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장성규, "한국에서의 ‘프롤레타리아의 밤’: 1980-90년대 노동자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63) : 11-50, 2021
2 김동해, "학생운동 내의 문학예술투쟁에 대한 제언" (1) : 1988
3 김탁환, "특별좌담: 대중문화잡지, 무엇을 할 것인가?" (가을) : 1996
4 홍윤기, "탈계급적인 선택과 결단의 문학적 표출―해방문학으로서의 대학문학" (여름) : 1988
5 김윤식, "체험으로서의 한국 근대문학사론―근대문학의 기원과 문학사의 원환 구조" (겨울) : 1998
6 김경년, "책이라는 예술작품, 『딕테』: 차학경 『딕테』 김경년 번역가 서면 인터뷰" (가을) : 2021
7 "창작과비평"
8 윤지관, "전환기의 민족·민중문학과 소설" (봄) : 1990
9 주은우, "자유와 소비의 시대, 그리고 냉소주의의 시작: 대한민국, 1990년대 일상생활의 조건" 한국사회사학회 (88) : 307-344, 2010
10 나준성, "이성욱 비평의 문화(운동)론과 ‘현실’이라는 조건의 의미" 춘원연구학회 (20) : 265-297, 2021
1 장성규, "한국에서의 ‘프롤레타리아의 밤’: 1980-90년대 노동자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63) : 11-50, 2021
2 김동해, "학생운동 내의 문학예술투쟁에 대한 제언" (1) : 1988
3 김탁환, "특별좌담: 대중문화잡지, 무엇을 할 것인가?" (가을) : 1996
4 홍윤기, "탈계급적인 선택과 결단의 문학적 표출―해방문학으로서의 대학문학" (여름) : 1988
5 김윤식, "체험으로서의 한국 근대문학사론―근대문학의 기원과 문학사의 원환 구조" (겨울) : 1998
6 김경년, "책이라는 예술작품, 『딕테』: 차학경 『딕테』 김경년 번역가 서면 인터뷰" (가을) : 2021
7 "창작과비평"
8 윤지관, "전환기의 민족·민중문학과 소설" (봄) : 1990
9 주은우, "자유와 소비의 시대, 그리고 냉소주의의 시작: 대한민국, 1990년대 일상생활의 조건" 한국사회사학회 (88) : 307-344, 2010
10 나준성, "이성욱 비평의 문화(운동)론과 ‘현실’이라는 조건의 의미" 춘원연구학회 (20) : 265-297, 2021
11 "이론"
12 "이다"
13 이동연, "의미화실천, 주체화양식, 실험공학의 장: 한국 문화연구의 생산적 논쟁을 위해" (13) : 1997
14 강내희, "유물론적 문화론 정초를 위하여" (창간) : 1992
15 "오늘의 시"
16 "오늘의 소설"
17 "오늘예감"
18 아를레트 파르주, "아카이브 취향" 문학과지성사 2020
19 천정환, "시대의 말 욕망의 문장" 마음산책 2014
20 천정환,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 주체와 노동과정에 대한 서사론" 반교어문학회 (46) : 127-170, 2017
21 천정환, "세기를 건넌 한국 노동소설(2)-『노동자의 이름으로』에 나타난 열사, 진정성 그리고 1990년대-" 반교어문학회 (56) : 399-435, 2020
22 김성기, "상황의 도전과 문화의 응전―최근 잡지의 새로운 경향에 대하여" (가을) : 1993
23 김주연, "상업 문화와 혁신 문화의 거리―90년대의 문학과 사회를 전망하며" (봄) : 1990
24 "상상"
25 "비평의 시대"
26 작가와 비평, "비평, 90년대 문학을 묻다" 여름언덕 2005
27 미셸 마페졸리, "부족의 시대" 문학동네 2017
28 "버전업"
29 김창남, "민주화 대세 거스르는 대중문화" (봄;창간) : 1988
30 스튜어트 홀, "문화연구 1983―이론의 역사에 관한 8개의 강의" 현실문화연구 2021
31 "문화과학"
32 고은, "문학이 이끄는 사회와 역사―과학성, 당파성 등의 문제로서의 제언" (봄) : 1990
33 이용욱, "문학의 위기와 새로운 도전" (창간) : 1996
34 "문학동네"
35 "문학과사회"
36 "문예연감"
37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38 "리뷰"
39 이용욱, "로그 아웃: 정보화 사회, 국어국문학의 방향" (여름) : 1999
40 사이먼 레이놀즈, "레트로 마니아" 워크룸프레스 2017
41 "대학신문"
42 장성규, "당신들의 90년대" (여름) : 2015
43 이윤종, "『문화/과학』과 1990년대 한국의 문화론" 구보학회 (19) : 495-528, 2018
44 조연정, "『문학동네』의 ‘90년대’와 ‘386세대’의 한국 문학"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1) : 221-246, 2018
45 강동호, "‘언표’로서의 내면-1990년대 문학사의 비판적 재구성을 위한예비적 고찰들-" 한국학연구소 (56) : 249-273, 2020
46 여국현, "‘사이버문학’과 사이버시대의 텍스트 짜기―『사이버문학의 도전』에 대한 비판을 중심으로" (11) : 1997
47 조연정, "‘문학주의’의 자기동일성 1990년대 『문학동네』의 비평 담론" 상허학회 53 : 9-46, 2018
48 최가은, "‘90년대’와 ‘여성문학특집’-『문학동네』 1995년 여성문학특집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소 (75) : 61-94, 2021
49 안용희, "X세대의 상상력과 ‘리얼리티’의 갱신" 한국문학연구소 (61) : 43-78, 2019
50 이해영, "90년대와 80년대: 하나의 정신사적 고찰" (겨울) : 1999
51 이성욱, "90년대 문화운동의 방향 모색" (창간) : 1992
52 하상일, "90년대 문화담론을 둘러싼 세 가지 질문―문화잡지에 대한 비판적 점검" (봄) : 1999
53 김영희, "90년대 문학의 밤과 프롤레타리아의 시 - 일상/투쟁의 서사와 훼손된 육체를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27 (27): 85-117, 2019
54 황종연, "90년대 문학 어떻게 볼 것인가" 민음사 1999
55 마이클 돕스, "1991―공산주의 붕괴와 소련 해체의 결정적 순간들" 모던아카이브 2020
56 김영찬, "1990년대의 증상들" 계명대학교 출판부 2017
57 서영채, "1990년대, 시민의 문학: 『문학동네』 100호에 즈음하여" (가을) : 2019
58 정윤수, "1990년대 피씨통신과 취향공동체의 형성" 한국사회사학회 (127) : 255-295, 2020
59 김정남, "1990년대 문화 키워드 20" 문화다북스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