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국 특색적 정치의 배경 = Background of Typical Politics in Chin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254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s said tha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ommunist revolution in China was Marxism-Leninism-Mao Zedong Thought.
      And the ideology was the guiding principle of the CCP revolution and domination.
      The CCP had especially emphasized that Mao Zedong Thought was basis in
      its politics. The Mao Zedong Thought was very complex and his ideas did not
      have their roots in Chinese tradition and history. Therefore Mao Thought has
      been subjected to intensive criticism since 1978. The CCP needed to justify
      and legitimize its socialism in order to succeed the economic reforms and open
      door policy. Therefore the CCP called its socialism as a typical socialism of
      China. And I can say that the CCP also has the typical politics of China. The
      politics had its own characteristic. That is Chinese factional politics. The CCP
      recently said that orthodox Marxism-Leninism-Mao Zedong Thought was obsolete
      and its rigid application could no longer solve China’s problems. Therefore
      the CCP needed new ideology for successful reform. The CCP selected pragmatism
      for its open door policy. Although the CCP can not superficially relinquish the
      Mao Zedong Thought, the CCP practically continue to seek pragmatic road.
      And the CCP has often used the word ‘typical’.
      번역하기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s said tha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ommunist revolution in China was Marxism-Leninism-Mao Zedong Thought. And the ideology was the guiding principle of the CCP revolution and domination. The CCP had especially emph...

      The Chinese Communist Party has said tha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ommunist revolution in China was Marxism-Leninism-Mao Zedong Thought.
      And the ideology was the guiding principle of the CCP revolution and domination.
      The CCP had especially emphasized that Mao Zedong Thought was basis in
      its politics. The Mao Zedong Thought was very complex and his ideas did not
      have their roots in Chinese tradition and history. Therefore Mao Thought has
      been subjected to intensive criticism since 1978. The CCP needed to justify
      and legitimize its socialism in order to succeed the economic reforms and open
      door policy. Therefore the CCP called its socialism as a typical socialism of
      China. And I can say that the CCP also has the typical politics of China. The
      politics had its own characteristic. That is Chinese factional politics. The CCP
      recently said that orthodox Marxism-Leninism-Mao Zedong Thought was obsolete
      and its rigid application could no longer solve China’s problems. Therefore
      the CCP needed new ideology for successful reform. The CCP selected pragmatism
      for its open door policy. Although the CCP can not superficially relinquish the
      Mao Zedong Thought, the CCP practically continue to seek pragmatic road.
      And the CCP has often used the word ‘typic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의 공산혁명은 실제로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초해서 성공한 혁명
      이 아니라 중국공산당이 만든 모택동 사상에 근거해서 이루어진 혁명이다.
      더 나아가 중국공산당은 표면적으로 모택동 사상을 그들 통치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고 하지만 그 사상도 구체적이지 않고 체계적이지 않다. 또한 중
      국공산당이 내세우고 있는 통치이념 역시 중국의 역사, 전통 등과도 맥을
      같이 하고 있지 않다. 중국공산당이 표방하고 있는 그들의 사상과 이념은
      정통성도 없고 중국 전통적인 것도 아니다. 중국 공산당은 이러한 것들을
      정당화하고 합리화하기 위해 그들의 것들을‘중국 특색적’인 것이라고 말
      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들의 정치를 중국 특색적 정치라고 그리고 그들의
      사회주의를 중국 특색적 사회주의라고 한다. 중국 특색적 정치의 핵심적 특
      징은 먼저 파벌정치이다. 중국의 공산혁명은 어려운 여건하에서 오래 동안
      진행되었기 때문에 중국공산당내에는 여러 파벌이 존재하였다. 또 다른 하
      나의 특징은 당의 이념, 사상 등이 명확하지 않아 정책 노선의 일관성이 없
      다. 모택동 사상의 핵심은 투쟁이다. 이것은 혁명 시기에는 적절한 것이었으나 정권 수립 후에는 통치의 근간이 될 수 없었다. 동시에 중국공산당의
      이념, 사상 등은 추상적이어서 국민을 설득하고 국민의 동의를 구하기 어려
      웠다. 중국은 개혁·개방을 실시하면서 미국적 이념인 실용주의를 그들의
      기본이념으로 삼고 있다. 이런 이념은 중국 특색적인 것으로 미화되고 있다.
      번역하기

      중국의 공산혁명은 실제로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초해서 성공한 혁명 이 아니라 중국공산당이 만든 모택동 사상에 근거해서 이루어진 혁명이다. 더 나아가 중국공산당은 표면적으로 모...

