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4주 동안 10회에 걸쳐 공간위치지각하기를 지도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580560
1999
Korean
370.000
학술저널
28-36(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4주 동안 10회에 걸쳐 공간위치지각하기를 지도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동을 대상으로 4주 동안 10회에 걸쳐 공간위치지각하기를 지도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를 요약․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아동의 공간위치 지각 문제에 대한 처치를 위해 우선 자신의 신체를 중심으로 신체 부위 위치를 찾아 공간위치를 이해하도록 하였다. 다음에는 사물을 가지고 직접 앞․뒤․옆․위․뒤․아래의 개념을 알아보는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아동이 자신의 신체를 중심으로 하여 앞․뒤․옆․위․뒤․아래의 개념을 간단한 단서와 함께 알 수 있도록 하였다. 아동이 어느 정도 공간위치에 대한 기준을 가졌다고 보고 그림을 통해 부분 위치 변화를 찾아내어 말로 설명하기를 해 보았고, 마지막 확인 절차로서 실생활(지하철을 타고 목표 위치에 도착하기)에서 아동의 공간위치 지각 습득 여부를 확인해 보았다. 처치를 통해 아동이 어느 정도의 공간위치 지각에 대한 개념을 가지게 되었다. 그러나 학습된 지각개념이 모든 상황에 일반화되지는 못했다.
공간위치 지각의 문제는 아동이 학습기회를 적게 가진 것에도 원인이 있지만, 그보다 근본적으로 아동의 인지기능과 정보처리 기능에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10회의 학습과정에서 아동이 공간위치를 알아내기 위해 어떤 단서도 스스로 만들어 내지 못했으며 이를 기억하기 위해 시연전략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의 계속된 연구에서는 아동에게 직접적으로 단서를 제공하지 않고, 스스로 단서를 찾아 공간위치를 지각할 수 있도록 지도하려 한다.
모든 학습이 그렇지만 공간위치 지각의 문제 역시 가정에서의 도움이 필요하다. 아동의 공간위치 지각을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자주, 보다 다양하고 자연스러운 상황에서 공간위치에 대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동의 경우 집에서 교육적인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아동의 어머니는 아동의 문제를 인정하지만, 가르치려고 하기보다는 아이가 별 문제가 없다고 믿으시려하고, 아버지는 모두 소용이 없다고 생각하시기 때문이다. 이 같은 부모님의 태도는 가정에서 제대로 수용되지 못한 아동이 상대적으로 외부 사람들에게 관심을 쏟으며, 그로 인해 다른 영역보다 사회성을 우선 발전시킨 것 같다. 그러나 아동이 보인 사회적 기술도 완전한 것은 아니어서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대상은 자신을 수용하고 칭찬하는 성인들이나, 의사소통이 가능하고 자신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유아들에 한정되어 있다. 인정받고 싶은 아동의 욕망은 어려운 사람들을 더 열심히 도와주게 만들고, 어려서부터 배운 할머니, 할아버지를 도와야 된다는 도덕성이 아직도 굳건하게 남아 있어 아동은 지역사회에서 더 잘 알려져 있다. 이런 이유로 아동의 능력이 과대하게 포장되며, 주변인들은 아동이 공간위치 지각을 포함해 간단한 과제를 모를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게 된 것 같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처치가 어렵다. 아동이 2년 후면 고등학교를 졸업한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빠른 시일 내에 가정과 학교 모두가 아동의 현재 능력을 파악하는 실질적인 노력이 있어야겠고, 이에 알맞은 교육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