 성격"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46) : 127-170, 2013
31 전병수, "自敍傳" 廷文印刷文化株式會社 1970
32 이명구, "自敍傳" 常綠出版社 1971
33 경부신백우선생기념사업회, "畊夫 申佰雨" 경부신백우선생기념사업회 1973
34 大熊春峰, "淸州沿革誌" 1923
35 "每日申報"
36 "東亞日報"
37 "朝鮮總督府職員綠"
38 "朝鮮日報"
39 藤村德一, "朝鮮公職者名鑑" 朝鮮圖書刊行會 1927
40 善生永助, "朝鮮の聚落 後篇" 朝鮮總督府 1935
41 越智唯七, "新舊對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稱一覽 上" 中央市場 1917
42 김현구, "愛國志士 一石 金泰熙" 동해출판사 2006
43 三浦斧吉, "大淸州" 齋藤商會印刷部 1922
44 朝鮮總督府, "地方行政区域名称一覧" 朝鮮總督府 1924
45 이창수, "回想錄" 계명사 1998
46 충청북도 문화공보담당관실, "人物誌" 충청북도 1987
47 "中外日報"
48 윤해동, "‘식민지 인식의 회색지대’를 위한 변증- 아래로부터의 근대 연구를 위하여-" 한국역사연구회 (66) : 398-427, 2007
49 장승순, "1920년대 충북지역 민족운동의 양상과 성격"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4
50 이기훈, "1920년대 전남지방의 청년단체와 청년운동―사회정치적 공간의 구성과 변화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5 (15): 171-208, 2011
51 김경태, "1920년대 무안군 도서지역의 소작쟁의와 지역사회" 24 : 2015
52 정삼철, "(1930년 발간)淸州郡勢要覽" 충북학연구소 2021
53 정삼철, "(1929년 발간)충청북도 청주군 군세일반" 충북학연구소 2015
54 정삼철, "(1923년 발간)충북산업지" 충북학연구소 2019
역사를 왜 배워야 할까? - 2022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 세계사 -
장지동(張之洞)의 국가 중건 구상과 문화 전환: 『권학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