      중국의 공산혁명은 실제로는 마르크스-레닌주의에 기초해서 성공한 혁명
      이 아니라 중국공산당이 만든 모택동 사상에 근거해서 이루어진 혁명이다.
      더 나아가 중국공산당은 표면적으로 모택동 사상을 그들 통치의 근간으로
      삼고 있다고 하지만 그 사상도 구체적이지 않고 체계적이지 않다. 또한 중
      국공산당이 내세우고 있는 통치이념 역시 중국의 역사, 전통 등과도 맥을
      같이 하고 있지 않다. 중국공산당이 표방하고 있는 그들의 사상과 이념은
      정통성도 없고 중국 전통적인 것도 아니다. 중국 공산당은 이러한 것들을
      정당화하고 합리화하기 위해 그들의 것들을‘중국 특색적’인 것이라고 말
      하고 있다. 그리하여 그들의 정치를 중국 특색적 정치라고 그리고 그들의
      사회주의를 중국 특색적 사회주의라고 한다. 중국 특색적 정치의 핵심적 특
      징은 먼저 파벌정치이다. 중국의 공산혁명은 어려운 여건하에서 오래 동안
      진행되었기 때문에 중국공산당내에는 여러 파벌이 존재하였다. 또 다른 하
      나의 특징은 당의 이념, 사상 등이 명확하지 않아 정책 노선의 일관성이 없
      다. 모택동 사상의 핵심은 투쟁이다. 이것은 혁명 시기에는 적절한 것이었으나 정권 수립 후에는 통치의 근간이 될 수 없었다. 동시에 중국공산당의
      이념, 사상 등은 추상적이어서 국민을 설득하고 국민의 동의를 구하기 어려
      웠다. 중국은 개혁·개방을 실시하면서 미국적 이념인 실용주의를 그들의
      기본이념으로 삼고 있다. 이런 이념은 중국 특색적인 것으로 미화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張鎭邦, "鄧小平 思想的兩重性" 32 (32): 1989

      2 鄧小平, "建設有中國特色的社會主義, 建設有中國特色的社會主義" 三聯書店香港分店 1987

      3 "堅持四項基本原則, 鄧小平文選" 人民出版社 1983

      4 "在八屆十一中會上的講話(1966.8.12), 毛澤東思想万歲"

      5 金河龍, "中國政治論" 博英社 1984

      6 朱新民(外合著), "中國大陸硏究" 五南圖書出版公司 1988

      7 高凱 于玲, "中共七十年" 中國國際播出版社 1991

      8 Deng Xiaoping, "Uphold the Four Cardinal Principles, in Selected Works of Deng Xiaoping" Foreign Language Press 1984

      9 James R, "Townsend and Brantly Womack, Politics in China" Little Brown 1986

      10 An-chia Wu, "The Thought of Mao Tse-tung:A New Version of Marxism-Leninism. In Ideology and Politics in Twentieth Century China"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1988

      1 張鎭邦, "鄧小平 思想的兩重性" 32 (32): 1989

      2 鄧小平, "建設有中國特色的社會主義, 建設有中國特色的社會主義" 三聯書店香港分店 1987

      3 "堅持四項基本原則, 鄧小平文選" 人民出版社 1983

      4 "在八屆十一中會上的講話(1966.8.12), 毛澤東思想万歲"

      5 金河龍, "中國政治論" 博英社 1984

      6 朱新民(外合著), "中國大陸硏究" 五南圖書出版公司 1988

      7 高凱 于玲, "中共七十年" 中國國際播出版社 1991

      8 Deng Xiaoping, "Uphold the Four Cardinal Principles, in Selected Works of Deng Xiaoping" Foreign Language Press 1984

      9 James R, "Townsend and Brantly Womack, Politics in China" Little Brown 1986

      10 An-chia Wu, "The Thought of Mao Tse-tung:A New Version of Marxism-Leninism. In Ideology and Politics in Twentieth Century China"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1988

      11 A Doak Barnett, "The Making of Foreign Policy in China" Westview Press 1985

      12 James Pinckney Harrison, "The Long March to Power" Praeger publishers 1972

      13 John Gittings, "The Great Power Triangle and Chinese Foreign Policy" (39) : 1969

      14 Mao Tse-tung, "Selected Works of Mao Tse-tung" Foreign Language Press 1960

      15 Mao Tse-tung, "Selected Works of Mao Tse-tung" Foreign Language Press 1960

      16 Mao Zedong, "On Coalition Government,”Selected Works of Mao Zedong" Foreign Language Press 1965

      17 Anna Louis Strong, "Down Out of China" People's Publishing House 1948

      18 James C. F Wang, "Contemporary Chinese Politics" Prentice-Hall, Inc. 1992

      19 Chester C. Tan, "Chinese Political Thought in the Twentieth Century" Double-day & Co. 1971

      20 Lucian W. Pye, "China:An Introduction" Little, Brown 1978

      21 人民日報, "1984年12月7日"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제문제연구 -> 국가안보와 전략
      외국어명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1-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ies of International Affai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3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79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