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통합과 사회보장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457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사회의 분열은 오래된 현상이며, 통합의 과제는 공동체의 존재의미에 해당한다. 전통적인 자본과 노동의 분열과 통합은 산업화에 뒤따랐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의 과제였다. 1990년 이후 자본과 노동의 관계는 새로운 모습으로 전개되었다. 자본은 노동을 지배하게 되었고, 노동은 특히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분열하였다.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조류 속에서 노동시장의 유연화는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여졌다.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은 한편으로는 이러한 발전을 수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노동자 및 국민의 사회적 보호를 강화하는 이중적인 과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사회보장법은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통합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사회보장법에 기초하여 사회통합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소득활동인구 모두가 사회보험에 의한 보호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우리 사회보험은 처음부터 낮은 수준의 평등한 복지를 지향하여 왔으며, 이러한 방향은 사회보험에 소득활동인구 모두를 포섭하는 데 적합하다. 이러한 사회보험의 기초 위에서 사회보장법은 기회의 평등과 결과의 평등을 실현하여야 한다. 교육, 양육지원, 직업교육 및 고용지원에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되어야 하며, 이에 기초하여 능력을 개발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기회를 활용할 수 없으며, 또 기회를 활용하였지만 생활유지능력을 가질 수 없는 경우에는 최저생활보장의 결과가 실현될 수 있는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사회보장법에 기초하여 사회통합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여러 제도들이 참여하여 보완 및 협력관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사회보장법은 한편으로는 개인에게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여 자기책임에 기초한 생활을 형성하고 사회에 편입되어 사회통합을 실현하는 핵심적인 수단이지만 동시에 상황의 변화를 반영하여 자기 혁신을 지속적으로 실현하는 과제를 갖는다.
      번역하기

      사회의 분열은 오래된 현상이며, 통합의 과제는 공동체의 존재의미에 해당한다. 전통적인 자본과 노동의 분열과 통합은 산업화에 뒤따랐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의 과제...

      사회의 분열은 오래된 현상이며, 통합의 과제는 공동체의 존재의미에 해당한다. 전통적인 자본과 노동의 분열과 통합은 산업화에 뒤따랐으며 이는 기본적으로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의 과제였다. 1990년 이후 자본과 노동의 관계는 새로운 모습으로 전개되었다. 자본은 노동을 지배하게 되었고, 노동은 특히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분열하였다. 신자유주의와 세계화의 조류 속에서 노동시장의 유연화는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보여졌다. 노동법과 사회보장법은 한편으로는 이러한 발전을 수용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노동자 및 국민의 사회적 보호를 강화하는 이중적인 과제를 갖게 되었다. 특히 사회보장법은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통합을 실현하기 위한 제도적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았다. 사회보장법에 기초하여 사회통합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소득활동인구 모두가 사회보험에 의한 보호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우리 사회보험은 처음부터 낮은 수준의 평등한 복지를 지향하여 왔으며, 이러한 방향은 사회보험에 소득활동인구 모두를 포섭하는 데 적합하다. 이러한 사회보험의 기초 위에서 사회보장법은 기회의 평등과 결과의 평등을 실현하여야 한다. 교육, 양육지원, 직업교육 및 고용지원에 보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되어야 하며, 이에 기초하여 능력을 개발하고 활성화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기회를 활용할 수 없으며, 또 기회를 활용하였지만 생활유지능력을 가질 수 없는 경우에는 최저생활보장의 결과가 실현될 수 있는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사회보장법에 기초하여 사회통합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여러 제도들이 참여하여 보완 및 협력관계를 형성하여야 한다. 사회보장법은 한편으로는 개인에게 자신의 능력을 개발하여 자기책임에 기초한 생활을 형성하고 사회에 편입되어 사회통합을 실현하는 핵심적인 수단이지만 동시에 상황의 변화를 반영하여 자기 혁신을 지속적으로 실현하는 과제를 갖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ubordination of labour to capital was an old theme. After the 1990s, this theme faced a new situation. Especially precarious employment came to prevail in the labour market. Under the new waives of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the flexibility of the labour market seemed to be unavoidable. The labour law and the social security law were endowed with two major tasks-on the one hand, they had to incorporate these policy developments into their norms, while on the other hand, they had to strengthen social protection for the workers and the people against risks that emerged therefrom. However, the social security law was not well prepared to incorporate the atomized groups of employees into the legal framework and balance the interests of capital and labour. In order to activate the social integration based on social security law, first of all, the working population including those in precarious employment must be covered by social insurances. In Korea, from the very beginning, the social insurances supported a low standard of, but equal access to welfare, which was an adequate approach that encompassed all the working population in social insurances. On this basis of social insurance, social security law must endeavor to realize the equality of opportunity on the one hand, and equality in outcome on the other hand. Equality of opportunity in access to education, child care support, vocational training, employment support must be guaranteed, upon which one can develop and activate one’s ability. Moreover, safety net measures that guarantee a minimum standard of living must be offered for those who cannot make use of the above-mentioned opportunities, or those who have leveraged those opportunities but have failed to meet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In the process of achieving social integration based on social security law, various institutions must functionally complement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The social security law is a core instrument for realizing social integration by assisting individuals to develop their abilities, plan and live a decent life on their own responsibilities, and participate in the social community. To realize this idea, the social security law has to consistently renovate and adapt itself to the social change.
      번역하기

      The subordination of labour to capital was an old theme. After the 1990s, this theme faced a new situation. Especially precarious employment came to prevail in the labour market. Under the new waives of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the flexibilit...

      The subordination of labour to capital was an old theme. After the 1990s, this theme faced a new situation. Especially precarious employment came to prevail in the labour market. Under the new waives of neo-liberalism and globalization, the flexibility of the labour market seemed to be unavoidable. The labour law and the social security law were endowed with two major tasks-on the one hand, they had to incorporate these policy developments into their norms, while on the other hand, they had to strengthen social protection for the workers and the people against risks that emerged therefrom. However, the social security law was not well prepared to incorporate the atomized groups of employees into the legal framework and balance the interests of capital and labour. In order to activate the social integration based on social security law, first of all, the working population including those in precarious employment must be covered by social insurances. In Korea, from the very beginning, the social insurances supported a low standard of, but equal access to welfare, which was an adequate approach that encompassed all the working population in social insurances. On this basis of social insurance, social security law must endeavor to realize the equality of opportunity on the one hand, and equality in outcome on the other hand. Equality of opportunity in access to education, child care support, vocational training, employment support must be guaranteed, upon which one can develop and activate one’s ability. Moreover, safety net measures that guarantee a minimum standard of living must be offered for those who cannot make use of the above-mentioned opportunities, or those who have leveraged those opportunities but have failed to meet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In the process of achieving social integration based on social security law, various institutions must functionally complement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The social security law is a core instrument for realizing social integration by assisting individuals to develop their abilities, plan and live a decent life on their own responsibilities, and participate in the social community. To realize this idea, the social security law has to consistently renovate and adapt itself to the social chan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오래된 주제, 새로운 상황
      • Ⅱ. 헌법과 사회통합
      • Ⅲ. 1977년 의료보험법과 발전경로 - 사회통합에 대한 함의
      • Ⅳ. 사회보장의 보편화, 평등 지향
      • 국문초록
      • Ⅰ. 오래된 주제, 새로운 상황
      • Ⅱ. 헌법과 사회통합
      • Ⅲ. 1977년 의료보험법과 발전경로 - 사회통합에 대한 함의
      • Ⅳ. 사회보장의 보편화, 평등 지향
      • V. 복지의 평등과 사회통합
      • VI. 복잡체계와 사회통합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